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최종건 제1차관, 제네바 군축회의(CD) 고위급 회기 연설

2021.02.23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  최종건 제1차관은 2.23(화) 오전(현지 시간) 제네바 군축회의(CD: Conference on Disarmament) 고위급 회기 연설을 화상으로 실시하여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 강화의 중요성과 우리의 기여 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였다.


  ㅇ 금번 고위급 회기는 2.22(월)-25(목)간 화상으로 개최되어 40여 개국 장·차관급 인사들이 국제 군축·비확산 현안에 대해 연설 예정


□  최 차관은 군축협상의 교착상태 장기화와 더불어, 코로나19를 비롯한 비전통 안보위협의 대두 등으로 국제 안보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다자주의의 기치 하에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ㅇ 특히, 유일한 다자 군축협상 포럼인 제네바 군축회의(CD)가 군축협상에 있어 진전을 이루어내고, 이를 통해 국제평화와 안보 증진에 기여하기를 기대

  ㅇ 최근 미·러간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의 연장을 환영하고, 향후 “핵무기 없는 세상” 목표 달성을 위해 관련국들이 핵비확산조약(NPT)에 따라 핵군축 진전을 위한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

  ㅇ 우리나라의 기여와 관련, 핵군축 진전 모색을 위한 16개 주요 핵 비보유국간 협의체인 스톡홀름 이니셔티브(Stockholm Initiative) 참여, 미래 세대의 군축 문제 관여 확대 모색을 위한 유엔총회 ‘청년과 군축·비확산(Youth,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결의 채택 주도 등 노력 소개


□  아울러, 최 차관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라고 강조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지지를 요청하였다.

  ㅇ 우리 정부는 한반도 평화의 일상화를 목표로 그동안 대북 관여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해 왔음을 설명하면서, 특히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비통제 분야 성과로서 9.19 군사합의 소개


  ㅇ  우리 정부는 조기에 대화의 동력을 회복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평화적으로 달성해 나가기 위해 앞으로도 관련국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며, 북측의 대화 복귀를 촉구


붙임 : 1. 제1차관 발언문
      2. 관련 사진.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경기 이천 산란계 농장에서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보도자료(2.23. 배포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