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김현숙 장관, 자녀 돌봄정책 현장 간담회 개최

2022.06.29 여성가족부
목록


김현숙 장관, 자녀 돌봄정책 현장 간담회 개최
- 28일, 서울 구로구 가족센터 찾아 돌봄서비스 이용 부모들과 소통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8일(화) 오후 서울 구로구 가족센터를 방문하여 돌봄지원 서비스 이용자 및 현장 관계자 등과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아이돌봄서비스, 공동육아나눔터 등 돌봄정책 당사자들의 서비스 이용 경험담과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향후 정책에 반영해나가기 위해 마련하였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족정책 소통 간담회를 열고 학계·현장관계자와 새 정부 가족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등 현장밀착형 가족정책 추진을 위한 연속 간담회를 진행 중입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현장을 찾아 돌봄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부모, 일선에서 돌봄사업을 지원하는 관계자들을 만나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고 있는 ㄱ씨는 “쌍둥이가 100일 때부터 어린이집에 다니는 지금까지 아이돌봄서비스가 없었다면 아이들을 키우기 힘든 상황이 많았다.”라며 “아이돌봄서비스가 보다 확대되길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직장에서 처음 아빠 육아휴직을 쓰며 공동육아나눔터를 이용하게 된 ㄴ씨는 “아이와 노는 방법을 몰랐는데 아빠 육아프로그램을 통해 아빠들과 모임도 갖고, 매주 돌봄활동을 배우며 큰 도움을 받고 있어 만족스럽다.”라고 말했습니다.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에 2년간 초·중등학생 두 자녀를 보내고 있는 ㄷ씨는 “아이들이 돌봄과 학습을 함께 지원받고 다양한 체험활동도 경험하며 부쩍 성장하고 있음을 느낀다.”라며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통해 교육 외적으로도 많은 것을 얻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최근 돌봄서비스가 양적으로 늘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여전히 현장의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으며, 돌봄정책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더불어 서비스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이용 편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제시되었습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오늘 돌봄정책 당사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수요에 부응하는 촘촘한 돌봄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였다.”라며, “이용자 중심의 ‘돌봄서비스 통합 AI(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등 돌봄 정책의 질적 개선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힘쓸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이 주도하고 시민이 함께하는 젠더갈등 해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