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한·미 해양과학기술 협력의 장, 부산에서 열린다

2022.09.20 해양수산부
목록

한·미 해양과학기술 협력의 장, 부산에서 열린다
- 극지 연구 협력 확대 등 내년도 사업과제 발굴 논의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9월 21일(수)부터 23일(금)까지 3일간 부산 해운대에서 ‘한·미 해양과학기술협력 연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NOAA :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이번 연례회의는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되는 회의로,  ‘22년도 한·미 해양과학기술협력 사업의 주요성과와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23년부터 추진할 사업 과제 발굴을 논의할 예정이다.

 

  2000년도부터 시작된 한·미 해양과학협력사업은 △통합연안관리 △해양연구 △수산자원관리 △양식 분야 △씨그랜트(Sea Grant*) 등 5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년 부터는 한·미 극지 연구 협력 확대를 위해 △극지 분야가 추가 신설된다.  9개 과제, 13.9만불 규모로 시작하였던 협력 규모는 ’22년 현재 26개 과제, 92.5만불로 확대되어 양국의 협력 관계는 더욱 공고화되고 있다.

 

  * Sea Grant :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지역별 해양수산 현안과제를 발굴·해결하는 지역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


  한·미 해양과학기술협력 초기에는 해양공간계획, 해양보호구역 관리제도 등 선진 해양 정책 도입에 주력했다면, 점차 양국의 공동연구 형태로 발전하여 연구성과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 해양수산 의제를 선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현재 양국이 공동연구 진행 중인 ‘국제수로기구(IHO) 차세대 전자해도 도입’과제를 통해 개발한 해양정보(해도, 해저지형도, 해양기상 등) 운용기준 등을 국제수로기구에 제공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협력 성과라 할 수 있다.

 

  본 사업에 2010년도부터 참여한 양식 분야의 국립수산과학원 김신권 박사는 “한미간 협력 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양식발전에 대한 파트너십을 미국 측과 구축할 수 있었다” 라며 “앞으로 사업이 확대되어 한·미 양국의 협력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22년간의 한·미 해양과학기술 협력사업을 통해 양국의 해양수산 과학기술이 함께 발전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 양국의 협력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연구 성과가 국제사회에 계속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3년도 농·수·산림조합 동시 조합장 선거, 9월 21일부터 선관위 위탁관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