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데이터 리서치 브리프」4호 발간

2021.09.06 통계청
목록
통계개발원「데이터 리서치 브리프」4호 발간
- 데이터 거래를 활성화시킬 “데이터구독 플랫폼” 구축 대안 제시 -
19조 3천억원 규모의 국내 데이터 산업의 도약 촉진시키기를


□ 통계개발원(SRI, 원장 전영일)은 국가통계·데이터 혁신 연구를 촉진시키고, 민·관·학계와 데이터 협력개발의 도약을 위해「데이터 리서치 브리프(SRI Data Research Brief)」4호(vol.4)를 발간한다. 

□ 이번 호에서는「SRI 데이터경제센터」에서 수행한“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위한 구독통계 플랫폼 구축 연구”에 근거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국내 데이터 거래 및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변준석 센터장·박민정 박사(통계개발원)와 천정희 교수(서울대학교)가 공동으로 제안한 데이터 거래 혁신기법이다.  
    - 이 연구는 19조 2,736억원의 규모로 성장한 국내 데이터 산업의 도약을 위해서 데이터 거래 및 활용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거래 플랫폼」 개발 연구이다. 특히 자연발생적으로 활성화되기 어려운 데이터 거래시장의 문제점을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동형암호 및 차등정보보호 방법론을 적용한 “혁신적인 데이터 플랫폼”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 「데이터 구독 플랫폼」은 데이터 거래 활성화뿐 아니라, 플랫폼 기반 데이터 큐레이터 업체와 전문가 등을 육성함으로써 “데이터 거래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 센터장 변준석 박사는 “SRI 데이터경제센터는 급변하는 산업·경제환경 속에서 본격적인 데이터경제 시대 도래에 대응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데이터 중심 미래경제 환경 변화의 측정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은 국가디지털 경쟁력 분야에서 2020년 기준 세계 8위(스위스 IMD 국제경영개발연구원 조사)로서 클라우드산업, 인공지능 등 4차 산업 기술 발전에 따른 경제·산업구조변화 대응 및 그 효과 측정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 「SRI 데이터경제센터」는 디지털 기반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산업유형 출현에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경제 지표 및 계정 방법론 개발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데이터 리서치 브리프(SRI Data Research Brief)」는 조사표연구센터, 데이터정보 보호센터, 데이터경제센터, SDG데이터센터 등의 혁신적인 데이터 연구·개발 결과를 분기별로 발간하고 있다. 데이터 혁신과 민·관·학 협력 연구를 촉진시키는 소통의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  본 간행물은 통계개발원 홈페이지(http://sri.kostat.go.kr)의 “데이터 리서치 브리프” 메뉴에서 열람 가능하다.

“이 자료는 통계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산업부, '전기안전관리업무 실태조사' 결과 발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