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민권익위, 부패․공익신고자 보상금 등 5억 8천여만 원 지급

2022.08.16 국민권익위원회
목록
보도자료
뉴스배포정보
자료배포 2022. 8. 16. (화)
담당부서 신고자보상과
과장 김세신 ☏ 044-200-7741
담당자 류지연 ☏ 044-200-7748
페이지 수 총 2쪽

국민권익위, 부패․공익신고자 보상금 등

5억 8천여만 원 지급

- 연구개발비 편취 신고자 보상금 7천여만 원 지급,

신고에 따른 공공기관 수입 회복 32억 원에 달해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지난달 25부패·공익신고자 40명에게 58천여만 원의 보상·포상금 등을 지급했다. 이들의 신고로 공공기관이 회복한 수입금액은 324천여만 원에 달한다.

 

국민권익위는 연구개발비 부정수급 신고 정부물품 납품비리 의혹 신고 등을 한 부패행위 신고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

 

* 신고로 직접적인 공공기관 수입의 회복이나 증대를 가져온 경우 지급

 

신고자 ㄱ씨는 과제를 외주업체에 맡겼는데 이를 직접 수행한 것처럼 허위 서류를 꾸며 연구개발비를 부정수급 한 업체를 신고했다.

 

이 신고로 정부보조금 73천여만 원이 환수돼 국민권익위는 ㄱ씨에게 보상금 7140만 원을 지급했다.

 

신고자 ㄴ씨는 국가와 계약하면서 원가계산 시 허위인력을 포함하는 등의 수법으로 생산원가를 부풀려 물품대금을 과다 청구한 업체를 신고했다.

 

이 신고로 265백여만 원이 환수돼 국민권익위는 ㄴ씨에게 보상금 4319만 원을 지급했다.

 

부패신고 포상금* 지급사례로, 신고자 ㄷ씨는 자기부담금 및 정부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사업에 자기부담금을 내지 않고 정부보조금만으로 사업을 운영해 수익을 낸 업체들을 신고했다.

 

* 신고로 피신고자에 대한 징역형 등 사법처분이 있거나, 법령 제·개정 등 제도개선에 기여하는 등 공익 증진을 가져온 경우 지급

 

이 신고로 피신고 업체 및 사업자들에게 합계 410개월의 징역형이 선고돼 국민권익위는 ㄷ씨에게 포상금 1천만 원을 지급했다.

 

공익신고 포상금 지급사례로, 신고자 ㄹ씨는 시설을 개인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숨긴 채 국고보조금을 받고 있는 복지시설을 신고했다.

 

이 신고로 관할 행정기관은 피신고자에게 6개월의 업무정지 처분을 했다. 국민권익위는 ㄹ씨가 공익 증진에 기여한 점을 인정해 6백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국민권익위 김기선 심사보호국장은 부패·공익신고자들의 신고로 공공기관이 회복한 수입금액은 총 32억여 원에 달한다.”라며, “우리 사회를 투명하게 하는 신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앞으로도 신고자 보호·보상을 더욱 철저히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국민권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참고] 차세대 의료기기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방향 의견 청취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