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설명)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강화를 위해 배출권거래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임[MBC 2021.12.15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2021.12.16 환경부
목록

○ 2021년 12월 15일자 MBC <남아도는 공짜 탄소 배출권.. 포스코와 삼성은 오히려 배출권 팔아 돈 남겼다!>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 보도 내용에 대한 환경부 설명내용


○ 정부는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참여를 더욱 촉진하기 위하여 배출권거래제도를 개선해 나갈 계획임  


[배출권 거래제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감축에 기여해왔음]


○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온실가스 多배출 업체*에게 배출가능한 총량(배출권)을 정해주고, 부족 및 잔여 배출권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임  


* 온실가스 배출량이 12만 5,000톤 이상인 업체 또는 2만 5,000톤 이상인 사업장 보유 업체


- 배출권거래제의 배출허용총량은 국가 전체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경로를 기준으로 배출권거래제 비중(약 70%)을 적용하여 산정하며, 


- 배출권거래제의 총 배출량은 '19년 전년대비 2.2%, '20년 7.5% 감소하여 2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는 등 감축성과가 있었음


[유상할당 비율을 점진적인 확대를 추진하겠음]


○ 배출권은 배출책임과 탄소누출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무상 또는 유상으로 할당되며, 그간 유상할당 비율을 상향**해왔음 


* 탄소누출(Carbon leakage) : 기업이 탄소배출에 따른 비용부담을 경감·회피하기 위하여 배출규제 수준이 낮은 나라나 장소로 사업장 등을 이전


** (1차 계획기간, '15~'17) 100%무상→(2차, '18~'20) 3%유상→(3차, '21~'25) 10%유상


-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책임을 강화하기 위하여 중장기적으로 유상할당 비율을 점진적으로 상향하는 방향으로 이해관계자들과 지속 논의 중임


[온실가스의 선도적 감축 유도를 위해 인센티브를 확대해나가겠음]


○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경우 기업의 감축유인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온실가스를 선도적으로 감축한 기업에게 부여되는 인센티브도 확대**할 계획임  


* (과거배출량 기준 할당) 업체의 과거 3년간 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계획기간별 감축비율을 고려하여 할당량을 산정


** 현행 감축실적 인정 범위 및 대상을 확대하는 내용으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취소에 관한 지침'을 개정 추진('21.12)

“이 자료는 환경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 점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