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 3차 회의 개최

2021.07.14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 3차 회의 개최
 
- 탄소중립연료(e-fuel) 적용 및 확산을 위한 기술·정책 과제 논의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714() 10, 온라인
 
 
 
화상회의를 통해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 3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본 연구회는 탄소중립 실현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는 e-fuel에 대해 검토·논의하기 위해 금년 4월 출범하였으며, 매월 정례개최 중이다.
 
 
 
<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 3차 회의 개요 >
(일시/장소) ‘21.7.14() 10:00~11:30 / 온라인 영상회의
(참석)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관련기관, 산학연 전문가 등 30여명
- (산업계)현대자동차, SK에너지, 현대오일뱅크, GS칼텍스, S-OIL, 한국조선해양, (학계)한양대 이기형 교수, 서울대 민경덕 교수, (연구계)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화학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등
(주요내용) e-fuel 적용 및 확산을 위한 기술·정책 과제
 
 
1차 회의(‘21.4)에서는 e-Fuel 글로벌 동향 및 국내여건, e-Fuel의 장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CO2 포집방안, 경제성 개선 등이 e-fuel 상용화의 핵심과제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2차 회의(‘21.5)에서는 CO2 포집방안(공기 중 직접 포집, 차량 포집 등) 생산 경제성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참석자들은 RFS* 등과 같은 정책적 수단 기술향상을 위한 정부 R&D 지원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 RFS(Renewable Fuel Standard) : 혼합의무자(석유정제업자, 수출입업자)가 수송용연료(자동차용 경유)에 일정비율 이상의 바이오디젤을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
 
 
이번 3차 회의에서는 석유관리원에서 합성연료의 내연기관 적용 사례*를 공유하였으며, 현대자동차에서는 내연기관 관점에서 e-fuel의 효용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 BTL(Biomass to liquid) 등 합성연료의 내연기관 적용시 연료 품질, 배출가스 등 분석
** 기존 내연기관 인프라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전기차 인프라 구축 시간을 고려할 때 탄소중립 연료로서 효용성 증가
 
또한, 에너지공단에서는 e-Fuel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표하였으며, R&D 지원, 인센티브 도입 등 e-fuel 추진에 대한 석유·수송업계의 제안사항을 공유하였다.
    
* RFS 적용대상 원료 다각화 등 향후 정책방향 제언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립수목원, 「유용자원식물 증식 및 재배 지침서」 네 번째 연속 기획물 발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