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
◈ 병상 확충으로 중환자 병상 가동률 60%대로 개선 및 입원 대기환자 0명 복귀
- 11월 1일 이후 총 5,491병상 확보(12.31.0시기준), 12월 29일에만 580병상 확보(일일 최대치)
- 병상가동률의 경우 중증병상은 11월 23일 이후 처음으로 60%대, 준중증 병상은 11월 18일 이후 처음 50%대 기록
※ 가장 많은 병상을 담당하는 감염병전담병원(중등증)과 생활치료센터(경증)병상가동률 40%대 기록 (전국 감염병전담병원 49.8%, 생활치료센터 49.7% )
- 병상 대기환자는 12월 12일 수도권만 1,739명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감소, 11월 1일 이후 약 2달 만에 다시 0명으로 복귀
◈ 다만, 여전히 높은 위중증 환자 발생 및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강화된 거리두기 연장은 불가피
* 위중증 환자 1,056명(12월 31일 기준)
*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12월 3일 6명 → 12월 31일 894명)
◈ 국민의 적극적 참여로 고령층 3차 접종 및 청소년 접종 큰 폭 증가
- 3차접종 지난 1주간(’21.12.26.~’22.1.1.) 총 321.6만건, 인구대비 41.7% 접종
-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접종 증가(누적 1,000만건 돌파, 인구대비 77.2%)
- 12~17세 청소년 1차 접종률도 75.0%를 돌파, 12~15세도 1차 접종률 69.0%로 청소년 접종 지속 증가
◈ 오미크론 변이 등의 영향으로 전 세계 일일 발생 최대치 경신
- 전 세계 신규 발생 급증, 신규발생 546만명으로 전주 대비 20% 증가(12.20.~12.26.)
- (주요국 확진 현황/51주) 미국 136만명(+54.2%), 영국 68만명(+19.6%), 프랑스 50만명(+40.9%) 등 주간 발생 역대 최다
1. 병상 확충 현황 (※ 해당일 0시 기준 병상수를 기준으로 작성함)
□ 12월 4주(12.19.~12.25.) 간 전 주 대비 총 696병상이 확충되었다.
○ 12월 25일(12월 4주 최종일) 기준으로 이전 월(11.30.기준) 대비 총 3,354병상이 확충되었다.
< 12월 4주(12.19.~25.)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
계 |
계 |
중등증(中等症)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
준중증(準重症)병상 준-중환자병상 |
중증(重症)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12월 25일 |
전국 |
15,883 |
13,533 |
1,001 |
1,349 |
수도권 |
8,066 |
6,615 |
602 |
849 |
|
비수도권 |
7,817 |
6,918 |
399 |
500 |
|
확충현황 |
이전 주(12.18.) 대비 |
696 |
572 |
74 |
50 |
이전 월(11.30.) 대비 |
3,354 |
2,634 |
516 |
204 |
|
12월 18일 |
전국 |
15,187 |
12,961 |
927 |
1,299 |
수도권 |
7,681 |
6,247 |
597 |
837 |
|
비수도권 |
7,509 |
6,714 |
333 |
462 |
|
11월 30일 |
전국 |
12,529 |
10,899 |
485 |
1,145 |
수도권 |
6,107 |
5,087 |
306 |
714 |
|
비수도권 |
6,430 |
5,812 |
178 |
440 |
□ 12월 31일 0시 기준으로는, 11월 1일 이후 총 5,491병상 확충되었고,
○ 12월 29일 하루동안 일일 최대치인 하루 580병상을 확충하였다.
< 12월 31일 기준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
계 |
계 |
중등증(中等症)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
준중증(準重症)병상 준-중환자병상 |
중증(重症)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12월 31일 |
전국 |
17,085 |
14,227 |
1,356 |
1,502 |
수도권 |
8,984 |
7,072 |
916 |
996 |
|
비수도권 |
8,101 |
7,155 |
440 |
506 |
|
11월 1일 |
전국 |
11,594 |
10,056 |
455 |
1,083 |
수도권 |
5,598 |
4,655 |
276 |
667 |
|
비수도권 |
5,996 |
5,401 |
179 |
416 |
|
확충현황 |
5,491 |
4,171 |
901 |
419 |
ㅇ 11월 1일부터 중증도별 총 병상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ㅇ 12월 4주 병상가동률은 전 주 대비 수도권 준중증 병상을 제외하고 감소하였다.
구분 |
11월4주 (11.21.~.11.27.) |
12월1주 (11.28.~12.4) |
12월2주 (12.5.~12.11) |
12월3주 (12.12.~12.18) |
12월4주 (12.19.~12.25) |
증감 |
|
(중증병상)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70.6 |
78.3 |
79.1 |
81.6 |
79.3 |
▼2.2 |
|
|
수도권 |
83.4 |
87.8 |
84.9 |
86.5 |
85.5 |
▼1.0 |
|
비수도권 |
50.3 |
62.8 |
68.5 |
72.6 |
68.8 |
▼3.8 |
(준중증 병상)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
67.6 |
70.2 |
70.0 |
72.8 |
71.5 |
▼1.3 |
|
|
수도권 |
81.3 |
78.6 |
72.2 |
79.7 |
80.0 |
0.3 |
|
비수도권 |
43.2 |
55.6 |
65.4 |
60.2 |
57.7 |
▼2.5 |
(중등증 병상)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67.3 |
70.2 |
71.9 |
75.0 |
68.5 |
▼6.5 |
|
|
수도권 |
76.2 |
76.5 |
77.2 |
77.3 |
73.2 |
▼4.1 |
|
비수도권 |
59.5 |
64.7 |
67.3 |
72.8 |
64.1 |
▼8.7 |
※ 1월 2일(일) 0시 기준 병상가동률
(중증 병상) 전국 60.9%, 수도권 62.3%, 비수도권 58.1%
(준중증 병상) 전국 48.2%, 수도권 48.6%, 비수도권 47.3%
(중등증 병상) 전국 44.8%, 수도권 43.7%, 비수도권 45.9%
□ 병상 대기환자(생활치료센터, 병원 모두 포함)는 12월 12일 수도권만 1,739명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감소하여 11월 1일 이후 약 2달만에 다시 0명으로 복귀하였다.
□ 병원 입원대기자는, 12월 13일에 802명이라는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빠르게 감소하여, 다시 0명이 되었다.
□ 다만, 위중증 환자 발생* 및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강화된 거리두기 조치를 2주간(1.3~1.16.) 연장·시행하게 되었다.
* 주간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 807명(12월2주) → 945명(12월3주) → 1,054명(12월4주)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 0.2%(12월1주) → 1.1%(12월2주) → 1.8%(12월4주)
2. 백신 접종 현황
□ 3차 접종은 지난 1주일간 총 321.6만건의 신규접종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인구 대비 접종률은 40%를 넘었고(34.4%→41.7%), ’21년말까지 접종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70%(58.0%→70.2%)를 넘어섰다.
* ’21.12.31일까지 2차 접종 완료 후 3개월이 지나는 18세 이상 인구 수 (단, 면역저하자 및 얀센백신 1차 접종자는 2개월 기준)
ㅇ 특히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이 두드러져, 누적 접종건수는 1,000만건 이상(918.0만건→1,016.0만건)을 기록하고 있으며, 접종률은 인구 대비 77.2%(전주 대비 7.4%p▴), 대상자 대비 88.0%(전주 대비 8.5%p▴)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고령층의 경우 연내 접종대상자의 약 90%가 3차 접종에 참여해주셨다.
<’22.1.1일 0시 기준, 연령별 3차 접종 진행상황>
구분 |
인구(A)(명) |
대상자(B)(명) |
누적 접종자(C)(명) |
접종률(%) |
||
인구대비 (C/A) |
대상자대비 (C/B) |
|||||
총계 |
44,139,260 |
26,221,281 |
18,411,821 |
41.7 |
70.2 |
|
60세 이상 |
13,153,568 |
11,543,293 |
10,160,827 |
77.2 |
88.0 |
|
|
75세 이상 |
3,890,185 |
3,298,915 |
3,027,174 |
77.8 |
91.8 |
60-74세 |
9,263,383 |
8,244,378 |
7,133,653 |
77.0 |
86.5 |
|
50-59세 |
8,570,076 |
6,153,997 |
3,583,424 |
41.8 |
58.2 |
|
18-49세 |
22,415,616 |
8,523,991 |
4,667,570 |
20.8 |
54.8 |
ㅇ ’21년 12월 한 달 동안 실시한 고령층의 집중접종기간의 효과 역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지난 11월 27일 60세 이상의 3차 접종 건수는 1,653,450명(인구 대비 12.2%)이었으나, 5주 뒤인 1월 1일 기준으로는 접종건수 10,160,827명(인구대비 77.2%)으로, 850만건의 신규접종이 이루어졌으며, 접종률도 65.0%p 높아졌다.
<60세 이상 집중접종기간 중, 인구 대비 3차 접종률 추이> : 본문 참조
□ 청소년(12-17세) 접종도 지속적으로 증가, 1차 접종률은 75.0%(전주 대비 5.6%p▴), 2차 접종률은 50.7%(전주 대비 3.9%p▴)를 기록하고 있으며, 각각 75%와 50%를 넘어섰다.
ㅇ 특히, 12-15세의 적극적인 접종이 증가세를 견인했다. 같은 기간 중, 12-15세의 1차 접종은 11.7만건, 2차 접종은 9만건 증가하였으며, 접종률은 각각 6.3%p, 4.8%p 증가했다. 그 결과 1차 접종률은 70%에 근접했으며, 2차 접종률은 40%를 넘었다.
<’22.1.1일 0시 기준, 청소년의 1·2차 접종 진행상황>
|
인구수(명) |
누적 접종건수(명) |
접종률(%) |
||
1차 접종 |
2차 접종 |
1차 접종 |
2차 접종 |
||
전체 |
2,768,836 |
2,076,259 (+153,656) |
1,402,711 (+106,324) |
75.0 (+5.6%p) |
50.7 (+3.9%p) |
16-17세 |
908,280 |
791,993 (+35,761) |
658,224 (+16,064) |
87.2 (+3.9%p) |
72.5 (+1.8%p) |
12-15세 |
1,860,556 |
1,284,266 (+117,895) |
744,487 (+90,260) |
69.0 (+6.3%p) |
40.0 (+4.8%p) |
* 괄호 안은 전주 대비 증감
3.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하여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이 20% 증가하여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12.20.∼12.26. 1주간 전 세계 신규발생은 546만명(WHO 기준)으로 이전 주 대비 20% 증가하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 (51주) 확진 5,463,443명(+20.0%), 사망 46,066명(-1.5%)
- 미국은 발생이 급증하며 올해 1월 초 이후 최대의 발생을 기록하였고, 미주 지역 56개 국가 중 28개 국가(50%)에서 전주 대비 10% 이상 발생이 증가하였다.
* 미국: (51주) 확진 1,360,736명(+54.2%), 사망 10,512명(+20.1%)
- 유럽 지역은 284만명으로 전체 발생의 57%를 차지하였다. 영국은 2주 연속, 프랑스는 3주 연속 주간 발생 역대 최다를 기록하였다.
* 유럽: (51주) 확진 2,842,375명(+3%), 사망 23,900(-12%)
* 영국: (51주) 확진 683,874명(+19.6%), 사망 687명(-12.6%)
* 프랑스: (51주) 확진 504,642명(+40.9%), 사망 1,099명(+9.6%)
- 아시아 지역의 경우 그 이전 주와 유사한 수준으로 발생하였으나, 일본의 경우 4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다.
* 아시아: (51주) 확진 238,654명(+0%), 사망 3,063명(-3%)
* 일본: (51주) 확진 1,738(+59.7%), 사망 8명(+33.3%)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6.∼’21.12.26., WHO) : 본문참조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2.27.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1.12.20.∼12.26.) |
예방접종률(%) (’21.12.26.) |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치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1회 이상 |
접종 완료 |
|
미국 |
51,775,769 |
809,908 |
156,421 |
2,447 |
3,808 |
30.0 |
73.0 |
61.3 |
영국 |
12,111,408 |
147,860 |
178,409 |
2,178 |
8,853 |
9.5 |
75.7 |
69.3 |
프랑스 |
8,838,667 |
119,970 |
135,897 |
1,845 |
7,759 |
16.9 |
78.0 |
72.8 |
독일 |
6,991,381 |
110,364 |
84,065 |
1,327 |
2,379 |
25.6 |
73.2 |
70.2 |
일본 |
1,731,515 |
18,387 |
13,690 |
145 |
14 |
0.1 |
79.5 |
78.1 |
이스라엘 |
1,363,883 |
8,242 |
157,573 |
952 |
1,049 |
0.6 |
70.1 |
63.4 |
한국 |
607,463 |
5,245 |
11,849 |
102 |
826 |
10.2 |
84.8 |
82.0 |
* (예방접종률 기준) 독일 12.25., 일본 12.23.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올 설에는 상 받은 우수 농식품을 선물해보세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