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및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2016∼2020)’에서 수집된 자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2020 한국의 산림자원」과 「제2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진단·평가」결과를 발표했다.
□ 국가산림자원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 산림자원의 현황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1974년부터 우리나라의 산림자원을 5년마다 조사하였으며, 본 보고서는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 산림기본통계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산림면적은 전체 국토면적의 62.6%인 629만㏊를 차지하고 있으며, 1974년말 기준 664만㏊ 대비 약 35만㏊가 감소하였다.
○ 숲속 나무의 밀집도를 나타내는 단위면적 당 임목본수는 1㏊당(100m×100m)당 1,129본(11년생 이상)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숲의 나무 수는 약 72억 그루로 추정된다.
○ 산림의 울창한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면적당 임목축적을 수종별로 분석한 결과, 일본잎갈나무(낙엽송)가 216㎥/㏊로 가장 우수했다. 우리나라에 가장 넓게 분포하는 소나무도 200㎥/㏊로 양호했지만, 대표적인 활엽수종인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는 134∼17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숲에는 살아있는 나무(입목바이오매스), 죽어있는 나무(고사목), 낙엽층, 토양에 탄소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고에 쌓여 있는 탄소량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와 국가고유계수*를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 2020년말 기준의 총 탄소저장량은 885백만 Cton으로 전체 탄소저장량의 62%는 살아있는 나무에 저장되어 있으며, 토양, 낙엽층, 고사목은 각각 32%, 6%. 0.3%를 차지하였다.
* 국가고유계수 : 임목축적 등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통계량을 정량화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저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선정할 때 활용함. 국가고유계수는 국가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별로 개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산림청이 개발하고,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검증이 완료된 계수를 적용함.
□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국 산림의 80.3%가 건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 건강성은 수목 건강성, 식생 건강성, 토양 건강성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며, 평가 지표와 지수는 2016년 산림 분야 전문가 20명에 의해 개발되었다.
○ 수목의 건강을 진단하는 지표인 수관활력도* 분석에서는 산림을 구성하고 있는 수목 중 92.0%의 수관활력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5년 전 89.9%에 비해 수관활력도가 높은 수목의 비율이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중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의 수관활력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수관활력도 : 수목의 건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가지와 잎의 피해가 적을수록 수관활력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함
○ 식생건강성 지표인 전국 식물 종 다양성 지수*는 2.50으로 5년 전 결과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주요 수종의 중요치*는 변화하였다. 소나무와 신갈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의 상층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로 중요치가 높은 종이었으나 이들의 중요치가 전차기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중층에서는 전차기 첫 번째 우점종인 소나무의 순위가 두 번째로 낮아지고 두 번째 순위였던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아졌다. * 종 다양성 지수 : 식물 종 다양성 지수는 구성종의 수와 개체수를 기준으로 산출되며 식생구성 상태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척도임 * 중요치 : 산림식물 군집내 특정 식물종의 영향력 또는 우세력에 대한 평가 지표임
○ 반면 토양 건강성 지표의 변동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유효토심은 26㎝로 전차기 조사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토양 pH(깊이 10㎝ 기준)도 4.9로 전차기 pH 4.8과 크게 차이가 없었다.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원명수 센터장은 “우리나라 산림은 5년 전보다 산림면적이 0.6% 줄어든 반면 임목축적은 꾸준히 늘고 있다”라며 “앞으로 숲을 건강하게 잘 가꾸고 숲이 제공하는 무한한 가치를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산림통계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629만㏊를 차지하는 산림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최신 ICT 기술의 융복합 및 위성영상 자료의 활용 등 빅데이터 기반의 고도화된 정보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며, 보다 과학적으로 숲을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개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