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K-기술로 글로벌 기술협력 확대해 나간다 - 21년 글로벌 산업기술협력 대폭 확대(총 819억, 신규 268억) - - 미국, 유럽 등 세계 최고 혁신기관을 협력거점(5개 내외) 신규지정, 공동 R&D 추진 - - 독일, 영국 등 14개국과 그린·디지털 중심의 양자·다자협력 추진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국내 산·학·연과 해외 우수 R&D 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하는 「2021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2월 22일 공고하였다.
ㅇ 금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전 세계적인 기술혁신의 가속화와 글로벌가치사슬(GVC)의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규모를 지난해 630억원에서 ‘21년 819억원으로 대폭 확대(30%↑)한 역대 최대 규모이다. 이 중 신규예산은 268억원(전년대비 130%↑)이다.
ㅇ 또한,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사업 유형을 신설하였다. 그동안 중점 추진한 정부 간 양자·다자 협력사업과 더불어 한국측의 전략적 기술확보나 우리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신규사업*을 신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 글로벌 협력거점형 공동 R&D, 기술도입형 X&D, 한-아세안 기술협력 시범사업
□ ‘21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신규과제(268억원)의 주요 지원 내용은 양자·다자 공동펀딩 R&D, 글로벌 협력거점형 공동R&D, 글로벌 수요연계형 기술협력, 기술도입형 X&D, 한-아세안 기술협력 시범사업 등 총 5개분야, 85개 과제를 선정 지원할 계획이다.
(양자·다자 공동펀딩 R&D) 독일, 영국 등 그린·디지털 강국을 중심으로 협력채널을 旣구축한 14개국*과 탄소중립 등 친환경, 디지털 전환 등 산업패러다임 선도분야 협력을 추진하고,
* 이스라엘, 中, 佛, 獨, 스페인, 스위스, 체코, 네덜란드, 캐나다, 덴마크, 英, 러시아, 인도, 싱가포르
- 특히, 한국·덴마크가 주도하여, 오스트리아, 싱가포르 등 10개국과 추진에 합의(‘21.1월)한 그린분야 다자협력도 유럽 최대의 공동연구플랫폼인 ‘유레카’를 통해 지원한다.
* 유레카(클러스터) : 2021년 Green Transition Thematic call 공고 예정(‘21.2월(잠정))
(글로벌 협력거점형 공동R&D)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해외 우수 연구기관을 협력거점으로 활용하여, 국내 산업체와 연구기관과의 중대형 기술협력을 지원하는 ‘글로벌 협력거점형 사업’을 처음 도입한다.
- 금년에는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을 대상으로 5개 내외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국내 산학연과의 중장기 공동 R&D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例) (반도체) 벨기에 IMEC, (세라믹·전자) 獨 프라운호퍼IKTS, (로봇) 美 NIST 등
(글로벌 수요연계형 기술협력) 글로벌 기업의 수요에 기반하여 국내 소부장 기업과의 국제공동R&D를 지원하여, 소부장 기업의 GVC 진입을 촉진하는 글로벌 수요-공급기업간 협력모델 지원을 본격 추진한다.
* (例) (韓)서울로보틱스-(獨)BMW와의 기술협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라이다 인지시스템’을 개발·지원(‘20~22년)하여, 기술개발 성공시 BMW 생산 공장에 적용 예정
(기술도입형 X&D) 해외 우수 기술도입, M&A 등 조기기술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해외기술 확보 시, 해외기관과의 후속기술 개발(X&D)*를 신규로 지원한다.
* R&D(R:내부연구→D:내부개발) → X&D(X:해외기술확보→D:추가개발) 개발방식 전환
(한-아세안 기술협력 시범사업) 아세안과의 호혜적인 산업기술 협력 추진을 위한 플랫폼인 ‘한-아세안 산업혁신기구’ 설립을 위한 아세안 국과들과의 시범사업도 신규 추진한다.
* 국내기관이 보유한 기술이전 및 연계된 제품 시장창출, 아세안 현지 소재·부품 신뢰성평가 및 현지 공급망 확보, 국내기업의 현지 맞춤형 개조 및 시장 등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생존 애국지사 한방주치의 업무협약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소득·자산 안 따지는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입주자 5000가구 모집
-
산불피해 시름 날리는 '착한 여행'…"미안해 말고 관광 오세요!"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안돼"
-
6월부터 '주택 임대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실거래가 투명화 기대
-
개인정보위 "SKT, 모든 이용자에 유출 사실 개별 통지해야"
-
사망사고 항공사 1년 운수권 제한…조류탐지레이더, 무안공항 첫 도입
-
중소·소상공인 제품 최대 30% 할인…내달 1일 '5월 동행축제' 개막
-
금융당국, SKT 유심정보 유출 비상대응본부 운영
최신 뉴스
- 신속한 산불피해 복구 및 극한기후 대비 산불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산림청 추경예산 4,407억원 확정
- 임도, 사람과 숲을 연결해... 지역소멸 위기 극복한다!
- 산림청-프랑스, 아시아 지역 산불대응 교육훈련 실시
- 아름다운 정원 거닐면서 건강도 지키고 경품도 받고
- 산림청, '5월의 임업인'에 삼척 대덕산 고랭지에서 어수리를 재배하는 김진국 임업인 선정
- 대구 대형산불 피해지에 '긴급진단팀' 파견… 2차 피해 예방 총력
- 정례브리핑
- 과기정통부, 통신사플랫폼 기업 사이버보안 현장점검
- 제26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 결과
- 한일중/아세안+3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