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주간 국내 발생 신규환자 전주 대비 20.3% 감소(10.20.) ※ 8쪽 60대 이상 접종자 예방접종 효과 통계 수치 수정(19:52)
- 추가확산 위험은 여전히 상존, 방역수칙 준수 및 개인위생 철저, 예방접종 참여 당부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 최근 1주간(10.10.~10.16.) 국내발생 일평균 1,562명, 전주 대비 20.3% 감소
○ 확진자(4.1.~9.11.까지 총 167,967명) 중 백신 미접종자에서 83.6% 발생(1차 접종자 및 접종완료자에서 각각 12.9%, 3.5% 발생)
○ 최근 거리두기 완화 및 이동량 증가로 여전히 위험 상존, 방역수칙 준수, 개인위생 철저,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
◆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발생 현황
○ 최근 1주간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변이 검출률은 100%(전주 대비 0.2% 증가),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 |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
□ 최근 1주간(’21.10.10.~10.16.)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562.3명(국내 발생 10,936명)으로 전주(일평균 1,960.9명) 대비 20.3%(398.6명) 감소하여, 수도권·비수도권 모두 점진적으로 유행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215.6명(전체 환자 수 8,509명)으로, 전주(일평균 1,479.0명) 대비 17.8% 감소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346.7명(전체 환자 수 2,427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481.9명) 대비 28.1% 감소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0.86으로 2주 연속 1미만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도권은 0.90, 비수도권은 0.83이었다.
* 전국 Rt : 1.04(9월4주) → 1.20(9월5주) → 0.89(10월1주) → 0.86(10월2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18.0명(총 126명)으로 전주 대비(25.7명) 30%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10.16.) 주간 일일평균확진자수, 위중증 및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한 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9월4주 (9.19.~9.25.) |
9월5주 (9.26.~10.2.) |
10월1주 (10.3.~10.9.) |
10월2주 (10.10.~10.16.)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2,028.0 |
2,488.4 |
1,960.9 |
1,562.3(-20.3%) |
|
|
수도권 |
1,542.1 |
1,864.1 |
1,479.0 |
1,215.6(-17.8%) |
|
비수도권 |
485.9 |
624.3 |
481.9 |
346.7(-28.1%) |
||
해외유입 |
25.7 |
27.7 |
25.7 |
18.0 |
||
전 체 |
2,053.7 |
2,516.1 |
1,986.6 |
1,580.3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35.9 (5,094/14,196) |
34.6 (6,031/17,419) |
34.5 (4,735/13,726) |
38.7 (4,235/10,936)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30.2 |
31.3 |
31.8 |
30.0 |
|
감염재생산지수(Rt) |
1.04 |
1.20 |
0.89 |
0.86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69(▲3) |
98(▲14) |
85(▲41) |
32* |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324 |
327 |
361 |
368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47 |
63 |
56 |
84 |
||
가용 중환자실(개) |
499 |
518 |
462 |
504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연령군) 모든 연령군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60대 이상 연령군은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이 18% 이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학령기 연령군은 13~15세 연령군을 제외한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0.16.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9월 4주 (9.19.~9.25.) |
환자수 |
14,196 |
849 |
1,305 |
3,122 |
2,608 |
2,551 |
1,691 |
1,284 |
561 |
225 |
일평균발생률 |
3.9 |
3.1 |
3.9 |
6.6 |
5.4 |
4.4 |
2.8 |
2.7 |
2.2 |
1.6 |
|
9월 5주 (9.26.~10.2.) |
환자수 |
17,419 |
1,107 |
1,792 |
4,338 |
3,259 |
2,620 |
1,835 |
1,414 |
669 |
385 |
일평균발생률 |
4.8 |
4.0 |
5.3 |
9.1 |
6.8 |
4.5 |
3.0 |
3.0 |
2.6 |
2.7 |
|
10월 1주 (10.3.~10.9.) |
환자수 |
13,726 |
932 |
1,516 |
2,771 |
2,456 |
2,197 |
1,578 |
1,383 |
563 |
330 |
일평균발생률 |
3.8 |
3.4 |
4.5 |
5.8 |
5.1 |
3.8 |
2.6 |
2.9 |
2.2 |
2.4 |
|
10월 2주 (10.10.~10.16.) |
환자수 |
10,936 |
878 |
1,338 |
1,891 |
1,909 |
1,676 |
1,218 |
1,151 |
542 |
333 |
일평균발생률 |
3.0 |
3.2 |
4.0 |
4.0 |
4.0 |
2.9 |
2.0 |
2.4 |
2.1 |
2.4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일평균 발생률(10.16. 0시 기준) >
연령별 |
9월 4주 (9.19.~9.25.) |
9월 5주 (9.26.~10.2.) |
10월 1주 (10.3.~10.9.) |
10월 2주 (10.10.~10.16.) |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
계 |
1,943 |
3.4 |
2,635 |
4.6 |
2,284 |
4.0 |
2,083 |
3.6 |
||
6세 이하 |
560 |
3.1 |
731 |
4.1 |
599 |
3.3 |
559 |
3.1 |
||
7∼12세 |
605 |
3.1 |
815 |
4.2 |
664 |
3.4 |
627 |
3.2 |
||
13∼15세 |
401 |
4.1 |
552 |
5.7 |
459 |
4.7 |
469 |
4.8 |
||
16∼18세 |
합계 |
377 |
3.7 |
537 |
5.3 |
562 |
5.5 |
428 |
4.2 |
|
|
16세 |
151 |
4.6 |
198 |
6.0 |
260 |
7.8 |
189 |
5.7 |
|
17세 |
139 |
4.0 |
209 |
6.1 |
201 |
5.8 |
175 |
5.1 |
||
18세 |
87 |
2.5 |
130 |
3.8 |
101 |
2.9 |
64 |
1.9 |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48.4%, 5,356명) 및 ‘조사 중 비율’(38.3%, 4,235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9월4주) 44.4%(6,376명)→ (9월5주) 49.8%(8,777명) → (10월1주) 46.6%(6,487명) → (10월2주) 48.4%(5,35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9.19.~10.16.)>
구 분 |
9월 4주 (9.19.~9.25.) |
9월 5주 (9.26.~10.2.) |
10월 1주 (10.3.~10.9.) |
10월 2주 (10.10.~10.16.) |
||||
전체 |
14,376명 |
(100%) |
17,613명 |
(100%) |
13,906명 |
(100%) |
11,062명 |
(100%) |
확진자 접촉 |
6,376명 |
(44.4%) |
8,777명 |
(49.8%) |
6,487명 |
(46.6%) |
5,356명 |
(48.4%) |
지역 집단발생 |
2,489명 |
(17.3%) |
2,310명 |
(13.1%) |
2,261명 |
(16.3%) |
1,119명 |
(10.1%)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234명 |
(1.6%) |
300명 |
(1.7%) |
243명 |
(1.7%) |
226명 |
(2.0%) |
해외유입 |
180명 |
(1.3%) |
194명 |
(1.1%) |
180명 |
(1.3%) |
126명 |
(1.1%) |
해외유입 관련 |
3명 |
(0.0%) |
1명 |
(0.0%) |
0명 |
(0.0%) |
0명 |
(0.0%) |
조사중(미분류) |
5,094명 |
(35.4%) |
6,031명 |
(34.2%) |
4,735명 |
(34.1%) |
4,235명 |
(38.3%)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4,196명 |
(25.3%) |
4,934명 |
(29.8%) |
3,906명 |
(23.6%) |
3,524명 |
(21.3%) |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32건으로 사업장 10건, 교육시설 9건, 다중이용시설(실내체육시설, 음식점, PC방 등) 4건, 의료기관/요양시설 4건, 종교시설 1건, 가족 및 지인모음 1건, 기타 3건이 발생하였다.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68명(전주 364명), 사망자는 84명(전주 56명)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9월5주) 324명→(10월1주) 361명 →(10월2주) 368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9월5주) 63명 → (10월1주) 56명 → (10월2주) 84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9월5주) 518개→(10월1주) 462개→(10월2주) 504개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10월 2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에서 238명(64.7%), 다음으로 40~50대가 100명(27.2%), 30대 이하가 30명(8.1%)이었다.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0월 2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75명(8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9명(10.7%)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및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위중증·사망자 접종현황) ’21년 4월 3일∼9월 11일까지 확진자 총 167,967명 중 백신 미접종자는 83.6%(140,450명), 1차 접종자는 12.9%(21,639명), 접종완료자는 3.5%(5,878명)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는 3,557명(2.12%)이었으며, 미접종자 79.4%(2,824명/3,557명), 1차 접종자 17.5%(624명), 접종완료자 3.06%(109명)이었다.
-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1.0%(1,600명/1,758명), 1차 접종자 8.42%(148명), 접종완료자 0.57%(10명)이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68.0%(1,224명/1,799명), 1차 접종자는 26.5%(476명), 접종완료자는 5.5%(99명)이었다.
□ (외국인현황) 외국인 발생 비중은 20.9%(2,281명)로 2주 연속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9.1% 높은 수준으로, 전주(9.4%) 대비 0.3%p 감소하였다(10.11. 기준).
<이동평균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식당, 카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박물관,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에 대한 7일 이동 평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월 2주 주간 확진자가 감소하였으나, 사적모임 인원제한 완화 및 다수의 미접종군에 의한 추가 확산 위험이 여전히 우려된다고 밝혔다.
○ 최근 외국인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60%이상 집중 발생하였으며, 의료기관에서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60대 이상 연령대가 증가되었다.
○ (거리두기 완화로 추가확산 위험) 10월 1주 이후 확진자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9월말부터 시작된 이동량 증가 영향 누적과 사적모임 인원 제한 완화 등으로 인한 재확산 위험이 여전히 있으며,
- 특히, 수도권은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고 주간 일평균 발생률 10명(4단계 기준 2.5배) 초과 시군구도 다수로 불안 요소가 상존해 있다.
* (10월2주) 경기 동두천시(11.8명), 안산시 단원구(12.8명), 서울 구로구(15.2명), 서울 중구(18.1명)
○ (미접종군으로부터 유행 우려 지속) 50세 이상 고위험군 약 148만 명을 포함한 천만 이상의 미접종군이 남아있는 바, 거리두기 완화 시 미접종자로부터 유행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 따라서, 방역당국은 미접종자의 접종율을 높이기 위해 예방접종 효과와 이상반응에 대한 체계적 분석·안내를 지속할 것이다.
○ (학생관련 방역대응 강화) 등교 확대 이후 교내 유행이 증가하다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 10.3.∼10.16. 동안 초·중·고 학생관련 집단감염 14건 / 222명 발생하는 등 감염 위험 상존
- 수능(11.18.)을 약 한달 앞둔 시점에서 수능 대비 특별팀 운영을 통해 학교 주변에 대한 집중 방역을 진행하고, 12-17세 예방 접종을 대비한 예방 접종 부작용 발생 대응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 (외국인 확진자 증가 위험) 최근 외국인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60%이상 집중 발생하고 있으며, 핼러윈데이 등을 맞아 외국인이 많이 모이는 지역 중심으로 유행·확산이 우려된다.
- 이에, 방역당국은 10월말까지 젊은 층 외국인 주요 출입 지역에 대해 관계부처, 지자체와 협조하여 적극적인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 (60세이상 위중증·사망자 증가) 최근 의료기관에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60대 이상 연령대가 증가하였다.
* 60대 이상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 9월3주 166명 → 10월2주 238명
** 60대 이상 사망자 : 9월3주 27명 → 10월2주 75명
- 이는 유행 장기화에 따른 노출 기회 증가와 예방 접종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종효과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어 추가 예방접종이 필요한 상황인 바, 방역당국은 추가 접종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 60대 이상 접종자 예방접종효과: 96.5% (4.3.~8.14) → 80.9%(4.3.~10.3) / ▲15.6%
○ 방역당국은 최근 확진자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거리두기 완화로 인하여 추가 확산의 위험은 여전히 있는 만큼, 방역수칙 준수와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켜주시기를 당부하였다.
2.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발생 현황 |
□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은28.5%(국내 27.6%, 해외 93.2%)이다.
* 분석률 =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 기간 내 확진자수
- 최근 1주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100.0%로 전주 대비 0.2% 증가하였고,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되었다. (10.16. 0시 기준)
* (델타변이) 국내 99.8%(10월1주) → 100.0%(10월2주)
해외유입 97.1%(10월1주) → 97.8%(10월2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0.16. 기준)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감마형 |
델타형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
6월4주 |
642 |
18.7 |
196 |
30.5 |
175 |
27.3 |
- |
- |
- |
- |
21 |
3.3 |
9월4주 |
2,939 |
23.4 |
2,924 |
99.5 |
1 |
0.03 |
- |
- |
- |
- |
2,923 |
99.5 |
9월5주 |
3,085 |
16.8 |
3,070 |
99.5 |
- |
- |
- |
- |
- |
- |
3,070 |
99.5 |
10월1주 |
3,275 |
22.8 |
3,267 |
99.8 |
- |
- |
- |
- |
- |
- |
3,267 |
99.8 |
10월2주 |
3,245 |
27.6 |
3,245 |
100.0 |
- |
- |
- |
- |
- |
- |
3,245 |
100.0 |
- 추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3,383건으로,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43,054건*이다.
* 총 43,054건(+3,383): 알파형 3,293명(+1), 베타형 151명(+1), 감마형 27명(+1), 델타형 39,583명(+3,380)
- 이 중, 138건은 해외유입 사례, 3,245건은 국내감염 사례였다.
3. 돌파감염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평가 목적으로 실시 중인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2,317만 4,126명 중 0.073%(73.2명/10만 접종자)에 해당하는 16,972명*으로(10월 10일 기준),
* (4월) 2명, (5월) 7명, (6월) 116명, (7월) 1,180명, (8월) 2,764명, (9월) 8,911명, (10월) 3,992명
- (연령대별) 30대가 0.140%(140.3명/10만 접종자)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 (백신종류별)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244%(243.5명/10만 접종자),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50%(49.9명/10만 접종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085%(84.5명/10만 접종자),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6%(5.5명/10만 접종자)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62%(61.5명/10만 접종자)이었다.
* 교차접종자: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
【백신종류별/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고】
- (중증화) 돌파감염 추정사례 중 위중증자는 253명, 사망자는 65명이었다.
- (변이현황) 변이바이러스 분석을 완료한 3,425명 중 93.3%(3,196명)에서 주요변이(델타형 3,163명, 알파형 30명, 감마형 2명, 베타형 1명)가 확인되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
6.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7.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의료인용)
8.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주요 FAQ
9.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0.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의료인용)
11.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주요 FAQ
12.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3.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 안내 홍보물
14.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 예방접종 안내
15.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16.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1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2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21.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22.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23.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24.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2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설명자료)기재부·외교부·산업부 등 관계 부처간 긴밀히 협조하여 디지털세 국제 논의에 대응하고 있음(10.20일자 한국경제 보도에 대한 설명)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