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 배포) 국립고궁박물관, ‘이달(11월)의 추천 유물’로 ‘오대산사고본’ 소개
-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가치와 의미, 공개(온라인 동시)/ 10.31.~ -
- 첨부파일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을 1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고궁박물관 2층 상설전시장 ’조선의 국왕실‘에서 소개하고, 10월 31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 대까지 25대에 걸친 472년(1392~1863)간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여 편찬한 국가기록물이다. 실록은 같은 책을 여러 부 만들어 서울의 춘추관, 성주, 충주, 전주의 사고에 나눠 보관했다. 임진왜란(1592년) 당시 전주사고본만 남게 되자 이를 바탕으로 실록 4부를 다시 간행하고, 춘추관, 강화도 마니산, 평안도 묘향산, 경상도 태백산, 강원도 오대산의 사고에 분산 봉안했다. 그중 오대산사고본은 1606년(선조 39년) 무렵 강원도 평창의 오대산사고에 보관하던 실록이다.
오대산사고에는 본래 총 788책의 실록이 보관되어 있었으나, 현재 75책만이 남아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75책은『성종실록』9책, 『중종실록』50책, 『선조실록』15책, 『효종실록』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오대산사고본 중 『성종실록』과『중종실록』은 교정쇄본으로 글자 수정·삭제·첨가 등 다양한 교정 부호와 흔적이 남아있어, 실록을 완간하기 직전의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참고로 오대산사고본은 2006년 일본에서 환수하여 올해로 15주년이라 이번 공개에 의미가 더욱 크다.
전시는 관람인원을 제한하지 않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된다.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도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Present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National History Archive on Odaesan Mountain” as the Curator’s Choice for November
- The Significance of the Odaesan Edition of the Annals to Be Presented in the Gallery and Online / Starting October 31-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In Kyu),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has selected the edi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at was housed at the National History Archive on Odaesan Mountain as its “Curator’s Choice from the Royal Treasures” for the month of November. In addition to being displayed in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permanent gallery on the second floor of the museum, the Odaesan edition will be presented virtually in a YouTube broadcast through the channel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tarting October 31.
*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YouTube: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YouTube: https://www.youtube.com/chluvu
Known in Korean as Joseon wangjo 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a form of national documentary heritage detailing the reigns of Korea’s kings over a period of 472 years (1392 1863) spanning from the reign of the first sovereign King Taejo to the twenty-fifth, King Cheoljong. Multiple sets of the annals were produced and separately stored at the Chunchugwan (Bureau of State Records) in Seoul and also at the history archives in Seongju, Chungju, and Jeonju. However, all of the existing copies except the versions stored in Jeonju were lost during the first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 Four new editions of the annals were made based on this surviving Jeonju edition. The Jeonju edition and the four newly produced copies were stored at the Chunchugwan in Seoul and in regional history archives established on Manisan Mountain on Ganghwado Island, Myohyangsan Mountain in Pyongan-do Province, Taebaeksan Mountain in Gyeongsang-do Province, and Odaesan Mountain in Gangwon-do Province. The Odaesan edition refers to the copy of the annals that was stored at the archive on Mt. Odaesan situated in Pyongchang, Gangwon-do Province around 1606 (the 3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A total of 788 volumes had originally been stored at the National History Archive on Odasesan Mountain. However, only 75 volumes have survived to today. These are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75 volumes are comprised of nine volumes of the annals of King Sejongjone, 50 on King Jungjong, 15 on King Seonjo, and one on King Hyojong. The volumes that are presented as the Curator’s Choice for November are proofreading copies of the annals of King Seongjong and King Jungjong. These volumes show various proofreading and editing marks, including on the changes to, deletions of, and additions to the letters, and are therefore highly valuable for allowing the observation of the details of the finishing stages of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annals.
The museum may currently be access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in place to reduce the potential for the spread of COVID-19. Those who are unable to visit the gallery in person can still enjoy this month’s Curator’s Choice virtually through a video with Korean and English subtitles available on the museum’s website (gogung.go.kr). Our visitors can also see on the YouTube channels of the museum an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조선왕릉, 가을 맞아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최신 뉴스
-
[정책 바로보기] 금융위 "새출발기금 도덕적 해이 방지 위해 다양한 보완장치 운영"
-
영업자를 위한 신규 위생용품 수입신고 절차 가이드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여름철 재해 대비 자원봉사 및 온기나눔 집중기간(7.7.~9.30.) 운영
- 2025년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국민 여러분이 직접 뽑아주세요!
-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매체(미디어) 표준 경쟁 본격화
- 7월 국립중앙과학관 「별의별 과학특강」
- '25년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
- 「소방안전 표어포스터사진」 2025년판 공모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