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위한 전문가 포럼 개최

2021.12.06 해양수산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위한 전문가 포럼 개최

- 갯벌 등 블루카본 국제인증 전략 논의를 위한 국제포럼 개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국내외 블루카본 관련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식물이 살지 않는 비식생 갯벌을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국제적인 인증받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12월 7일(화) 제주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블루카본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전략 포럼’을 개최한다.

  * 블루카본(Blue Carbon) : 갯벌, 잘피, 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포함한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

 

  탄소중립주간(12.6~10)을 맞아 개최된 본 행사는 ‘갯벌 및 블루카본을 통한 해양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주제로 갯벌을 포함한 블루카본의 국제인증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온라인·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행사 현장에는 기후변화 및 블루카본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외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우리나라, 미국 등 세계 주요국의 블루카본 및 기후변화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역할과 국제인증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또한, 국내 해양학과 대학원생 및 학부생들에게도 탄소중립 관련 블루카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가 지원한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개발연구(2017-2021)’에 따르면 우리나라 갯벌은 연간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자동차11만대가 연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 규모이다.

 

  그러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배출원을 규명하고 각 배출원에 따른 배출량을 산정하는 통계시스템 작성 시, 국제적 기준이 되는 현행 ‘IPCC*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지침’은 해양부문 탄소흡수원으로 염습지, 맹그로브, 잘피림만을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갯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식생 갯벌은 지침서에 탄소흡수원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우리 갯벌을 블루카본으로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전체 갯벌 2,482km2 중 비식생 갯벌 2,447km2, 염습지 35km2

 

  이에 해양수산부는 2021년부터 갯벌 식생 복원사업을 신규로 시행하여 국내 염습지 면적을 확대하는 동시에 비식생 갯벌 역시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인증받기 위한 공동연구, 국제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갯벌에 이은 새로운 블루카본 발굴 및 탄소흡수력 규명을 위한 연구개발(R&D)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블루카본 신규인증 및 확대는 2050 탄소중립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그간 육상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탄소흡수원 논의를 해양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 포럼에서 논의를 통해 블루카본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고, 빠른 시일 내에 갯벌을 국제적인 공식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관심국들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어촌에 부는 새로운 바람, 어촌뉴딜300 사업대상지 선정 완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