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 한국 순회설명회(로드쇼) 개최

□ 12월 10일(금)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될 예정

□ 국내 창업기업의 아태지역 진출 촉진, 역내 개도국의 혁신과 지속가능한 성장 해결책 발굴을 위해 개최

글자크기 설정
목록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와 기획재정부(장관 홍남기, 이하 기재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 한국 순회설명회(로드쇼)(ADB Ventures Korean Roadshow)’가 12월 10일(금)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온·오프라인 혼합 방식으로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1968년 설립된 다자개발은행으로,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등 68개국이 회원으로 참여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 한국 순회설명회(로드쇼)’는 중기부, 기재부, 아시아개발은행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벤처투자가 주관하는 행사로,
 
한국 정부가 참여*(’20.6월)한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펀드**를 소개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국내 창업기업의 아태지역 진출을 촉진하는 한편,
 
* 중기부가 운영하는 모태펀드에서 1천만불, 기재부가 아태지역 개도국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아시아개발은행(ADB) ‘이(e)-아시아 지식협력 신탁기금’에서 5백만불 출자
 
** 아시아개발은행 벤처 펀드(ADB Ventures Fund) : 아태 개도국의 지속가능 발전에 필요한 청정기술, 핀테크, 농업, 보건 분야 창업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조성한 펀드(총 6천만불)
 
역내 개도국의 혁신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해결책을 발굴하기 위해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크게 개회식과 아시아 창업기업 생태계에 관한 패널토론,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 소개, 창업기업 공모전으로 구성된다.
 
개회식에서는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 기재부 개발금융국장, 아시아개발은행(ADB) 민간투자국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임팩트 벤처캐피탈인 디(D)3쥬빌리파트너스 이덕준 대표가 ‘아시아 혁신기술 촉진 방안’에 관한 기조발언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아시아 창업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주제로 참석자 토론을 진행하여 한국의 우수한 사례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의 벤처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아시아개발은행(ADB) 측이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의 투자현황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벤처투자의 중요성 등에 대해 발표하고,
 
아시아개발은행(ADB) 투자를 받은 국내 기업 ‘이그린글로벌’과 ‘이노씨에스알’을 소개한다.
 
마지막에는 지난 9월부터 진행된 ‘아시아태평양 지속가능발전 사업모델 공모전’ 본선 진출기업 중 3개 기업을 최종 선발해 시상*하고,
 
* 중기부장관상 1점, 아시아개발은행벤처상 1점,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상 1점
 
본선 진출기업인 트리플앤, 에이런, 이퀄, 잇그린, 누비랩 총 5개 기업은 아태지역의 ‘기후변화 대응’과 ‘성평등’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발표한다.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공모전 결선 진출 기업 중심으로 최소한으로 현장 참석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관심 있는 국내외 기업과 (예비)창업가도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도 실시간 중계*할 예정이다.
 
* 중계 : 한국벤처투자 유튜브(https://youtu.be/SvYP7yMy86w)
* 상세정보 :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 누리집(https://ventures.adb.org)
참가 등록 및 안내 페이지(https://forms.gle/cVapySmoj7xQk1Em8)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펀드(ADB Ventures Fund)는 아태지역 개도국의 지속가능 발전에 필요한 청정기술, 핀테크, 농업, 보건 분야 창업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6천만불 규모로 조성되어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직접 운영하는 펀드이다.
 
국내 기업인 ‘이그린글로벌’이 연구실에서 대규모로 씨감자를 재배(Lab to Farm)할 수 있는 자체개발한 조직배양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10월에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펀드로부터 250만불 규모 투자 유치를 성공한 바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아시아개발은행(ADB) 벤처펀드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혁신 기업들이 투자를 유치하고, 역내 개도국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최근 해외 벤처캐피탈(VC)의 국내 기업에 대한 열렬한 투자 열기 속에 2.3조원을 추가 조성한 글로벌펀드*를 통해 국내 유망 벤처창업기업의 해외투자 유치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 모태펀드가 출자하고 해외 벤처캐피탈이 운용하면서 국내외에 투자하는 펀드로, ‘13년~‘20년까지 총 33개, 3.7조원 규모로 운용 중
 
해외 투자설명회(IR)를 개최하는 등 기업과 해외 투자자 간 교류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투자과 정지혜 사무관(☎ 044-204-7714) 또는 기획재정부 국제기구과 박은결 서기관(☎ 044-215-872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ADB 벤처 한국 로드쇼 개요
 
□ 행사 개요
 
(행사명) ADB 벤처 한국 로드쇼(ADB Ventures Korean Roadshow)
 
(일시) ’21.12.10(금) 13:30~17:00, (장소) 드림플러스 강남(서울 서초구)
 
* 유튜브 생중계 병행(한국벤처투자, https://youtu.be/SvYP7yMy86w)
 
(주최) 중기부, 기재부, 아시아개발은행, (주관) 한국벤처투자
 
(참석자) 국내 창업기업, 국내·외 인큐베이터 및 임팩트 벤처 캐피탈, 창업기업 투자 전문가 등
 
□ 세부 일정
 
시간 내용 발표자
13:30-13:45 개회식 개회사 (ADB) Suzanne Gaboury
민간투자국장
(기재부) 이종화 개발금융국장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
13:45-14:00 키노트 스피치 D3쥬빌리파트너스 이덕준 대표
14:00-14:45 (세션1) 아시아 창업기업 생태계 활성화
 
- 한국의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아태지역 개도국 벤처 생태계 조성방안 논의
서울특별시 임재근 과장,
본투글로벌 장석진 이사,
사이공 이노베이션 허브
Hyun Kim Tuoc 대표,
스타트업지놈 Stephen Kuester
14:45-15:20 (세션2) ADB 벤처 소개
 
- ADB 벤처 및 旣투자 한국기업 소개
ADB 벤처 선임투자전문가
Dominic Mellor,
이그린글로벌 신기준 대표,
이노씨에스알 이윤석 대표
15:20-15:30 휴식시간 -
15:30-16:50 (세션3) ‘아태 지속가능발전 사업모델 공모전’ 참가기업 발표 및 시상식
 
- 5개 기업 발표, 3개 기업 시상
-
16:50-17:00 폐회사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
참고2   아태 지속가능발전 사업모델 공모전 참가기업
 
기업명[지원분야] 설립일 주요 제품 및 특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트리플앤.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5pixel, 세로 87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20.5 - 개발도상국 인재와 협력하는 원격근무 기반 IT 용역(사회혁신 분야 특화) 수행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 개발도상국 IT 인재와 협력해 사회혁신 분야 특화 IT 기술 개발, 디지털 전환 촉진 및 공학계열 여성 졸업자의 취업률과 불평등 문제 해결
 
* (주요이력) 고용노동부 주최 2021년 소셜벤처경연대회 글로벌 부문 최우수상 수상
트리플앤(주)
[성평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에이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530pixel ‘15.5 - 환경오염물질 저감용 공법인 NCFS(마이크로 필터링 시스템) 개발해 폐수처리 비용 절감 및 물환경 개선
 
* (주요이력) 20년 TIPS R&D 사업 및 해외마케팅 사업 선정, 미국 물산업 액셀러레이터인 Imagine H20 선정기업
㈜에이런
[기후변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362pixel ‘20.11 아시아 지역 긱이코노미 노동자들을 위한 초소형 전기 화물차 개발
- 도심 물류 최적화 친환경 전기 화물차를 개발해 도심 대기 오염 문제 해결 및 플랫폼 노동자들의 근무환경 개선

* (주요이력) 퓨처플레이 투자, TIPS R&D 사업 선정기업
㈜이퀄
[기후변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잇그린.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73pixel, 세로 435pixel ‘20.11 - 일회용품 저감을 위한 용기 순환 플랫폼, 다회용기 리턴 서비스 ‘리턴잇’,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일회용품 쓰레기 문제를 해결, 현재 배달앱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 시장으로 해외진출 계획 중
 
* (주요이력) 롯데벤처스, 스파크랩, CJ제일제당 투자업체
㈜잇그린
[기후변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누비랩.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36pixel, 세로 175pixel ‘18.11 - AI 푸드 스캔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절감 솔루션 개발
- 식사 전/후 사용자 식판을 스캐닝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감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 감축에 기여
 
* (주요이력) 네이버 D2SF, 서울투자파트너스, 위벤처스, 캡스톤파트너스 투자업체
㈜누비랩
[기후변화]
참고3   ADB 벤처 및 펀드I 개요
 
1. ADB 벤처(ADB Ventures) 개요
 
□ (설립목적) 클린테크, 핀테크, 농업, 보건 등 분야 벤처기업의 기술도입 지원을 통한 아태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 추진
 
□ (주요사업) ①개도국 벤처기업에 적합한 기술 및 사업모델 발굴, ②파일럿 사업, ③벤처투자 펀드(ADBV 투자펀드I) 운영
 
□ (운영방식) [TA단계]「ADBV 임팩트랩」(발굴) →「ADBV SEED」(초기무상지원) → [투자단계]「ADBV 투자펀드 I」(지분/준-지분 투자)
 
2. ADB 벤처 투자펀드I 운영 현황
 
□ (출자내역) 우리나라(기재부, 한국모태펀드)는 ADB 벤처 투자펀드I 창립 공여기관으로 총 1,500만불 출자
 
< ADBV 투자펀드I 투자 현황 >
공여국(기관) 투자(백만불) 비중(%)
핀란드(외교부) 21.55 36
한국 기획재정부 5.00 8 25
중기부(한국모태펀드) 10.00 17
청정기술기금*(CTF) 13.00 22
노르딕개발기금**(NDF) 9.74 16
합 계 59.29 100
 
* ’05년 세계은행 산하에 설립된 기후변화 대응기술 특화 신탁기금
 
** ’89년 설립된 덴마크·핀란드·아이슬란드·노르웨이·스웨덴의 다자개발금융기관
 
□ (투자대상) 동남아시아·남아시아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성평등 보장 등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초기창업기업에 선별 투자
 
□ (운영방식) 투자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ADB 내부 2인 및 외부전문가 2인으로 구성된 펀드투자위원회(FIC)에서 투자 결정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통계청, ‘21년 3분기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포상 수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