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폭염 피해 대비 및 피해 농가 지원에 총력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폭염으로 인한 축산분야 피해 최소화 및 축산물 수급안정 등을 위해 농진청·지자체·농축협·생산자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 폭염 관련 축산분야 피해 현황(잠정) >
□ 7.1일 이후 전국에 걸쳐 발생한 폭염으로 7.26일 기준 축산분야 피해 현황은 육계 등 닭에서 총 219천 마리의 폐사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밖에 돼지 5천 마리, 메추리 1천 마리 등이 폐사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 축종별 폐사 신고 접수현황(기준: 7.26, 단위: 마리) >

구분

 

 

 

돼지

오리

기타

(메추리)

합계

육계

산란계

토종닭

경기

33,788

29,076

360

4,352

323

-

1,000

35,111

강원

4,100

4,100

-

-

243

-

-

4,343

충북

18,148

13,648

-

4,500

40

-

-

18,188

충남

68,344

27,264

3,031

38,049

863

-

-

69,207

전북

36,462

18,890

200

17,372

664

100

-

37,226

전남

23,679

20,729

-

2,950

685

1,530

400

26,294

경북

17,461

17,251

210

-

355

-

-

17,816

경남

17,610

17,600

10

-

954

150

-

18,714

제주

-

-

-

-

354

-

-

354

기타*

-

-

-

-

134

-

-

134

총계

219,592

148,558

3,811

67,223

4,615

1,780

1,400

227,387

* 잠정 집계자료로 최종 집계시 변동 가능, * 기타 : 부산·대구·울산·세종


□ 혹서기(7~8월 중순)의 3분의 2가 지난 현재 폭염 피해 규모는 역대급 피해를 안겨준 2018년 피해 규모의 약 2% 수준에 불과하나, 향후 폭염 발생 일수에 따라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18년 및 `21년 폭염 피해 현황(단위: 마리) >

구분

돼지

오리

기타

합계

`18(A)

8,336,166

56,593

348,557

337,105

107

9,078,528

`21(B)

219,592

4,615

1,780

1,400

-

227,387

비중(B/A,%)

2.6

8.2

0.5

0.4

-

2.5

* 기타 : 메추리 등, * 연도별 피해현황 : (‘17) 7,260천마리 (’18) 9,079 (’19) 2,190 (’20) 103


< 축산분야 폭염 피해 예방대책 >
□ 축종별 적정사육밀도 유지·관리, 폭염 취약농가 대상 축사점검 및 시설개선 지원, 그 외 폭염정보 실시간 제공 및 현장기술 컨설팅 등 피해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ㅇ (사육밀도 관리) 농가들이 축종별 적정사육밀도를 준수하도록 관련 기관 합동 현장점검단*을 운영하여 상시점검을 추진하고, 적정 사육밀도 초과 시 가축재해보험 가입 제한**을 확대 시행한다.
     * 농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축산물품질평가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등(7.1일 구성)
    ** 적정밀도 초과 시 가축재해보험 제한 : (`21) 육계, 토종닭 → (`22) 돼지, 오리
 ㅇ (축사점검) 지자체·농축협·생산자단체와 협력, 폭염에 취약한 육계·산란계 사육농가를 포함한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환풍기, 냉방장치 설치·작동 여부 등 폭염 대비상황을 지속 점검한다.
     * 축산농가 대상 폭염대비 사전점검(1차: 5~6월, 47백개소 / 2차: 7.1~25일 15백개소)
     * 폭염취약 가금농가(육계 2,697, 산란계 1,262) 긴급점검(7.12~13, 환풍기 등 냉방장치 설치 및 작동여부 점검, 미흡 농가 신속 보수 등 지도)
 ㅇ (시설개선) 축사시설 개보수와 냉방장치·환풍기 등 폭염 피해 예방 장비 구입 등에 연초부터 축사시설현대화사업비*를 우선 지원해 왔고,
     * (폭염관련 지원) 50농가, 40억원 수준 / (지원조건) 융자 80%, 자부담 20%
   - 지자체에서도 자체 예산을 확보(총 200억 원 상당)하여 축사 냉방기 등 폭염 관련 장비* 등을 축산농가에 지원하고 있다.
     * 선풍기, 환풍기, 안개 분무시설, 축사지붕 스프링클러 및 비상발전기 등
 ㅇ (정보·기술 지원) 축산농가와 생산자단체 등을 대상으로 여름철 축사·가축 관리요령 등을 사전에 제공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 위험지역 사전 조치사항을 문자, 누리 소통방(SNS) 등을 통해 실시간 안내하고 있다.
     * 홍보 전단 2종 2.2만부 배부(5월~), 문자·SNS 등 27.8만회(7월~) 등
   - 아울러 농진청(축산과학원), 지자체 합동으로 폭염 대비 가축사양 및 축사 관리요령 등 가축피해예방 현장기술 컨설팅도 실시(6~8월) 중이다.
     * 현장기술지원단 : 5개반 46명 운영(축산과학원 축종 및 질병 관리담당자, 도・시・군 담당자)
 ㅇ (신속 대응)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지자체, 관계기관, 생산자단체 등 ‘축산재해 대응반’을 구성·운영하여, 정전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 축산분야 폭염 피해 농가 지원 >
□ (보험·복구비) 가축재해보험 가입 축산농가에 대해서는 신고 직후 손해평가를 거쳐 신속하게 보험금을 지급할 계획이며, 농가의 경영안정 차원에서 추정보험금의 50%를 우선하여 가지급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가축재해보험 미가입 축산농가에도 「농어업재해대책법」에 따라 전체 피해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지자체의 피해 현황 조사 후 어린 가축 입식비 등 재해복구비가 지원되며,
     * 시군구별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피해액이 3억원 이상일 경우
 ㅇ 피해가 심각한 농가(피해율 50% 이상)의 경우 생계비와 고등학생 학자금도 지원된다.
     * 생계비 123만원/4인가족, 고등학생 학자금 약 30~70만원대/1인(지역별 상이)
□ (재정금융·자재) 피해 축산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기 대출된 농축산경영자금 금리인하(1.5%→무이자) 및 상환연기(1→2년), 재해대책경영자금 신규대출(금리 1.5%) 등 정책금융을 지원하고,
 ㅇ 농협과 지자체 등을 통해서는 고온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보조사료 및 약제 등 필수 자재*를 지원하고 있다.
     * 비타민제, 생균제, 미네랄블록, 스트레스 완화제 등 사료첨가제 및 그 외 필수약품 등
    ** 지원실적: (시설·장비) 11백 농가, 31억원, (사료·약제) 76백 농가, 22억원
< 폭염으로 인한 축산물 수급 영향 >
□ 폭염으로 인해 육계농장을 중심으로 가축폐사가 발생하였으나 축종별로 전체 사육마릿수 대비 폐사마릿수 비중이 0.01~0.14% 수준에 그쳐 폭염으로 인한 수급불안 영향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ㅇ 특히, 계란 수급과 연관된 산란계는 강도 높은 사전대비 등의 효과로 1개 농장(3,000마리)을 제외하고는 피해 수준이 미미하여, 폭염으로 인한 공급감소 우려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축종별 피해 규모 및 폐사 비중(단위: 천마리, %) >

구분

육계

산란계

돼지

오리

2분기 사육마릿수(`21, A)

109,720

65,871

11,150

7,528

피해 마릿수(천마리, B)

148.6

3.8

4.6

1.8

폐사 비중(%, B/A)

0.14

0.01

0.04

0.02

 

< 향후 재해 대비 >
□ 앞으로도 전국에 걸쳐 발생하고 있는 폭염과 더불어 태풍 및 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고자 사전 시설점검, 신속한 정보전달 및 현장 컨설팅* 등을 실시하는 등 재해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고,
     * 축사 주변 배수로, 축사 전기설비 및 가축분뇨 유출여부 등 점검, 축산농가 대상 태풍·호우 관련 정보를 문자 등을 통해 수시 제공
 ㅇ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물적·인적자원을 적시에 차질 없이 투입*할 계획이다.
     * 피해시설 응급복구, 방역·가축 진료, 사체 및 분뇨 처리, 필수 자재 등 지원
□ 농식품부 박범수 축산정책국장은 “농식품부는 지자체·농축협·생산자단체 등과 협력하여 축산농가의 폭염 피해 예방 및 피해 농가 지원 등을 농가별로 세밀하게 추진하는 한편 축산물 수급 안정 등을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축산농가들은 폭염과 태풍, 집중호우 등에 따른 재해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자율적인 축사시설 점검 및 가축 관리 등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이 자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제27호 에이(A)-벤처스로‘(주)위미트’선정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