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코로나19에도 혁신 벤처·창업기업은 고용 크게 늘렸다

□’20년 한해동안 벤처기업은 약 5.3만명, 벤처투자 받은 기업은 약 1.3만명 고용 증가

? 이 중 약 35% 이상은 만 30세 미만 청년, 약 43% 이상은 여성

2021.02.16 중소벤처기업부
목록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가입 현황을 토대로 벤처기업과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고용 동향을 분석한 결과 ‘19년말과 비교해 ’20년에 고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0년도 벤처기업 고용
 
(1) 전체:벤처기업 36,885개사 ’20년말 고용 72만 4,138명,
’19년말 대비 5만 2,905명 증가
 
’20년말 벤처기업 39,511개사 중 고용정보 유효기업 36,885개사의 전체 고용은 ’20년말 기준 72만 4,138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19년말 기준 67만 1,233명보다 약 5만 2,905명 늘어난 것으로 고용 증가율은 약 7.9%였다.
 
’20년말 벤처기업당 평균 고용증가는 ’19년말 18.2명에서 약 1.4명 증가한 19.6명으로 파악됐다.
 
< ’20년 벤처기업의 ’19년, ’20년 전체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
(유효기업 36,885개사)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18.2명 → 19.6명)
 
 
〈‘19년말 대비 ’20년말 벤처기업 고용 현황〉 〈‘19년말 대비 ’20년말 기업당 고용 현황〉
 
이번에 파악된 벤처기업 고용통계는 표본조사를 통해 전체 벤처기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2020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20.12월 발표)의 ’19년말 고용과 비교할 때, ‘19년 고용보험가입률, 표본오차, 조사대상 기업 수 등을 감안하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청년/여성 :전체 고용 증가 5만 2,905명 중 35%(+1만 8,529명)는 만 30세 미만 청년, 43% 이상(+2만 3,075명)은 여성
 
(청년) ‘20년말 벤처기업 전체 고용 중 청년(만 15세 이상~만 29세 이하) 고용은 18만 8,056명으로 전체 고용의 약 26.0%를 차지했다.
’19년말(16만 9,527명) 대비 청년 고용 증가는 전체 고용 증가(5만 2,905명)의 약 35.0%를 차지하는 1만 8,529명으로 파악됐다.
 
또한 청년 고용 증가율은 전체 고용 증가율(7.9%)보다 3.0%p 높은 10.9%이었으며, 기업당 고용 증가는 0.5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당 평균 고용 증가가 1.4명임을 감안할 때 벤처기업은 3명 신규 채용시 1명은 만 30세 미만 청년으로 고용한 셈이다.
 
< ’20년 벤처기업의 ’19년, ’20년 청년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 가 증 가 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A)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청년 고용현황(B) 169,527명 188,056명 +18,529명 +10.9% +0.5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25.3% 26.0% 35.0% - -
 
(여성) ‘20년말 벤처기업 전체 고용 중 여성 고용은 22만 6,615명으로 전체 고용의 약 31.3%를 차지했다.
 
’19년말(20만 3,540명) 대비 여성 고용 증가는 전체 고용 증가(5만 2,905명)의 약 43.6%에 해당하는 2만 3,075명이었다.
 
또한 여성 고용 증가율도 청년 고용 증가율과 비슷하게 전체 고용 증가율(7.9%)보다 3.4%p 높은 약 11.3%이었으며 기업당 고용 증가는 0.6명이었다.
 
< ’20년 벤처기업의 ’19년, ’20년 여성 고용 현황 >
 
구 분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증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A)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여성 고용현황(B) 203,540명 226,615명 +23,075명 +11.3% +0.6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30.3% 31.3% 43.6% - -
 
(3) 업종별:ICT서비스(+2만 1,185명), ICT기반 유통·서비스(+9,066명), 바이오·의료(+4,942명) 등 전체 고용증가 견인
 
업종별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ICT서비스(+21,185명), 유통·서비스(+9,066명), 바이오·의료(+4,942명) 3개 업종이 전체 고용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서비스의 경우에는 ㈜컬리와 같이 ICT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 기업들이 고용을 늘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19년말 대비 ’20년말 업종별 고용증가(기타 제외)〉
 
< ’20년 벤처기업의 ’19년, ’20년 업종별 고용 현황 >
 
구 분 기업수 고 용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증 가 증가율
ICT서비스 6,391개사 126,013명 147,198명 +21,185명 +16.8%
유통·서비스 3,991개사 81,227명 90,293명 +9,066명 +11.2%
바이오·의료 1,765개사 40,093명 45,035명 +4,942명 +12.3%
전기·기계·장비 9,859개사 176,200명 180,954명 +4,754명 +2.7%
화학·소재 6,360개사 94,181명 97,804명 +3,623명 +3.8%
ICT제조 2,711개사 53,286명 55,438명 +2,152명 +4.0%
게임 374개사 13,230명 14,422명 +1,192명 +9.0%
영상·공연·음반 539개사 9,130명 10,204명 +1,074명 +11.8%
기타 4,895개사 77,873명 82,790명 +4,917명 +6.3%
합계 36,885개사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4) 비대면 분야:고용증가율(+15.5%), 기업당 고용 증가(+3.2명) 모두 벤처기업 전체 및 대면 분야 벤처기업보다 높아
 
비대면 기업 :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또는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달을 비대면(非對面)화하여 경영 효율화 또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기업
 
※ 비대면 7대 분류 : 스마트헬스케어, 교육, 스마트비즈니스&금융, 생활소비, 엔터테인먼트, 물류·유통, 기반기술
고용정보 유효기업 36,885개사 중 비대면 분야 벤처기업 7,430개사의 ’20년말 기준 고용은 17만 5,824명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분야 벤처기업의 고용은 전체 고용 대비 약 24.3%를 차지 했으며 이는 ’19년말보다 약 1.6%p 높아진 수치다.
 
고용 증가율로 보면 비대면 분야 벤처기업의 고용증가율은 15.5%로 벤처기업 전체(7.9%)와 대면 분야(5.6%)를 모두 상회했다.
 
특히 기업당 고용 증가 역시 비대면 분야(+3.2명)가 전체(+1.4명)와 대면 분야(+1.0명) 벤처기업보다 모두 높은 걸로 파악되면서 비대면 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더욱 뚜렷했다.
 
 
〈비대면-대면 분야 벤처기업 고용 증가율〉 〈비대면-대면 분야 기업당 평균 고용증가〉
 
< ’20년 비대면/대면 분야 벤처기업의 ’19년, ’20년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
(36,885개사, A)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비대면 분야 기업
(7,430개사, B)
152,164명 175,824명 +23,660명 +15.5% +3.2명
  비 중(=B/A × 100) 22.7% 24.3% 44.7% - -
대면 분야 기업
(29,455개사, C)
519,069명 548,314명 +29,245명 +5.6% +1.0명
  비 중(C/A × 100) 77.3% 75.7% 55.3% - -
 
한편 비대면 세부 분야 내에선 빅데이터, IT 등과 연관된 기반기술 (+7,221명)과 생활소비(+5,083명), 엔터테인먼트(+3,342명) 분야의 고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 ’20년 벤처기업의 ’19년, ’20년 비대면 분야별 고용 현황 >
 
구 분 기업수 고 용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기반기술 2,460개사 49,418명 56,639명 +7,221명 +14.6% +2.9명
생활소비 1,495개사 29,928명 35,011명 +5,083명 +17.0% +3.4명
엔터테인먼트 1,125개사 27,313명 30,655명 +3,342명 +12.2% +3.0명
스마트 BIZ&금융 995개사 22,647명 25,195명 +2,548명 +11.3% +2.6명
교육 576개사 10,253명 12,256명 +2,003명 +19.5% +3.5명
물류·유통 304개사 5,144명 6,914명 +1,770명 +34.4% +5.8명
스마트 헬스케어 475개사 7,461명 9,154명 +1,693명 +22.7% +3.6명
합 계 7,430개사 152,164명 175,824명 +23,660명 +15.5% +3.2명
 
(5) 벤처기업 유형별:벤처기업 유형 중 벤처투자형이 고용 증가율(+19.5%), 기업당 고용 증가(+5.4명) 가장 높아
벤처기업 유형(‘21.2.12 이전) : ①보증·대출형, ②벤처투자형, ③연구개발형
 
① 보증·대출형 : 보증·대출 8천만원 이상 & 기술성 평가 우수 등
 
② 벤처투자형 : VC 등 적격투자기관으로부터 5천만원 이상 & 자본금 대비 10% 이상 투자받은 기업
 
③ 연구개발형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 연구개발비 5천만원 이상 등
 
벤처기업 세가지 유형 중 고용 증가율과 기업당 고용 증가가 가장 높은 유형은 모두 벤처투자형인 것으로 파악됐다.
 
벤처투자 유형은 전체 고용 증가율(7.9%)보다 11.6%p 높은 19.5%의 고용증가율을 기록했고, 기업당 고용 증가 역시 벤처투자형은 5.4명으로 평균 2명 미만인 전체 및 다른 2가지 유형보다 뚜렷하게 높은 걸로 파악돼 벤처투자가 벤처기업의 고용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벤처기업의 각 유형별 ’19년, ’20년 고용 현황 비교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
(36,885개사)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벤처투자형
(2,583개사)
71,383명 85,274명 +13,891명 +19.5% +5.4명
연구개발형
(2,823개사)
76,318명 81,620명 +5,302명 +6.9% +1.9명
보증·대출형
(31,479개사)
523,532명 557,244명 +33,712명 +6.4% +1.1명
(6) 신설 벤처기업:’20년 신설 벤처 764개사가 약 5천명 순고용 창출 → 기업당 6.5명 고용 증가
 
’20년 신설 벤처기업은 대상 기업 36,885개사 중 764개사로 확인됐다.
 
해당 신설 벤처기업들은 ’20년 한해 동안 4,985명을 고용했으며 이는 ‘20년에만 순고용이 4,985명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설 벤처기업은 36,885개사 중 약 2%에 불과하지만 전체 고용 증가(5만 2,905명)의 약 9.4%를 차지했다.
 
또한, 신설 벤처기업의 기업당 고용 창출효과가 전체 및 기존 기업들보다 월등하게 높은 6.5명인 점에서 ’20년 코로나 위기에도 신설된 벤처기업들은 고용 증가에 상당 부분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 ’20년 벤처기업 중 ’20년 신설기업의 ’19년, ’20년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
(36,885개사, A)
671,233명 724,138명 +52,905명 +7.9% +1.4명
‘20년 신설 기업
(764개사, B)
- 4,985명 +4,985명 순증 +6.5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 0.7% 9.4% - -
그 외 기업
(36,121개사, C)
671,233명 719,153명 +47,920명 +7.1% +1.3명
  전체 대비 비중
(C/A×100)
- 99.3% 90.6% - -
 
’20년도 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
 
(1) 전체:벤처투자 받은 기업 1,730개사 ’20년말 고용 5만 3,452명,
’19년말 대비 1만 2,624명 증가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 2,130개사 중 고용정보 유효기업 1,730개사의 전체 고용은 ’20년말 기준 5만 3,45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19년말 4만 828명보다 약 1만 2,624명 늘어난 수치로 고용 증가율로 보면 약 30.9%였다.
 
’20년말 벤처투자 받은 기업당 평균 고용증가는 ’19년말 23.6명에서 약 7.3명 증가한 30.9명으로 파악됐으며 투자 10억원당 고용 증가 효과는 3.4명으로 나타났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전체 고용 현황 >
 
구 분 벤처투자 고용
‘19년말 ‘20년말  
증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증가
전체 고용현황
(유효기업 1,730개사)
37,376억원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7.3명
(23.6명→30.9명)
+3.4명
 
 
〈‘19년말 대비 ’20년말 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 현황〉 〈’20년 벤처투자 10억원당 ‘20년말 고용현황〉
 
(2) 청년/여성 :전체 고용 증가 1만 2,624명 중 38.5%(+4,856명)은 만 30세 미만 청년, 43% 이상(+5,450명)은 여성
 
(청년) ‘20년말 벤처투자 받은 기업 전체 고용 중 청년(만 15세 이상 ~ 만 29세 이하) 고용은 1만 9,715명으로 전체 고용의 약 36.9%를 차지했다.
 
’19년말(1만 4,859명) 대비 청년 고용 증가는 전체 고용 증가(1만 2,624명)의 약 38.5%를 차지하는 4,856명으로 파악됐다.
 
또한 청년 고용 증가율은 전체 고용 증가율(30.9%)보다 1.8%p 높은 약 32.7%이었으며 기업당 고용 증가는 2.8명으로 나타났다.
 
기업당 평균 고용증가가 7.3명임을 감안할 때, 벤처투자 받은 기업도 3명을 신규 고용할 때 1명 이상을 30세 미만 청년으로 고용한 셈이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청년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A)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7.3명
  전체 비중 100.0% 100.0% 100.0% - -
청년 고용현황(B) 14,859명 19,715명 +4,856명 +32.7% +2.8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36.4% 36.9% 38.5% - -
 
(여성) 한편 ‘20년 12월말 벤처투자 받은 기업 전체 고용 중 여성 고용은 2만 311명으로, 전체 고용의 약 38.0%를 차지한 걸로 나타났다.
 
’19년말(1만 4,861명) 대비 여성 고용 증가는 전체 고용 증가(1만 2,624명)의 약 43.2%에 해당하는 5,450명이었다.
 
여성 고용 증가율도 전체 고용 증가율(30.9%)보다 5.8%p 높은 36.7%이었으며 기업당 고용 증가는 3.2명이었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여성 고용 현황 >
 
구 분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증 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A)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7.3명
  전체 비중 100.0 100.0 100.0 - -
여성 고용현황(B) 14,861명 20,311명 +5,450명 +36.7% +3.2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36.4% 38.0% 43.2% - -
 
(3) 업종별:ICT서비스(+4,700명), ICT 기반 유통·서비스(+2,721명),
바이오·의료(+1,612명) 등 전체 고용 증가 견인
 
벤처투자 받은 기업들의 업종별 고용 증가는 벤처기업과 마찬가지로 벤처투자 상위 3개 업종에 해당하는 ICT서비스(+4,700명), 유통·서비스(+2,721명), 바이오·의료(+1,612명) 업종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3개 업종 중 유통·서비스 업종은 최근 ICT 플랫폼 기반 도·소매업계의 고용이 주로 늘면서 고용이 크게 늘어난 걸로 파악됐다.
 
※ 유통·서비스 내 도·소매업 고용증가 : +1,444명(유통·서비스업 고용증가의 약 53.1%)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 증가 효과는 상대적으로 기업 수가 적은 게임 업종이 7.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ICT서비스 5.1명, 유통·서비스 4.4명 순으로 확인됐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업종별 고용 현황 >
 
구 분 기업 수 벤처투자
(A)
고 용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 증가
(=B/A*0.1)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증가(B) 증가율
ICT서비스 534개사 9,230억원 10,759명 15,459명 +4,700명 +43.7% +5.1명
유통·서비스 305개사 6,121억원 8,022명 10,743명 +2,721명 +33.9% +4.4명
바이오·의료 262개사 10,707억원 4,699명 6,311명 +1,612명 +34.3% +1.5명
게임 52개사 1,197억원 2,723명 3,569명 +846명 +31.1% +7.1명
전기·기계·장비 155개사 2,475억원 3,903명 4,569명 +666명 +17.1% +2.7명
ICT제조 86개사 2,071억원 2,865명 3,463명 +598명 +20.9% +2.9명
화학·소재 90개사 1,628억원 2,381명 2,852명 +471명 +19.8% +2.9명
영상·공연·음반 116개사 1,941억원 2,536명 2,695명 +159명 +6.3% +0.8명
기타 130개사 2,006억원 2,940명 3,791명 +851명 +28.9% +4.2명
합계 1,730개사 37,376억원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3.4명
 
(4) 비대면 분야:고용증가율(+36.4%), 기업당 고용 증가(+9.1명) 모두 전체 및 대면 분야 벤처투자 기업을 상회
 
고용정보 유효기업 1,730개사 중 비대면 분야 피투자기업 916개사의 ’20년말 기준 고용은 3만 1,285명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분야 피투자기업의 고용은 전체 고용 대비 약 58.5%를 차지 했으며 이는 ’19년말보다 약 2.3%p 높아진 수치다.
 
고용 증가율로 보면 비대면 분야 피투자기업의 고용증가율은 36.4%로 전체(+30.9%) 및 대면 분야(+23.8%)를 모두 상회했다.
 
기업당 고용 증가 역시 비대면 분야는 9.1명으로 전체(+7.3명)와 대면 분야(+5.2명) 벤처투자 기업보다 모두 높은 걸로 파악되면서 비대면 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더욱 뚜렷했다.
 
 
〈비대면-대면 분야 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 증가율〉 〈비대면-대면 분야 기업당 평균 고용증가〉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비대면-대면 분야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
(1,730개사, A)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7.3명
  전체 비중 100.0% 100.0% 100.0% - -
비대면 분야 기업
(916개사, B)
22,929명 31,285명 +8,356명 +36.4% +9.1명
  비 중(=B/A × 100) 56.2% 58.5% 66.0% - -
대면 분야 기업
(814개사, C)
17,899명 22,167명 +4,268명 +23.8% +5.2명
  비 중(=C/A × 100) 43.8% 41.5% 34.0% - -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 증가효과를 비교하면 비대면 분야 기업이 4.6명, 대면 분야 기업이 2.2명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코로나 시기에 비대면 분야 기업들의 고용 증가효과가 대면 분야 기업들보다 더 우수한 걸로 나타났다.
〈비대면-대면 분야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 증가〉
비대면 세부 분야별로는 벤처투자 상위 3개 비대면 분야인 생활소비(+2,502명), 엔터테인먼트(+2,013명), 기반기술(+1,485명) 순으로 고용이 크게 늘었고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증가 효과는 교육(+8.8명), 물류·유통(+7.7명), 엔터(+5.8명) 순으로 나타났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19년, ’20년 비대면 분야별 고용 현황 >
 
구 분 기업수 벤처투자
(A)
고 용 투자 10억원 대비
고용 증가
(=B/A*0.1)
‘19년말 ‘20년말  
증 가(B) 증가율
생활소비 245개사 4,838억원 6,920명 9,422명 +2,502명 +36.2% +5.2명
엔터테인먼트 160개사 3,455억원 6,062명 8,075명 +2,013명 +33.2% +5.8명
기반기술 229개사 4,636억원 4,519명 6,004명 +1,485명 +32.9% +3.2명
스마트 BIZ&금융 112개사 2,104억원 2,785명 3,591명 +806명 +28.9% +3.8명
스마트 헬스케어 80개사 1,809억원 1,343명 1,927명 +584명 +43.5% +3.2명
물류·유통 45개사 681억원 565명 1,086명 +521명 +92.2% +7.7명
교육 45개사 504억원 735명 1,180명 +445명 +60.5% +8.8명
합 계 916개사 18,027억원 22,929명 31,285명 +8,356명 +36.4% +4.6명
 
(5) 신설 기업:’20년 신설된 피투자기업 121개사가 904명 순고용 창출 → 기업당 7.5명 고용 증가
 
’20년 벤처투자를 유치한 기업 중 121개사는 ‘20년에 신설되면서 904명의 순고용을 창출했다.
 
해당 신설 벤처기업의 기업당 고용 증가는 7.5명으로, 전체 및 기존기업들의 기업당 고용 증가인 7.3명보다 높은걸로 나타났다.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 중 ’20년 신설기업의 ’19년, ’20년 고용 현황 >
 
구 분 ‘19년말 ‘20년말  
증가 증가율 기업당 평균 증가
전체 고용현황(A) 40,828명 53,452명 +12,624명 +30.9% +7.3명
  전체 비중 100.0 100.0 100.0 - -
‘20년 신설 기업(B)
(121개사)
- 904명 +904명 순증 +7.5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 1.7% 7.2% - -
‘20년 기존 기업(B)
(1,609개사)
40,828명 52,548명 +11,720명 +28.7% +7.3명
  전체 대비 비중
(B/A×100)
100.0 98.3% 92.8% - -
(6) 지역별 고용:서울, 경기, 대전, 부산, 경북 등 벤처투자 상위 5개 지역 → 고용 증가도 투자 규모에 비례하여 증가
 
지역별 고용 증가 상위 5개 지역은 서울(+7,407명), 경기(+2,754명), 대전(+618명), 부산(+291명), 경북(+261명) 순으로, 해당 지역은 벤처투자 규모 순위도 고용 증가 순위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20년 벤처투자 규모 및 고용 증가 현황 >
 
구 분 벤처투자 고용 순 위
금 액 비 중 ‘19년 12월말 ‘20년 12월말   투자 규모 고용 증가
증가


서 울 20,176억원 54.0% 21,509명 28,916명 +7,407명 1 1
인 천 718억원 1.9% 1,070명 1,257명 +187명 7 8
경 기 8,141억원 21.8% 8,880명 11,634명 +2,754명 2 2
소 계 29,035억원 77.7% 31,459명 41,807명 +10,348명 - -
5



부 산 1,162억원 3.1% 1,744명 2,035명 +291명 4 4
대 구 338억원 0.9% 736명 842명 +106명 10 10
광 주 253억원 0.7% 412명 486명 +74명 15 13
울 산 315억원 0.8% 121명 167명 +46명 13 15
대 전 2,573억원 6.9% 1,461명 2,079명 +618명 3 3
소 계 4,641억원 12.4% 4,474명 5,609명 +1,135명 - -

 
 
강 원 334억원 0.9% 258명 307명 +49명 11 14
충 북 470억원 1.3% 724명 981명 +257명 8 6
충 남 755억원 2.0% 1,311명 1,505명 +194명 6 7
전 북 262억원 0.7% 181명 317명 +136명 14 9
전 남 125억원 0.3% 223명 306명 +83명 17 12
경 북 907억원 2.4% 676명 937명 +261명 5 5
경 남 316억원 0.9% 885명 922명 +37명 12 17
제 주 377억원 1.0% 563명 648명 +85명 9 11
세 종 154억원 0.4% 74명 113명 +39명 16 16
소 계 3,700억원 9.9% 4,895명 6,036명 +1,141명 - -
합 계 37,376억원 100.0% 40,828명 53,452명 +12,624명 - -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지난 2020년은 코로나 위기로 우리 경제가 많은 어려움을 겪는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전체 고용을 크게 늘리면서 든든한 고용 버팀목 역할을 해내줬다”고 평가하면서,
 
“올해 중기부는 비상장 벤처기업의 복수의결권 도입, 실리콘밸리식 벤처 금융제도 추진, K-유니콘 프로젝트, 스마트대한민국펀드 조성 등과 같은 혁신 벤처 생태계 기반을 다지는 정책들을 힘있게 추진함으로써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여 우리 경제의 도약과 회복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통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0년 벤처기업 및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일자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분석한 통계로, 통계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힙니다.
 
 
【분석 대상기업】
 
벤처기업 : 전체 39,511개사 중 고용정보 유효기업 36,885개사
 
벤처투자 받은 기업 : 2,130개사 중 고용정보 유효기업 1,730개사*
 
* 1,730개사 중 1,423개사는 벤처기업 유효기업에 해당
 
※ , : 한국고용정보원 정보제공 동의 기업의 ‘19년 및 ‘201231
고용 유효 데이터 추출
 
[출처 : 벤처확인 공시시스템(벤처기업), 벤처투자종합정보(벤처투자기업), 한국고용정보(고용)]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투자회수관리과 신규호 사무관(☎ 042-481-442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 고   ’20년 벤처기업/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 증가 상위 10개사
 
□ 벤처기업 : 고용증가 상위 10개사 고용 증가는 4,269명
→ 전체 고용증가 5만 2,905명 대비 약 8.1%
 
ㅇ ICT서비스/제조, 유통·서비스, 바이오·의료 분야들이 차지했으며, 최다 고용창출기업은 ㈜컬리로 ’20년 한해동안 688명 고용 증가
 
< ’20년 벤처기업 중 ’20년 고용 증가 상위 10개사 현황 >
 
상 위 기업명 업 종 사업 특징 고용 현황
(‘20년말)
’19년말 대비
증가 증가율
1 (주)컬리 유통·서비스 농산물 도소매 1,048명 +688명 +191.1%
2 (주)데이터클립 ICT서비스 DB구축 644명 +611명 +1,851.5%
3 (주)프로보 ICT제조 로봇키트 569명 +546명 +2,373.9%
4 (주)인피닉 ICT서비스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서비스 876명 +463명 +112.1%
5 (주)크래프톤 게임 온라인게임 1,164명 +438명 +60.3%
6 (주)티엠디교육그룹 유통·서비스 교육콘텐츠 개발 509명 +431명 +552.6%
7 (주)켐토피아 유통·서비스 환경컨설팅 환경장비 395명 +321명 +433.8%
8 (주)미코세라믹스 전기·기계·장비 반도체 세라믹 부품 제조 313명 +313명 순증
9 (주)에빅스젠 바이오·의료 신약연구개발 793명 +260명 +48.8%
10 (주)바이오니아 바이오·의료 합성유전자 유전자 진단 585명 +198명 +51.2%
합 계 6,896명 +4,269명 +162.5%
     
‘20년 벤처기업 전체 고용증가(52,905명) 대비 상위 10개사 증가(+4,269) 8.1%
 
□ 벤처투자 받은 기업 : 고용증가 상위 10개사 고용 증가는 1,869명
→ 전체 고용증가 1만 2,624명 대비 약 14.8%
 
ㅇ ICT서비스, 유통·서비스 업종들이 대부분이며, 최다 고용창출 기업은 ㈜크래프톤으로 ’20년 한해동안 438명 고용 증가
 
< ’20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증가 상위 10개사 현황 (단위: 명, %)>
 
상 위 기업명 업 종 사업 특징 고용 현황
(‘20년말)
’19년말 대비
증가 증가율
1 (주)크래프톤 게임 온라인게임 1,164명 +438명 +60.3%
2 (주)미코세라믹스 전기·기계·장비 반도체 세라믹 부품 제조 313명 +313명 순증
3 (주)무신사 ICT서비스 패션 플랫폼 및 e-커머스 594명 +190명 +47.0%
4 메가존클라우드(주) ICT서비스 클라우드 매니저 서비스 566명 +159명 +39.1%
5 (주)클래스101 유통·서비스 수요자맞춤형 과외 앱 241명 +154명 +177.0%
6 (주)브랜디 유통·서비스 쇼핑 큐레이션 모바일 앱 348명 +151명 +76.6%
7 (주)야놀자 ICT서비스 숙박 정보 포털 922명 +136명 +17.3%
8 (주)비바리퍼블리카 유통·서비스 모바일 간편송급 앱 450명 +118명 +35.5%
9 (주)오아시스 유통·서비스 마트체인, 신선식품 배송 555명 +111명 +25.0%
10 (주)에이럭스 ICT서비스 영상 및 고등교육 콘텐츠 117명 +99명 +550.0%
합 계 5,270명 +1,869명 +55.0%
     
‘20년 피투자기업 전체 고용증가(12,624명) 대비 상위 10개사 증가(1,869) 14.8%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영암국유림관리소,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 본격 운영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