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원안위, 신고리4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후 출력상승시험 등 잔여검사 추진

2021.02.02 원자력안전위원회
목록
원안위, 신고리4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후 출력상승시험 등 잔여검사 추진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엄재식, 이하 원안위)는 작년 109일부터 정기검사를 실시한 신고리4호기의 임계*22일 허용하였습니다.
* 원자로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 이로 인해 생성되는 중성자와 소멸되는 중성자가 같아 중성자수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
임계를 허용하면 원자로 임계 과정에서 또는 임계 후 출력 상승 과정에서 노물리시험(원자로 특성 시험) 등 남은 검사항목 10개를 진행
원안위는 이번 정기검사에서 임계 전까지 수행해야 할 87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원자로 임계가 안전하게 이루어 질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원안위는 이번 정기검사에서 격납건물 내부철판(CLP*) 점검한 결과, 모든 CLP 두께가 기준두께(5.4mm) 이상임을 확인하였습니다.
* Containment Liner Plate : 사고 시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철판
또한, 콘크리트 공극 발생 가능부에 대하여 비파괴검사 및 절단점검 방식으로 확인한 결과 공극이 2개소(최대깊이 20cm)에서 발견되어 보수 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증기발생기 세관에 대한 비파괴검사 및 정비를 수행하여 관련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물질검사 장비를 통해 확인된 이물질 187개 중 185개는 제거되었고 제거가 불가능한 2*향후 추적 관리될 계획임을 확인하였습니다.
* 아이볼트(Eye-Bolt) 주변 세관은 관막음 정비되었으며 이물질 관련 원인분석 및 조치계획은 제132회 원안위(’21.1.22.)에 보고한 바 있음
특히, 운영허가 조건사항 이행계획에 따라 주밸브 등의 내장품이 변경된 가압기안전방출밸브(POSRV)*는 주밸브 동작, 설정값 확인 및 누설여부 확인 등을 통해 밸브의 운전가능성을 별도로 확인하였습니다.
* Pilot Operated Safety Relief Valve : 가압기 상부에 장착돼 안전밸브 기능과 감압 기능 수행
또한, 지진 발생에 대비하여 원자로건물 내진여유공간을 점검(철골구조물 232개소, 철골볼트 129개소) 하였으며 불만족 부위(철골구조물 8개소, 철골볼트 실측불가 포함 총 24개소)에 대하여 보수 완료하였습니다.
아울러, 한빛1호기 사건 후속조치로 주제어실에 CCTV(4)가 설치되는 등 타원전 사고·고장 반영의 경우 17건 중 8건은 완료되었고 9건은 계획수립 및 관리중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원안위는 지금까지의 정기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고리4호기의 임계를 허용하고, 앞으로 출력상승시험 등 후속검사(10)를 통해 안전성을 최종 확인할 예정입니다.

“이 자료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민권익위 제안,「공직자 설날 착한선물 나눔 캠페인」에 정부부처 참여 이어져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