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1.28.)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1월 28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32,431명으로 총 42,510,125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45,760명이 기본접종을 완료하여 총 40,900,924명이 기본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추가접종은 70,433명으로 총 2,842,146명이 추가접종을 받았다.
구분 |
전일 누계(A) |
신규 접종(B)1) |
누적 접종(A+B)1) |
인구2)대비 접종률 |
||
18세 이상 |
||||||
기본 접종 |
1차접종 |
42,477,694 |
32,431 |
42,510,125 |
82.8 |
93.4 |
기본완료 |
40,855,164 |
45,760 |
40,900,924 |
79.7 |
91.3 |
|
추가접종 |
2,771,713 |
70,433 |
2,842,146 |
|||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과 ‘기본 완료’ 통계에 모두 추가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명) |
||||||||||
구분 |
전일 누계(A) |
신규 접종(B) |
누적 접종(C=A+B) |
|||||||
계 |
기본 |
1차 접종(a=d+f+i+l) |
42,477,694 |
32,431 |
42,510,125 |
|||||
기본 완료(b=e+g+j+l) |
40,855,164 |
45,760 |
40,900,924 |
|||||||
추가 접종(c=h+k+m) |
2,771,713 |
70,433 |
2,842,146 |
|||||||
AZ1) |
기본 |
1차 접종(d) |
11,117,686 |
1 |
11,117,687 |
|||||
2차 접종(e) |
11,027,987 |
230 |
11,028,217 |
|||||||
교차접종 |
1,767,303 |
150 |
1,767,453 |
|||||||
PF |
기본 |
1차 접종(f) |
23,175,767 |
30,972 |
23,206,739 |
|||||
2차 접종(g) |
21,954,415 |
38,933 |
21,993,348 |
|||||||
추가 접종(h) |
2,064,014 |
51,239 |
2,115,253 |
|||||||
M1) |
기본 |
1차 접종(i) |
6,685,651 |
1,388 |
6,687,039 |
|||||
2차 접종(j) |
6,374,172 |
6,527 |
6,380,699 |
|||||||
교차접종 |
27,704 |
2,021 |
29,725 |
|||||||
추가 접종(k) |
694,534 |
19,113 |
713,647 |
|||||||
J2)(i) |
기본 접종(l) |
1,498,590 |
70 |
1,498,660 |
||||||
추가 접종(m) |
13,165 |
81 |
13,246 |
|||||||
1)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백신의 경우 AZ-PF, M-PF 교차접종자를 포함시키고, AZ-PF, M-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기본접종이 완료되므로 1차 접종과 기본접종 완료 합계에 모두 추가 |
□ 11월 28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기본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기본접종 현황】 (단위: 명, %) |
||||||
구분 |
인구*(A) |
접종자 현황 |
접종률 |
|||
1차접종(B) |
기본완료(C) |
1차접종 (B/A) |
기본완료 (C/A) |
|||
계 |
51,349,116 |
42,510,125 |
40,900,924 |
82.8 |
79.7 |
|
성별 |
남성 |
25,602,326 |
21,200,408 |
20,356,097 |
82.8 |
79.5 |
여성 |
25,746,790 |
21,309,717 |
20,544,827 |
82.8 |
79.8 |
|
연령별 |
80세 이상 |
2,255,736 |
1,903,817 |
1,862,667 |
84.4 |
82.6 |
70-79세 |
3,757,129 |
3,532,774 |
3,496,649 |
94.0 |
93.1 |
|
60-69세 |
7,140,703 |
6,840,748 |
6,767,458 |
95.8 |
94.8 |
|
50-59세 |
8,570,076 |
8,245,285 |
8,135,458 |
96.2 |
94.9 |
|
40-49세 |
8,109,221 |
7,532,339 |
7,365,759 |
92.9 |
90.8 |
|
30-39세 |
6,686,639 |
6,058,190 |
5,835,193 |
90.6 |
87.3 |
|
18-29세 |
7,619,756 |
7,120,064 |
6,849,111 |
93.4 |
89.9 |
|
12-17세 |
2,768,836 |
1,276,908 |
588,629 |
46.1 |
21.3 |
|
11세 이하 |
4,441,020 |
- |
- |
- |
- |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1월 2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47명, 사망자는 5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48명(치명률 0.80%)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
재원중 위중증 환자** |
사망누계 |
입원환자*** |
11.27.(토) 0시 기준 |
634 |
3,492 |
640 |
11.28.(일) 0시 기준 |
647 |
3,548 |
746 |
변동 |
(+)13 |
(+)56 |
(+)106 |
* 11.27. 0시부터 11.28.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93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92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40,896명(해외유입 15,673명)이다.
구분 |
합계 |
서 울 |
부산 |
대 구 |
인 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 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 북 |
경남 |
제 주 |
검 역 |
국내 |
3,893 |
1,668 |
147 |
106 |
276 |
52 |
53 |
4 |
5 |
1,083 |
61 |
23 |
120 |
44 |
25 |
103 |
88 |
35 |
0 |
해외 |
35 |
8 |
1 |
0 |
2 |
0 |
0 |
0 |
0 |
7 |
2 |
2 |
1 |
1 |
0 |
0 |
1 |
0 |
10 |
합계 |
3,928 |
1,676 |
148 |
106 |
278 |
52 |
53 |
4 |
5 |
1,090 |
63 |
25 |
121 |
45 |
25 |
103 |
89 |
35 |
10 |
○ 11월 2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9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616.1명), 수도권에서 3,027명(77.8%) 비수도권에서는 866명(22.2%)이 발생하였다.
(주간: 11.22.~11.28., 단위: 명) |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1.28.(0시 기준) |
3,893 |
3,027 |
201 |
121 |
209 |
239 |
61 |
35 |
주간 일 평균 |
3,616.1 |
2,849.9 |
204.1 |
118.4 |
158.7 |
190.7 |
68.0 |
27.3 |
주간 총 확진자 수 |
25,313 |
19,942 |
1,429 |
829 |
1,111 |
1,335 |
476 |
191 |
주간 발생률* |
7.0 |
10.9 |
3.7 |
2.3 |
3.1 |
2.4 |
4.4 |
4.0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4.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5.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의료기관 유의사항
6. 추가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7.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사업자용)
8. 접종증명·음성확인제 Q&A 카드뉴스 (이용자용)
9.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사업자용)
10.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포스터 (이용자용)
11.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1탄 (대상자, 건강관리 편)
12. 재택치료 안내 카드뉴스 2탄 (생활관리, 격리관리 편)
13.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4.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소아청소년용)
15. 소아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16.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
17.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홍보물
18. 오늘의 백신 안내문(접종기관용)
19.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20.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21.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22.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23.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24.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25.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2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민권익위, 국가청렴도 향상 위해 국제투명성기구와 적극 소통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
해수부, 부산 연내 이전 총력…'추진기획단' 출범
최신 뉴스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참고] '25년 국토교통부 제2회 추가경정예산 확정
- (참고) 2025년 고용노동부 소관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은 정부가 제출한 1조 5,837억원 규모로 확정되었습니다.
- AI분야 제2회 추경 1,793억원 본회의 의결, 신속한 AI 대전환, 골든 타임 대응에 총력
- 해양수산부 추가경정예산안 876억 원 확정
-
이 대통령 "대한민국, 수도권 일극 아닌 전국이 골고루 함께 발전해야"
- [해명] 수도권 '6만+a' 가구 공급대책 나온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 (참고자료)미국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미측과 고위급 관세 협상 추진
-
정부 "SKT 위약금, 약관상 면제 적용 가능…회사 귀책 사유"
- 한우법 제정에 따른 재정부담 우려는 낮으며, 축종별 별도 법 제정 필요성 등 논의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