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 배포) 국립고궁박물관, ‘이달(3월)의 추천 유물’로 ‘난도’ 소개
- 종묘제사에 올리는 짐승‘희생(犧牲)’을 잡을 때 쓴 칼(온라인 동시 공개)/ 3.2.~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난도’를 3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고궁박물관 지하층 상설전시장 ’왕실의례실‘에서 소개하고, 3월 2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난도는 종묘 등 국가제사에 올리는 짐승을 잡을 때 사용하던 칼이다. ‘난’은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등의 그림에서 칼 손잡이 부분에 세 개의 방울이, 칼등과 칼코에 각 한 개씩 방울이 달려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난도 두 점은 방울이 남아 있지 않지만 방울이 매달려 있던 구멍은 확인할 수 있다. 철로 만들어졌는데, 두 점 중 한 점에는 칼날과 손잡이 연결 부위, 손잡이에 은으로 무늬를 새겨 넣었다.
종묘제사에는 소·돼지·양을 잡아 각 짐승의 털과 피, 간과 창자 사이 기름 등을 제사상에 올렸다. 이렇게 올리는 짐승을 희생(犧牲)이라고 하는데, 왕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는 그 상태를 직접 점검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희생을 잡을 때도 정해진 절차와 형식을 엄격히 따랐는데, 이때 사용하던 칼이 바로 난도다. 칼에 달린 다섯 개의 방울은 고대로부터 사용하던 다섯 가지 음계(궁·상·각·치·우)를 나타낸다. 난도를 흔들어 방울을 울리게 하며, 이때 음의 조화를 이룬 뒤에야 고기를 잘랐다고 한다.
잡은 희생의 털과 피는 넓은 쟁반 모양의 모혈반(毛血槃)이라는 제기에 담고, 간과 창자 기름은 간료등이라는 그릇에 담는데, 이때 간은 울창(鬱)이라는 제사용 술로 씻었다. 제사상에 올리고 남은 털과 피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두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땅에 잘 묻었다. 난도는 제사를 지낼 때 배향자에 대한 극진한 예우와 후손의 공경심을 드러내는 도구였다.
* 울창(鬱): 튤립을 넣어 만든 자줏빛 술
전시는 관람인원을 제한하지 않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된다.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도 공개한다.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Presents “Butchering Knife for Ritual Offerings” as the Curator’s Choice for March
- A Knife for Sacrificing the Animals Offered at Rites at the Jongmyo Shrine to Be Presented in the Gallery and Online / Starting March 2 -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In Kyu),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has selected the “Butchering Knife for Ritual Offerings” as its “Curator’s Choice from the Royal Treasures” for the month of March. In addition to being displayed in the Royal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Gallery on the basement floor of the museum, it will be presented virtually in a YouTube broadcast on the channel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tarting March 2.
*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YouTube: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YouTube: https://www.youtube.com/chluvu
The Butchering Knife for Ritual Offerings is a knife that was used for sacrificingthe animals offered at the state rites performed at official venues, including the Jongmyo Shrine. This type of knife is known as a nando in Korean (the first character nan signifies ‘bell.’) Illustrations such as the Folding Screen of Illustrated Instructions for Rites Held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dicate that sacrificial knives of this type featured three bells on their hilts and one each at the spine and tip. The two examples of this kind of knife hous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ave both lost their bells, but the holes through which they were attached are clearly visible. They are made primarily of iron, but one of the knives features a design inlaid in silver on the hilt and the area connecting it to the blade.
Cows, pigs, and lambs were slaughtered for rites performed at the Jongmyo Shrine, and their fur, blood, livers, and intestinal fat were offered on a ritual table. The sacrifices presented at rituals were an important part of the rites performed at the Jongmyo Shrine, much so that the king inspected the condition of the offerings prior to the rites that he conducted. Animals were sacrificed only in accordance with strict procedures, and this butchering knife was used on such occasions. The five bells attached to the knife indicated the five notes―gung, sang, gak, chi, and wu―that were recognizedstarting in ancient times. The knife was wielded to sound the bells, and it is said that the animal was cut only when the sounds of the bells struck a harmony.
The fur and blood of the sacrificed animal were placed in a wide tray-like ritual vessel known as a mohyeolban. The liver and intestinal fat were set in a vessel known as a gannyodeung after the liver had been rinsed with a ritual liquor known as ulchang. The remaining fur and blood were placed in a clean vessel and carefully buried after the performance of the rite. The Butchering Knife for Ritual Offerings reveals the deep respect offered by descendants towards their ancestors when performing memorial rites.
Although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visitors allowed in the gallery, all visitors to the museum must abide by the requirements in place to reduce any potential spread of COVID-19. Those who are unable to visit the gallery in person can still enjoy this month’s Curator’s Choice virtually through a video with Korean and English subtitles available on the museum’s website (gogung.go.kr) and on the YouTube channels of the museum an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2년 제1차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최신 뉴스
- 제4차 우크라이나 복구회의(URC) 참석
- 국민과 함께 경제 회복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 제32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 결과
-
한미일 외교장관회담…"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확고" 재확인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사업 현장 근로자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영주국유림관리소, 온열질환 예방 등 산림사업 참여 근로자 안전점검 -
- 이 대통령, 언론인 오찬 회동 관련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브리핑
-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계기 아시아 5개국과 양자 회담 개최
- 새만금 해창석산, 산림치유와 휴양관광 공간으로 조성
- 새만금청, 성심당과 새만금 빵카데미 개최
-
질병청, 15일부터 스마트 '입국자 검역 서비스' 시범사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