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철도안전관리 수준평가…21개 기관 전반적으로 ‘우수’

18년(77점) →19년(81점)에 이어 20년(85점) …3년 연속 향상 추이

2021.05.25 국토교통부
목록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은 국내 철도운영기관과 철도시설관리기관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0년도 철도안전관리 수준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철도안전관리 수준평가는 운영기관 등에서 자발적으로 안전최우선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경영진부터 현장 종사자까지 철도 안전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번 수준평가 결과, 처음으로 수준평가를 실시한 2018년(77.10점,C)과 2019년(81.54점,B)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안전관리 수준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는 철도사고·장애지표 개선, 경영진과 현장종사자의 안전의식 향상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사고지표) 33.19점(`18년) → 34.48점(`19년) → 35.45점(`20년)
(안전성숙도 평가) 14.68점(`18년) → 18.09점(`19년) → 19.03점(`20년)


<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추이 >

(사고추이) 현 정부 출범 이후(`17년∼`20년) 철도사고 건수는 46%가 감소(105건→57건)했으며, 사망자 12명으로 33% 감소(18명→12명)

철도사고는 교통사상사고(58%), 안전사상사고(20%), 건널목사고(13%) 등, 사망자는 선로무단·근접통행(59%), 작업과실(15%) 등으로부터 발생

(운행장애) `20년 운행장애*는 247건으로 전년(349건)대비 29% 감소

* 철도사고가 아니면서 일정시간을 지연해 운행(고속·전동: 20분, 일반: 30분)


올해 평가에서 평가대상기관(21개*)의 평균점수는 85.24점(B등급)으로, 운영기관 등의 안전관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나타냈다.

* ’20년도에 안전관리체계 최초 정기검사를 받은 운영기관(의정부경량전철㈜, 김포골드라인운영㈜)은 당해 연도 평가대상에서 제외


기관별로는 인천교통공사가 최고순위를 기록했고, 부산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그 뒤를 이었다.

경기철도와 서울교통공사는 각각 C등급과 D등급을 기록하여 한국교통안전공단이 해당 기관에 철도안전 컨설팅(5월~6월)을 제공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결과를 대상기관, 관련부처, 지자체에 통보해 경영평가 등에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사고·장애를 예방하고, 이용객 편의를 도모하도록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7일부터 건설근로자 기능등급제도를 시행합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