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수출, 2.7% 증가한 574억 달러… 역대 9월 1위 - 23개월 연속 증가, 19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 |
1. ’22. 9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2.7% 증가한 574억 달러, 수입은 18.6% 증가한 612억 달러로, 무역수지 38억 달러 적자 기록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21년 |
2022년 |
|||
9월 |
1~9월 |
8월 |
9월 |
1~9월 |
|
수 출 (전년동기대비) |
55,914 (16.9) |
467,675 (26.2) |
56,673 (6.6) |
57,448 (2.7) |
524,903 (12.2) |
수 입 (전년동기대비) |
51,636 (31.1) |
442,728 (28.7) |
66,067 (28.1) |
61,226 (18.6) |
553,792 (25.1) |
무역수지 |
4,278 |
24,947 |
-9,394 |
-3,778 |
-28,889 |
- 9월 수출은 19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역대 9월 1위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석유제품(전년동월대비 증감률 51.3%)·승용차(34.9%)·자동차 부품(9.9%) 등 증가, 반도체(△5.0%)·무선통신기기(△20.2%)·가전제품(△6.2%) 등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미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16.0%)·일본(2.4%)·싱가포르(49.1%)·호주(99.7%) 등 증가, 중국(△6.5%)·유럽연합(△0.7%)·베트남(△6.4%)·홍콩(△25.4%) 등 감소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원유(전년동월대비 증감률 57.4%)·의류(21.3%)·정밀기기(8.1%)는 증가, 기계류(△4.0%)·석유제품(△22.6%)·가전제품(△1.5%)은 감소
·(소비재 : 13.0% 증가) 의류(21.3%)·승용차(24.2%)·사료(32.9%) 등은 증가, 가전제품(△1.5%)·가사용구(△3.5%) 등은 감소
· (원자재 : 25.3% 증가) 원유(57.4%)·가스(165.1%)·석탄(32.9%) 등은 증가, 석유제품(△22.6%)·의약품(△30.7%) 등은 감소
· (자본재 : 10.6% 증가) 정밀기기(8.1%)·컴퓨터 주변기기(36.2%)·축전기 및 전지(35.4%) 등은 증가, 기계류(△4.0%)·메모리 반도체(△8.1%)·제조용 장비(△5.9%) 등은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중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11.1%)·중동(74.7%)·미국(12.5%)·호주(14.9%) 등 증가, 유럽연합(△0.6%)·일본(△4.6%) 등 감소
2.수출입 특이사항
○ 9월 수출은 19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역대 9월 수출 1위*, 23개월 연속 증가
*역대9월수출(억 달러): (1위) ’22.9월 574.5, (2위) ’21.9월 559.1, (3위) ’17.9월 551.2
○ 올해(1월∼9월) 누계 수출액*(5,249억 달러) 역대 최고 기록
* 1∼9월 수출액(억 달러):(’18)4,503→(’19)4,059→(’20)3,706→(’21)4,677→(’22)5,249
○ 수출 중량은 전월 증가(전년동월대비 증감률 8.1%)에서 감소(△2.3%)로 전환
○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이 4개월 연속 감소(△6.5%), 미국은 25개월 연속 증가
* 중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2월]16.3→ [3월]16.7→ [4월]△3.4→ [5월]1.3→ [6월]△0.8→ [7월]△2.7→ [8월]△5.3→ [9월]△6.5
* 미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2월]21.0→ [3월]20.9→ [4월]27.1→ [5월]29.0→ [6월]12.0→ [7월]14.9→ [8월]13.7→ [9월]16.0
○ 반도체 수출은 17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나, 29개월(’20.4월, △14.9%) 만에 2개월 연속 감소, 석유제품 수출은 19개월 연속 큰 폭 증가
* 반도체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2월]23.2→ [3월]36.9→ [4월]15.6→ [5월]14.2→ [6월]10.8→ [7월]2.5→ [8월]△7.0→ [9월]△5.0
* 석유제품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2월]73.3→ [3월]99.6→ [4월]74.8→ [5월]109.6→ [6월]83.1→ [7월]75.2→ [8월]114.1→ [9월]51.3
○ 원유 수입단가*는 높은 국제유가로 인해 상승세 지속
* 수입단가($/배럴): [’22.6월]116.3→[7월]118.3→[8월]110.4→[9월]106.2
수입단가 전년동월대비 증감률(%):[’22.6월]67.0→ [7월]61.5→ [8월]47.8→ [9월]44.0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3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이 자료는 관세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외교부, 「2022년도 제1차 치안관계자 초청사업」실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5월엔 바다로 가자!…숙박·레저·관광 등 할인 혜택 제공
-
지방 저가주택 취득세 중과 기준 완화…1억 원 → 2억 원으로
-
'평생교육이용권' 11만 5000명 지원…연간 35만 원, 24일부터 접수
-
결혼·출산하면 청약 혜택 꽃길!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기재부 "한미 '2+2 통상 협의' 의제 조율 중"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북 도발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
최신 뉴스
- 창업, 첫해가 고비! 국세통계가 말해주는 생활업종 생존율
- 공공분야 건설감리 용역 입찰담합 제재
-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마늘, 양파-
-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3건… 규제개선 실증 위한 특례 부여
- 환경위성 대기오염 영상, 누구나 쉽게 보고 활용한다
-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지역 현장의 고민 맞춤형으로 해결한다
- 굴착기, 콘크리트 믹서트럭에도 옥외광고 가능해진다
- 지방자치단체장 재난안전관리교육으로 현장 맞춤형 재난 대응역량 강화한다
- '23년도 우리나라 기술무역 규모 역대 최대 386억 달러
- 과기정통부, 지역 주도 연구개발특구 성과 확산 "전략기술 지역혁신엔진" 본격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