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3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1조 4,690억 원 지원

2022.12.29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3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1조 4,690억 원 지원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바이오헬스 디지털 전환, 감염병 대응, 신약·의료기기, 질환 극복 등 -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과기정통부(장관 이종호),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회 의결을 거쳐 확정된 2023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총 1조 4,69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디지털헬스케어, 보건의료데이터, 첨단재생의료와 같은 차세대 유망기술 분야의 신규사업이 대폭 확충되는 등 바이오헬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23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은 정부 전체 연구개발 총예산 30.7조 원의 약 5% 수준

□ 정부는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 질환극복 등 공익적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 의료현장 연계 연구개발(R&D) 지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 총 128개 사업의 신규과제 1,495억 원, 계속과제 1조 3,195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2023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의 부처별․분야별 현황 > : 본문 참조


 ○ 각 분야별 주요 연구개발 사업 및 예산은 다음과 같다.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23년 26개 과제, 2,740억 원) >  

 ○ (미래 감염병 대응 기술) 미래 감염병으로부터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백신·치료제 핵심기술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보건안보 확립에 기여한다.

     
▴ 신규 RNA바이러스감염병(Disease X) 대비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복지부, 37.5억)
▴ 신규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국가전임상시험지원체계 구축 (과기부 133억)
▴ 계속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개발 (복지부, ’22년 47.5억 → ’23년 89.8억. 42.3억 증)
▴ 계속 백신 기반기술 개발사업 (복지부, ’22년 65.2억 → ’23년 103.5억, 38.2억 증)
▴ 계속 공공백신개발지원사업 (질병청, ’22년 50억 → ’23년 101억, 51억 증)


 ○ (방역체계 고도화) 코로나19 세계대유행(팬데믹)의 교훈을 바탕으로 미래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위한 방역 전주기 단계별 연구 등을 추진하여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한다. 

     
▴ 신규 범부처 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복지부 16억, 질병청 13억, 산업부 7억)
▴ 계속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 (복지부, ’22년 108억 → ’23년 144.3억, 36.3억 증)
▴ 계속 신변종감염병대응 플랫폼핵심기술 개발 (과기부, ’22년 113억 → ’23년 136억, 23억 증)
▴ 계속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식약처, ’22년 95억 → ’23년 95억)


< 첨단 유망기술 육성 (’23년 66개 과제, 8,390억 원) > 

 ○ (D.N.A. 기술* 연계·활용) 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보건의료기술 개발을 통해 바이오헬스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의 질을 제고한다. 
      *Data, Network, AI가 결합한 용어로 디지털 시대의 핵심 분야 

     
▴ 신규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활용기술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 (복지부, 62.5억)
▴ 신규 가상환자·가상병원 기반의 의료기술개발사업 (복지부, 75억)
▴ 신규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 (복지부, 75억)
▴ 계속 전자약 기술개발사업 (복지부, ’22년 28억 → ’23년 59억, 31억 증)

 ○ (차세대 유망분야 발굴) 마이크로바이옴* 등 그간 연구개발이 활성화되지 않았던 미개척 영역과 첨단의료기기 등 핵심기술 자급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바이오헬스 미래 동력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간다.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로서 인간과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최근 건강·질병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련 연구 진행 중 
[
     
▴ 신규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복지부 38억, 질병청, 13억)
▴계속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복지부·과기부 등, ’22년 1,751억 → ’23년 2,007억)
▴ 신규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과학 지원 (식약처, 74억) 
▴ 신규 첨단제조기술 기반 중재의료기기 기술 개발 (산업부, 21억)
▴ 계속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복지부, ’22년 48억 → ’23년 74.8억, 26.8억 증)
▴계속병원-기업 공동연구 기반 의료기기 고도화 기술개발 (산업부, ’22년 14.4억 → ’23년 39.6억, 25.2억 증)


 ○ (재생의료) 핵심·기초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첨단 재생의료 기술 국제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고, 이종장기 연구개발사업 등 재생의료 상용화를 위한 기반조성 연구를 지원한다. 
     
▴ 신규 이종장기 연구개발사업 (복지부, 60억)
▴ 신규 바이오·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ATLA기반 난치성질환 치료기술 (과기부, 45억)
▴계속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 (’22년 381억→’23년 583억, 202억 증)   


< 공익적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23년 28개 과제, 2,752억 원) > 
 ○ (질환 극복) 뇌질환, 정신건강, 암 등 국민들의 의료부담이 높은 질환 극복 의료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하여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제고한다. 
     
▴ 신규 뇌신경계 질환 임상 현장문제 해결기술개발 (복지부, 49.5억)
▴ 신규 암생존자 중심 근거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실증 연구사업 (복지부, 96.3억)
▴신규 국립정신건강센터 메타버스기반 정신건강관리 기술 개발 (복지부, 5억) 
▴ 계속 전자약 기술개발사업 (과기부, ’22년 24억 → ’23년 41억, 17억 증)

 ○ (사회문제 해결) 고령화, 저출산 등 사회변화로 인해 공익적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영역의 보건의료기술을 선제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국민들의 보건의료 연구개발 실질 체감도를 높인다. 
     
▴ 신규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 (복지부, 39억)
▴계속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저출산 극복연구 (복지부, ’22년 57억 → ’23년 72억, 15억 증) 


< 의료현장 연계 연구개발(R&D) 지원 (’23년 8개 과제 809억 원) >

  ○ (인재 양성) 신진의사과학자 연구지원 확대,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지속 등 바이오헬스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하여 보건산업 국제 경쟁력을 강화한다. 
    
▴신규 글로벌 연구협력 지원사업 (복지부, 40.5억) 
▴계속 K-Medi 융합인재양성 지원사업 (복지부, ’22년 58.7억 → ’23년 133억, 74.3억 증)
▴계속 규제과학 인재양성 (식약처, ’22년 50억 → ’23년 50억) 


□ 2023년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은 각 부처가 사업을 기획하고 예산 편성한 결과를 과기부·기재부 심의하여 정부안을 확정하고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워원회 논의 및 국회 의결을 거친 결과 최종 확정되었다. 

□ 보건복지부 은성호 첨단의료지원관은 “정부는 신·변종 감염병, 고비용·중증 질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보건의료기술 개발을 위해 힘을 쏟고, 바이오헬스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첨단 유망기술 연구개발도 강화해 나갈 것”을 강조하고, 

  ○ “연구개발 투자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 연구개발이 국민에게 보다 양질의 보건의료를 제공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하였다. 

  ○ 아울러 “보건의료 연구개발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를 보다 활성화하여 관계부처 및 민간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2023년도 5개 부처청의 분야별 보건의료 연구개발 현황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고령친화우수제품 지정대상 품목」고시 개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