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 개편 1년, 유형별 편중 현상 완화 등 개선
- 민간전문가 중심의 벤처기업확인제도 1주년 변화와 성과 발표 -
□ 벤처기업 확인제도 개편 이후 벤처투자유형 및 연구개발유형 비율 증가로 벤처확인 유형 편중 현상 완화
2022.03.16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벤처다운 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시행(‘21.2.12)한 이후 1년의 변화와 성과를 발표했다.
1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개편 개요
’벤처기업확인제도‘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벤처기업법)에 규정된 일정 요건을 갖추고 기술 혁신성 및 사업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확인해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개편 전의 공공기관 중심 벤처확인제도(’06~‘20)는 벤처기업 수의 양적 확대*에는 크게 기여했으나, 보증대출 유형에 편중(85%)됐다는 지적 등이 있어 보증·대출 유형은 폐지하고,
* 벤처기업 수(개) : 17년간 연속 증가해 사상 최대 (’03) 7,702 → (’20) 39,511
’민간전문가 중심의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 여부를 판단하는 제도로 개편(’21.2.12)했다. <참고 1>
새롭게 신설된 혁신성장유형의 경우 기술 혁신성과 사업 성장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업의 업력과 업종에 따라 차등화된 평가지표를 마련해서 기업인,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을 확인하는 데에 활용하고 있다.
가. 일반 현황
벤처기업수는 벤처기업법에 따른 확인제도가 시행된 ‘98년 2,042개사에서 제도 개편 전인 ’20년 말에는 39,511개사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 ‘제2벤처열기(붐) 조성’ 등 벤처생태계의 기반을 형성했다.
제도 개편 후인 ‘21년말에는 38,319개사로 전년말 대비 1,192개사가 감소했는데, 이는 ’21년에 확인받은 기업수(17,956개사)보다 벤처확인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업(19,133개사) 등이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제도가 변경되기 전 벤처확인을 앞당겨 받은 기업이 증가했고, 제도 변경(‘21.2.12) 직후인 ‘21년 상반기에는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 당해연도 확인받은 벤처기업수 >
구 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개편 전 (‘20년)
4,638
6,109
5,078
5,069
20,894
개편 후 (‘21년)
3,545
4,904
4,923
4,584
17,956
나. 유형별 벤처확인 현황
벤처기업 전체를 유형별로 보면, 제도변경 직전인 ‘20년말에는 보증대출 유형이 가장 높은 85.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1년 2월에 혁신성장유형이 신설되면서 ’21년말에는 벤처투자유형 7.3%에서 10.5%, 연구개발유형이 7.3%에서 11.6%로 증가했다.
< 유형별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20년말 기준
‘21년말 기준
비율증감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2,888
7.3
4,022
10.5
3.2%p
연구개발유형
2,886
7.3
4,454
11.6
4.3%p
보증대출유형
33,615
85.1
20,180
52.6
▽32.5%p
혁신성장유형
-
9,485
24.8
24.8%p
예비벤처
122
0.3
178
0.5
0.2%p
합계
39,511
100.0
38,319
100.0
2
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 - ’21년 최초 확인 받은 기업 중심
제도 개편 전후로 각 1년간의 기간동안 재확인을 제외한 처음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을 통해 ①유형 편중 현상 완화, ②창업기업의 비중 증가, ③지식기반 서비스업 증가, ④비대면기업 증가 등의 변화를 확인했다.
벤처기업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개편 전 1년(‘20.2~’21.1)간 최초로 확인받은 6,947개와 개편 후 1년(‘21.2~’22.1)간 최초로 확인받은 4,876개사를 분석했다.
※ 각 기간 중 재확인 받은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
가. 유형 편중 현상 완화
제도 개편 후 1년간 신규기업의 경우 벤처투자 유형이 11.1%에서 18.9%로 증가하고, 연구개발유형은 5.1%에서 10.8%로 증가하는 등 제도 시행에 따른 ‘유형 편중 현상 완화’를 보여주고 있다.
< 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774
11.1
921
18.9
연구개발유형
351
5.1
525
10.8
보증대출유형
5,822
83.8
-
-
혁신성장유형
-
-
3,430
70.3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러한 경향은 개편 후 1년간(‘21.2~’22.1)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의 유형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 중 개편 전에 보증·대출 유형으로 확인을 받았던 8,829개사 중 18%에 해당하는 1,588개사는 연구개발유형으로 이동했으며, 혁신성장유형으로는 6,767개사가 이동해 보증대출유형의 편중 현상이 완화됐다.
< 개편 후 재확인 기업의 유형 이동 현황 >
기존유형
신규유형
벤처투자유형
연구개발유형
보증대출유형
합계
벤처투자유형
937개사(92.3%)
60개사(5.5%)
474개사(5.4%)
1,471개사
연구개발유형
40개사(3.9%)
825개사(76.3%)
1,588개사(18.0%)
2,453개사
혁신성장유형
38개사(3.8%)
197개사(18.2%)
6,767개사(76.6%)
7,002개사
합계
1,015개사(100%)
1,082개사(100%)
8,829개사(100%)
10,926개사
나. 유형 변화에 따른 창업기업 비중 증가
제도 변경 후 혁신성을 강조하는 평가기준 도입과 업력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지표 운영 등에 따라
업력이 3년이상 7년 미만의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폭 증가했으며, 상대적으로 7년 이상의 기업의 비율은 소폭 감소했다.
< 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3년미만
4,495
64.7
3,135
64.3
3년이상 7년미만
1,402
20.2
1,035
21.2
7년이상
1,050
15.1
706
14.5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는 7년 이상의 기업이 보증·대출 등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벤처확인을 받아온 종전과 달리,
7년 이상의 벤처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세액 감면 혜택 등이 적어 별도로 벤처확인을 받을 필요성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유형별로 보면 벤처투자유형의 경우 3년 미만 기업과 3년에서 7년 사이의 기업 비중이 각각 9.2%에서 15.3%, 1.5%에서 3.0%로 증가했으며,
연구개발유형의 경우에도 각각 3.4%에서 6.2%, 1.0%에서 2.7%로 증가했다.
< 개편 후 유형별·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3년 미만
3년 이상 7년 미만
7년 이상
계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640(9.2%)
746(15.3%)
105(1.5%)
146(3.0%)
29(0.4%)
29(0.6%)
774(11.1%)
921(18.9%)
연구개발
235(3.4%)
301(6.2%)
65(1.0%)
134(2.7%)
51(0.7%)
90(1.8%)
351(5.1%)
525(10.8%)
보증대출
3,620(52.1%)
-
1,232(17.7%)
-
970(14.0%)
-
5,822(83.8%)
-
혁신성장
-
2,088(42.8%)
-
755(15.5%)
-
587(12.0%)
-
3,430(70.3%)
합계
4,495(64.7%)
3,135(64.3%)
1,402(20.2%)
1,035(21.2%)
1,050(15.1%)
706(14.5%)
6,947(100%)
4,876(100%)
또한 기업 대표자의 연령이 청년층(~39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의 확인 비율이 25.5%에서 28.2%로 증가해
벤처기업 대표자의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결과와 함께 20세 미만의 대표자가 운영하는 2개사*도 벤처기업 확인을 받았다.
* 1) ㈜틴스튜디오(대표자 상정태, ’04生) : 문화상품 가게(굿즈샵) 체제(플랫폼) 서비스 <참고 2>
2) ㈜파일러(대표자 오재호, ‘02生) : AI 기반 디지털 광고 솔루션
< 대표자 연령대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10대
-
-
2
0.0
20대 ~ 30대
1,770
25.5
1,373
28.2
40대 ~ 50대
4,552
65.6
3,140
64.4
60대 이상
621
8.9
361
7.4
합계
6,943*
100.0
4,876
100.0
* 대표자 생년월일 파악 불가 기업 4개사 제외
다. 제조업 감소,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 증가
제도 변경 후 기술사업성의 혁신성이 높게 고려되는 평가 특성에 따라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은 35.8%에서 40.5%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의 비율은 55.8%에서 48.5%로 감소했다.
< 업종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제조업
3,878
55.8
2,365
48.5
지식기반 서비스업
2,490
35.8
1,975
40.5
그 외 업종
579
8.3
536
11.0
합계
6,947
100.0
4,876
100.0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식기반 서비스업에서 벤처투자유형은 개편 전·후 7.2%에서 12.3%로, 연구개발유형의 경우 2.3%에서 5.0%로 각각 증가했다.
< 개편 후 업종별·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그 외 업종
총합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152
(2.2%)
158
(3.2%)
499
(7.2%)
600
(12.3%)
123
(1.8%)
163
(3.3%)
774
(11.1%)
921
(18.9%)
연구개발
163
(2.4%)
242
(5.0%)
158
(2.3%)
242
(5.0%)
30
(0.4%)
41
(0.8%)
351
(5.1%)
525
(10.8%)
보증대출
3,563
(51.3%)
-
1,833
(26.4%)
-
426
(6.1%)
-
5,822
(83.8%)
-
혁신성장
-
1,965(40.3%)
-
1,133
(23.2%)
-
332
(6.81%)
-
3,430
(70.3%)
합계
3,878
(55.9%)
2,365
(48.5%)
2,490
(35.8%)
1,975
(40.5%)
579
(8.3%)
536
(11.0%)
6,947
(100%)
4,876
(100%)
지식기반 서비스업 내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12.0%→13.3%)‘, ’정보서비스업(13.2%→14.7%)‘, ’연구개발업(7.8%→10.6%)‘이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업종별 비중을 통해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4차 산업혁명 도래‘ 등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라. 비대면 벤처기업의 비율 증가
최근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이후, 비대면 기업 분류를 시작한 ’20년말 25.6%에서 1년이 지난 ‘21년말에는 33.1%로 비대면 벤처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비대면/대면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대면 벤처기업수
5,174
74.5
3,260
66.9
비대면 벤처기업수
1,773
25.5
1,616
33.1
합계
6,947
100.0
4,876
100.0
3
향후 제도 개선 계획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가 안정적인 운영을 보임에 따라 ’벤처기업확인위원회‘는 꾸준한 내부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신규 신청기업과 재확인 신청기업간의 평가지표를 차별화 할 예정이다.
특히, 재확인 신청기업의 경우 기존의 확인기간 동안에 발생한 기업의 혁신성 증가 정도에 따라 벤처기업 확인여부를 판단하는 등 평가지표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평가지표 내에 업종분야연차별로 평가지표를 차별화하고 기업이 평가지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신청기업의 다양한 기업특성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선 중에 있다.
아울러,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됨에 따라 ’벤처기업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통계자료도 다양화해져 일반인들이 쉽게 벤처기업 통계를 알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다.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정 준 위원장은 "지난 1년 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위원들께서 벤처다운 혁신기업 선별의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잘 수행하고 계시고 있으며,
민간주도 벤처확인제도 정착과 혁신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사명감과 애정을 갖고 지난 1년간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확인위원회와 전문평가기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벤처확인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안정화를 이룬 것으로 평가한다”며,
“향후 혁신성장 유형의 평가지표를 고도화하면서 벤처투자유형과 연구개발 유형 기준도 현시점에 부합한 지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1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개편 개요
’벤처기업확인제도‘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벤처기업법)에 규정된 일정 요건을 갖추고 기술 혁신성 및 사업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확인해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개편 전의 공공기관 중심 벤처확인제도(’06~‘20)는 벤처기업 수의 양적 확대*에는 크게 기여했으나, 보증대출 유형에 편중(85%)됐다는 지적 등이 있어 보증·대출 유형은 폐지하고,
* 벤처기업 수(개) : 17년간 연속 증가해 사상 최대 (’03) 7,702 → (’20) 39,511
’민간전문가 중심의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 여부를 판단하는 제도로 개편(’21.2.12)했다. <참고 1>
새롭게 신설된 혁신성장유형의 경우 기술 혁신성과 사업 성장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업의 업력과 업종에 따라 차등화된 평가지표를 마련해서 기업인,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을 확인하는 데에 활용하고 있다.
가. 일반 현황
벤처기업수는 벤처기업법에 따른 확인제도가 시행된 ‘98년 2,042개사에서 제도 개편 전인 ’20년 말에는 39,511개사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 ‘제2벤처열기(붐) 조성’ 등 벤처생태계의 기반을 형성했다.
제도 개편 후인 ‘21년말에는 38,319개사로 전년말 대비 1,192개사가 감소했는데, 이는 ’21년에 확인받은 기업수(17,956개사)보다 벤처확인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업(19,133개사) 등이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제도가 변경되기 전 벤처확인을 앞당겨 받은 기업이 증가했고, 제도 변경(‘21.2.12) 직후인 ‘21년 상반기에는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 당해연도 확인받은 벤처기업수 >
구 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개편 전 (‘20년)
4,638
6,109
5,078
5,069
20,894
개편 후 (‘21년)
3,545
4,904
4,923
4,584
17,956
나. 유형별 벤처확인 현황
벤처기업 전체를 유형별로 보면, 제도변경 직전인 ‘20년말에는 보증대출 유형이 가장 높은 85.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1년 2월에 혁신성장유형이 신설되면서 ’21년말에는 벤처투자유형 7.3%에서 10.5%, 연구개발유형이 7.3%에서 11.6%로 증가했다.
< 유형별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20년말 기준
‘21년말 기준
비율증감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2,888
7.3
4,022
10.5
3.2%p
연구개발유형
2,886
7.3
4,454
11.6
4.3%p
보증대출유형
33,615
85.1
20,180
52.6
▽32.5%p
혁신성장유형
-
9,485
24.8
24.8%p
예비벤처
122
0.3
178
0.5
0.2%p
합계
39,511
100.0
38,319
100.0
2
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 - ’21년 최초 확인 받은 기업 중심
제도 개편 전후로 각 1년간의 기간동안 재확인을 제외한 처음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을 통해 ①유형 편중 현상 완화, ②창업기업의 비중 증가, ③지식기반 서비스업 증가, ④비대면기업 증가 등의 변화를 확인했다.
벤처기업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개편 전 1년(‘20.2~’21.1)간 최초로 확인받은 6,947개와 개편 후 1년(‘21.2~’22.1)간 최초로 확인받은 4,876개사를 분석했다.
※ 각 기간 중 재확인 받은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
가. 유형 편중 현상 완화
제도 개편 후 1년간 신규기업의 경우 벤처투자 유형이 11.1%에서 18.9%로 증가하고, 연구개발유형은 5.1%에서 10.8%로 증가하는 등 제도 시행에 따른 ‘유형 편중 현상 완화’를 보여주고 있다.
< 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774
11.1
921
18.9
연구개발유형
351
5.1
525
10.8
보증대출유형
5,822
83.8
-
-
혁신성장유형
-
-
3,430
70.3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러한 경향은 개편 후 1년간(‘21.2~’22.1)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의 유형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 중 개편 전에 보증·대출 유형으로 확인을 받았던 8,829개사 중 18%에 해당하는 1,588개사는 연구개발유형으로 이동했으며, 혁신성장유형으로는 6,767개사가 이동해 보증대출유형의 편중 현상이 완화됐다.
< 개편 후 재확인 기업의 유형 이동 현황 >
기존유형
신규유형
벤처투자유형
연구개발유형
보증대출유형
합계
벤처투자유형
937개사(92.3%)
60개사(5.5%)
474개사(5.4%)
1,471개사
연구개발유형
40개사(3.9%)
825개사(76.3%)
1,588개사(18.0%)
2,453개사
혁신성장유형
38개사(3.8%)
197개사(18.2%)
6,767개사(76.6%)
7,002개사
합계
1,015개사(100%)
1,082개사(100%)
8,829개사(100%)
10,926개사
나. 유형 변화에 따른 창업기업 비중 증가
제도 변경 후 혁신성을 강조하는 평가기준 도입과 업력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지표 운영 등에 따라
업력이 3년이상 7년 미만의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폭 증가했으며, 상대적으로 7년 이상의 기업의 비율은 소폭 감소했다.
< 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3년미만
4,495
64.7
3,135
64.3
3년이상 7년미만
1,402
20.2
1,035
21.2
7년이상
1,050
15.1
706
14.5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는 7년 이상의 기업이 보증·대출 등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벤처확인을 받아온 종전과 달리,
7년 이상의 벤처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세액 감면 혜택 등이 적어 별도로 벤처확인을 받을 필요성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유형별로 보면 벤처투자유형의 경우 3년 미만 기업과 3년에서 7년 사이의 기업 비중이 각각 9.2%에서 15.3%, 1.5%에서 3.0%로 증가했으며,
연구개발유형의 경우에도 각각 3.4%에서 6.2%, 1.0%에서 2.7%로 증가했다.
< 개편 후 유형별·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3년 미만
3년 이상 7년 미만
7년 이상
계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640(9.2%)
746(15.3%)
105(1.5%)
146(3.0%)
29(0.4%)
29(0.6%)
774(11.1%)
921(18.9%)
연구개발
235(3.4%)
301(6.2%)
65(1.0%)
134(2.7%)
51(0.7%)
90(1.8%)
351(5.1%)
525(10.8%)
보증대출
3,620(52.1%)
-
1,232(17.7%)
-
970(14.0%)
-
5,822(83.8%)
-
혁신성장
-
2,088(42.8%)
-
755(15.5%)
-
587(12.0%)
-
3,430(70.3%)
합계
4,495(64.7%)
3,135(64.3%)
1,402(20.2%)
1,035(21.2%)
1,050(15.1%)
706(14.5%)
6,947(100%)
4,876(100%)
또한 기업 대표자의 연령이 청년층(~39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의 확인 비율이 25.5%에서 28.2%로 증가해
벤처기업 대표자의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결과와 함께 20세 미만의 대표자가 운영하는 2개사*도 벤처기업 확인을 받았다.
* 1) ㈜틴스튜디오(대표자 상정태, ’04生) : 문화상품 가게(굿즈샵) 체제(플랫폼) 서비스 <참고 2>
2) ㈜파일러(대표자 오재호, ‘02生) : AI 기반 디지털 광고 솔루션
< 대표자 연령대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10대
-
-
2
0.0
20대 ~ 30대
1,770
25.5
1,373
28.2
40대 ~ 50대
4,552
65.6
3,140
64.4
60대 이상
621
8.9
361
7.4
합계
6,943*
100.0
4,876
100.0
* 대표자 생년월일 파악 불가 기업 4개사 제외
다. 제조업 감소,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 증가
제도 변경 후 기술사업성의 혁신성이 높게 고려되는 평가 특성에 따라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은 35.8%에서 40.5%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의 비율은 55.8%에서 48.5%로 감소했다.
< 업종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제조업
3,878
55.8
2,365
48.5
지식기반 서비스업
2,490
35.8
1,975
40.5
그 외 업종
579
8.3
536
11.0
합계
6,947
100.0
4,876
100.0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식기반 서비스업에서 벤처투자유형은 개편 전·후 7.2%에서 12.3%로, 연구개발유형의 경우 2.3%에서 5.0%로 각각 증가했다.
< 개편 후 업종별·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그 외 업종
총합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152
(2.2%)
158
(3.2%)
499
(7.2%)
600
(12.3%)
123
(1.8%)
163
(3.3%)
774
(11.1%)
921
(18.9%)
연구개발
163
(2.4%)
242
(5.0%)
158
(2.3%)
242
(5.0%)
30
(0.4%)
41
(0.8%)
351
(5.1%)
525
(10.8%)
보증대출
3,563
(51.3%)
-
1,833
(26.4%)
-
426
(6.1%)
-
5,822
(83.8%)
-
혁신성장
-
1,965(40.3%)
-
1,133
(23.2%)
-
332
(6.81%)
-
3,430
(70.3%)
합계
3,878
(55.9%)
2,365
(48.5%)
2,490
(35.8%)
1,975
(40.5%)
579
(8.3%)
536
(11.0%)
6,947
(100%)
4,876
(100%)
지식기반 서비스업 내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12.0%→13.3%)‘, ’정보서비스업(13.2%→14.7%)‘, ’연구개발업(7.8%→10.6%)‘이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업종별 비중을 통해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4차 산업혁명 도래‘ 등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라. 비대면 벤처기업의 비율 증가
최근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이후, 비대면 기업 분류를 시작한 ’20년말 25.6%에서 1년이 지난 ‘21년말에는 33.1%로 비대면 벤처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비대면/대면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대면 벤처기업수
5,174
74.5
3,260
66.9
비대면 벤처기업수
1,773
25.5
1,616
33.1
합계
6,947
100.0
4,876
100.0
3
향후 제도 개선 계획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가 안정적인 운영을 보임에 따라 ’벤처기업확인위원회‘는 꾸준한 내부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신규 신청기업과 재확인 신청기업간의 평가지표를 차별화 할 예정이다.
특히, 재확인 신청기업의 경우 기존의 확인기간 동안에 발생한 기업의 혁신성 증가 정도에 따라 벤처기업 확인여부를 판단하는 등 평가지표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평가지표 내에 업종분야연차별로 평가지표를 차별화하고 기업이 평가지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신청기업의 다양한 기업특성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선 중에 있다.
아울러,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됨에 따라 ’벤처기업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통계자료도 다양화해져 일반인들이 쉽게 벤처기업 통계를 알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다.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정 준 위원장은 "지난 1년 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위원들께서 벤처다운 혁신기업 선별의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잘 수행하고 계시고 있으며,
민간주도 벤처확인제도 정착과 혁신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사명감과 애정을 갖고 지난 1년간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확인위원회와 전문평가기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벤처확인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안정화를 이룬 것으로 평가한다”며,
“향후 혁신성장 유형의 평가지표를 고도화하면서 벤처투자유형과 연구개발 유형 기준도 현시점에 부합한 지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표준과 시험 인증, 대중소 상생협력 지원 강화로 지속가능한 백신산업 생태계를 만들겠습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9월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매주 환급…취약상권 살린다
-
7월까지 추경 12조원 70% 이상 집행…소상공인 300만명 이상 지원
-
개인정보위 "SKT, 전체 이용자 대상 1차 유출통지 방침 알려와"
-
복지부 2차관 "AI 신약개발에 정부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40개 의과대학, 수업불참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통보
-
집 전기 아끼면 이자 더 준다…최고 7.2% 에너지절약 적금 출시
-
전국 84개 전통시장, 수산물 사면 최대 30% 환급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아침·저녁·휴일에도 돌봄 제공"…거점형 돌봄기관 시범운영
-
더 친절한 세금 신고,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달
최신 뉴스
- 한국-메콩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5주년 계기 메콩 국가들과 경제 협력, 디지털 전환, 녹색 성장 등 미래 협력 방안 논의
- [기고]산불, 철저한 예방이 답이다.
-
영상
봄날 드라이브 어디로 갈까? AI가 알려주는 새만금 명소!
- 특허청-경북대, 청년과 함께하는 지식재산 토크콘서트 개최
-
중소기업 혁신기술 유출 막는다…협상 단계부터 법으로 보호
-
영상
은행에서 빠르게 착!
-
자연과 전통이 어우러진 곳 강화 한바퀴
-
서비스업 고용 증가폭 확대…취업자,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
- 대형산불 대응, 연료를 줄이는 숲가꾸기가 해답이다
-
'더위 빨리 온다'…질병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앞당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