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한·미 FTA 발효 10주년 계기, 굳건한 한미 경제동맹 및 공급망·경제안보 협력 강화 - 정부·국회 합동 대표단, 기념 행사 등 참석차 방미... 양국 통상장관, 최초 현장 동행 - 대러 수출통제, 인태경제프레임워크 공조, 철강 232조, 전문직 비자쿼터 등 아웃리치 추진 |
□정부·국회 대표단은 3.14(월)∼18(금)(현지시간) 워싱턴 D.C., 미시간, 뉴욕을 방문하여 한미 FTA 발효 10주년을 기념하고, 미 정부·의회·싱크탱크·기업인 등을 대상으로 전방위 아웃리치를 추진할 예정
ㅇ 이번 방미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국회 이학영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훈식 의원(더불어민주당), 한무경 의원(국민의 힘) 등 여야 의원들이 함께 참가할 계획임
□ ’22.3.15(화)로 발효 10주년을 맞이하는 한-미 FTA는 지난 10년간 양국 경제협력 관계의 핵심기반으로 양국의 교역과 투자 증진에 기여하며 상호호혜적으로 작용해 온 것으로 평가되는 바,
* 한-미 교역규모(억불) : (’11) 1,008 → (’21) 1,691 (68%↑)
* 한-미 투자(발효전·후 10년간 누적투자액 기준) : 한→미 약 3배, 미→한 약 2배 규모로 확대
ㅇ 정부 및 국회대표단은 캐서린 타이(Katherine Tai) USTR 대표, 미 의회 등과 공동으로 3.15(화) 워싱턴 D.C.에서 대한상의와 미 상의(US Chamber of Commerce)가 주최하는 “한-미 FTA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한 한-미 FTA 10년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할 계획임
ㅇ 또한 우리 대표단은 한미FTA의 개시, 타결, 비준 과정에서 많은 기여를 한 미 의회 상하원 의원*들을 만나 한미 경제동맹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지지에 사의를 표하고, 대러 수출통제 공조, 미측이 추진중인 『인태경제프레임워크』, 철강 232조, 전문직 비자(H-1B) 쿼터 등 한미 통상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계획임
* Tom Carper 상원의원, Kevin Brady 하원 세입위원 간사, Young Kim 하원의원 등
ㅇ 더불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한미경제연구소(KEI)가 공동 주관하는 “한-미 FTA 10년의 평가와 미래” 세미나, 워싱턴의 대표적인 통상전문기관인 국제통상협회(WITA*) 초청 웨비나를 통해 미 통상전문가들이 보는 한미FTA의 성과, 평가 및 향후 한미통상협력 방향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를 진행할 계획
* WITA(Washington Internationa Trade Association) : 국제통상이슈에 대한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토론회를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 워싱턴의 최고 통상 포럼
□ 이어 USTR의 초청으로 3.16(수)에는 한미 반도체 공급망 협력의 상징인 미시간 주 SK실트론 공장을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캐서린 타이(Katherine Tai) USTR 대표가 함께 방문할 계획임
* 미시간 SK 실트론 공장은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여 미국과 한국에 공급하고 있으며, 주로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와 실리콘카바이드(SiC) 에피텍셜 웨이퍼를 생산
ㅇ 이는 지난 2년여의 팬데믹 및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중요한 통상의제로 대두되고 있는 양국 반도체 공급망 협력 사례를 점검하고, 양국간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바이오, 핵심 광물 등 다양한 핵심산업분야의 공급망 협력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추진된 것으로
ㅇ 양국 통상 수장이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의 위기 상황하에서, 미국내 한국기업의 반도체 투자 공장을 함께 방문하는 최초의 사례로 의미가 있으며, 그레천 휘트머(Gretchen Whitmer) 미시간주 주지사도 참가하여 한국 기업의 미시간 주 투자시의 공급망 협력 강화 및 기업 투자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임
□ 마지막 방문지인 뉴욕(3.17∼18)에서는 미국 외교협회(CFR) 등과 한미 경제안보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ecity), 한국기업인들 및 외국인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미FTA 10주년 계기의 아웃리치를 전개할 계획임
* CFR(Council on Foreign Relations) : 국제정세 이해도 제고 및 국제관계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1921년에 출범한 싱크탱크의 역할을 하는 비정부기구
* Korea Society : 한미 상호간의 이해와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57년에 창설된 비영리 단체
ㅇ 또한 트럼프 행정부 당시 한미 FTA 개정협상 과정에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으로 핵심적 역할을 한 게리 콘(Gary Cohn) IBM 부회장을 만나 한미 통상현안 및 발전방향을 논의할 계획임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12일부터 김장철 수산물 최대 50% 할인…전통시장선 환급 행사도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겨울 난방비 최대 59만 2000원 지원
-
이 대통령 "경기북부 상황 안타까워…합리적인 일들 최대한 빨리 처리"
-
탄소중립위,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안' 의결
-
이 대통령 "내년 더 중요…잠재성장률 반등시킬 정책 역량 총집중"
-
이 대통령 "수도권 일극 체제 개선…중앙·지방, 동등한 협력의 파트너 돼야"
-
이 대통령, 한미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타결"
-
급발진 방지하고 맨홀 추락 막고…내년 예산안에 담긴 이색사업
-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 최대 3만 원 할인권 10만 장 배포
-
정부,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확정…기존 대비 53~61%↓
최신 뉴스
-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 '26년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실시
- 경찰청, 전국 18개 시도경찰청 인권 순회 교육 완료
- '건축산업 대전환, 지금이 골든타임'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건축시장 양극화 해소 및 제도 선진화를 위한 국회세미나 개최 -
- 2025년도 하반기 풍력 경쟁입찰 공고
- 에너지절약과 재생에너지 유공자 포상
-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경기 화성 산란계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확인
- 경기 평택 산란계 농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라 방역관리 강화
- 전기차 연간 보급 20만대 달성… 산업경쟁력 강화로 주류화 이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