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위중증 환자의 79%가 60대 이상 -
- 의료대응체계 안정적 유지, 감염병전담병원 가동률 60%,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 54% -
- 주간(10.31~11.7) 일 평균 위중증 환자는 365명, 전주보다 32명(9.6%) 증가 -
- 주간(10.31~11.7) 총 사망자 수는 126명, 전주보다 41명(48.2%) 증가 -
- 주간(10.31~11.7) 일 평균 2,133.6명 확진, 전주보다 417.4명(24.3%) 증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이승우 제2총괄조정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주간 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주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를 평가하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코로나19 치료 병상 현황 등 의료대응체계는 현재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1,121병상을 확보(11.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4.4%로 51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 229병상이 남아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55병상을 확보(11.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2.2%로 172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68병상이 남아 있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10,056병상을 확보(11.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0.2%로 4,007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006병상이 남아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87개소 17,951병상을 확보(11.8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0.1%로 8,95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2,031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60.6%로 4,74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
구분 | 무증상·경증(輕症) | 중등증(中等症) | 준중증(準-重症) | 위중증(危重症) | |||||
---|---|---|---|---|---|---|---|---|---|
생활치료센터 | 감염병 전담병원 | 준-중환자병상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
전국 | 17,951 | 8,951 | 10,056 | 4,007 | 455 | 172 | 1,121 | 511 | |
수도권 | 12,031 | 4,741 | 4,655 | 1,006 | 276 | 68 | 687 | 229 | |
중수본 | 2,955 | 1,165 | - | - | - | - | - | - | |
서울 | 5,632 | 2,393 | 2,160 | 473 | 81 | 38 | 345 | 119 | |
경기 | 2,302 | 732 | 1,867 | 341 | 172 | 29 | 263 | 87 | |
인천 | 1,142 | 451 | 628 | 192 | 23 | 1 | 79 | 23 | |
비수도권 | 5,920 | 4,210 | 5,401 | 3,001 | 179 | 104 | 434 | 282 | |
중수본 | 844 | 633 | - | - | - | - | - | - | |
강원 | 381 | 293 | 388 | 261 | 5 | 3 | 36 | 21 | |
충청권 | 1102 | 820 | 1378 | 694 | 49 | 37 | 101 | 59 | |
호남권 | 700 | 416 | 949 | 620 | 10 | 4 | 67 | 54 | |
경북권 | 1206 | 745 | 1141 | 601 | 28 | 24 | 93 | 54 | |
경남권 | 1527 | 1175 | 1271 | 594 | 82 | 33 | 125 | 83 | |
제주 | 160 | 128 | 274 | 231 | 5 | 3 | 12 | 11 |
어제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11.8. 0시 기준)는 493명으로, 수도권 471명(서울 277명, 경기 176명, 인천 18명), 비수도권 22명(부산 1명, 대구 2명, 강원 6명, 충북 1명, 충남 9명, 경북 3명) 이다.
< 주간 신규 재택치료 현황 > (단위 : 명)
시도 | 계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
---|---|---|---|---|---|---|---|---|---|
신규 | 현원 | ||||||||
합계 | 3,544 | 363 | 457 | 633 | 544 | 538 | 516 | 493 | 3,879 |
수도권 | 3,410 | 356 | 433 | 618 | 522 | 513 | 497 | 471 | 3,727 |
비수도권 | 134 | 7 | 24 | 15 | 22 | 25 | 19 | 22 | 152 |
지난 한 주(10.31.~11.6.) 하루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65명이고, 60대 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79.2%)을 차지한다. 그 전 주간(10.24.~10.30.)의 333명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지난 한 주(10.31.~11.6.) 총 사망자 수는 126명이고, 최근 5주간 사망자 총 452명 중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 325명(71.9%) 이다.
지난 한 주(10.31.~11.6.)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14,935명, 1일 평균 2,133.6명으로, 그 전 주간(10.24.~10.30.)의 1,716.2명에 비해 417.4명 증가(24.3%)하였다.
1일 평균 60세 이상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630.9명으로, 그 전 주간(10.24.~10.30.)의 420.6명에 비해 210.3명 증가하였다.
수도권 환자는 1,686.9명(10.31.~11.6.)으로, 그 전 주간(1,342.1명)에 비해 344.8명(25.7%) 증가하였다. 비수도권 환자는 446.7명(10.31.~11.6.)으로, 그 전 주간(374.1명)에 비해 72.6명(19.4%) 증가하였다.
감염재생산지수는 1.20으로, 지난주(1.06)에 “1” 이상의 값으로 확산세를 유지 중이다.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
구 분 | 10월2주 (10.10.~10.16.) | 10월 3주 (10.17.~10.23.) | 10월4주 (10.24.~10.30.) | 11월1주 (10.31.~11.6) |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84 | 101 | 85 | 126 |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368 | 343 | 333 | 365 | ||
일일 평균 확진자 수(명) | 국내발생 | 1,561.9 | 1,338.9 | 1,716.2 | 2,133.6(24.3%) | |
수도권 | 1,215.4 | 1,043.0 | 1,342.1 | 1,686.9(25.7%) | ||
비수도권 | 346.4 | 295.9 | 374.1 | 446.7(19.4%) | ||
해외유입 | 18.0 | 18.4 | 21.9 | 20.1 | ||
전 체 | 1,579.9 | 1,357.3 | 1,738.3 | 2,153.7 | ||
감염재생산지수(Rt) | 0.86 | 0.88 | 1.06 | 1.20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92 | 80 | 117 | 49*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국내 | 35.2 | 38.9 | 39.9 | 36.9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국내 | 32.8 (3,589/10,933) | 29.0 (2,721/9,372) | 27.8 (3,345/12,015) | 30.0 (4,482/14,935)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10.31.~11.6.)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 | 제주 | ||
---|---|---|---|---|---|---|---|---|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 1,686.9명 (344.7) | 130.3명 (24.6) | 65.0명 (17.3) | 94.0명 (-5.6) | 122.4명 (28.7) | 28.1명 (7.6) | 6.9명 (-) | |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11.6.기준) | 6.5명 | 2.4명 | 1.3명 | 1.9명 | 1.6명 | 1.8명 | 1.0명 | |
즉시 가용 중환자실(11.6.기준) | 217개 | 54개 | 46개 | 51개 | 74개 | 20개 | 9개 |
11월 8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완료한 국민은 76.6%이다. 특히, 18세 이상을 기준으로 할 경우 89.1% 이다.
* 1차 접종률은 전 국민 기준 80.9%, 18세 이상 성인 기준 92.6%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2만 9962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5만 1856건의 검사가 이루어졌다.(11.8.0시기준)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181개소*를 운영(11.7. 0시 기준) 중이며, 그간(12.14.~11.8.0시) 총 1911만 6412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134개소(서울 56개소, 경기 67개소, 인천 11개소) / 비수도권 : 47개소(전남 12, 울산 8, 부산 5, 대전 4, 충남 4, 대구 3, 전북 3, 광주 2, 강원 2, 경남 2, 세종 1, 경북 1)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640여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고,
- 어제는 하루 동안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563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2.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방역현장 점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방역상황’을 점검하였다.
11월 7일(일)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7만 945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1만 609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6만 336명이다.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1,571명 감소하였다.
11월 7일(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5,416개소), 실내체육시설(555개소) 등 23종 시설 총 13,422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8건에 대해 현장 지도하였다.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912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69개 반, 184명)으로 심야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종교시설(5,962개소)를 대상으로 10개 시·도(2,288명)에서 점검을 실시하였다.
< 붙임 > 1. 단계적 일상회복 1차 개편 주요 방역수칙2.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관련 질의답변3. 단계적 일상회복 관련 질의답변4. 감염병 보도준칙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47회 「국가품질경영대회」 품질혁신 유공자 포상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해수부, 부산 연내 이전 총력…'추진기획단'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