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2년 우리나라 어업생산량은 전년보다 6.0%, 어업생산금액은 0.4% 감소

2023.02.24 해양수산부
목록

2022년 우리나라 어업생산량은 전년보다 6.0%, 어업생산금액은 0.4% 감소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2년 국내 어업(연근해어업, 해면양식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 총생산량이 전년(383.2만 톤) 대비 6.0% 감소한 360.4만 톤이며, 생산금액은 전년(9조 2,817억 원) 대비 0.4% 감소한 9조 2,413억 원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연근해어업 >

 

2022년 연근해 어업생산량은 총 88.7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94.3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94.5만 톤)에 비해 각각 5.9%, 6.2% 감소하였다.어업생산금액은 총 4조 370억 원으로 전년 생산금액(4조 1,504억 원)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금액(4조 1,259억 원)에 비해 각각 2.7%, 2.2% 소폭 감소하였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13.2만 톤(△7.9%), 고등어 11.1만 톤(△9.3%), 갈치 5.4만 톤(△14.4%), 살오징어 3.7만 톤(△40.0%), 참조기 1.6만 톤(△48.0%) 등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반면, 삼치는 3.6만 톤(15.2%), 청어 2.8만 톤(98.3%), 붉은대게 2.5만 톤(17.3%), 꽃게 2.2만 톤(10.6%) 등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전년 대비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고유가*가 지속되고, 조업활동이 활발해야 할 9∼10월 주어기에 연이은 태풍(힌남노, 무이파) 등 기상악화로 인해 조업여건이 악화**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오징어, 참조기 등 특정 어종에서 낮은 수준의 자원량이 연중 지속된 것도 한 원인으로 추정된다.

 

* 원유 가격(배럴 당 달러): (’18) 63.4 (’19) 55.7 (’20) 38.4 (’21) 66.3 (’22) 91.8

** (’21. 9~10월) 평균 7.0일→ (’22. 9~10월) 평균 12.3일

 

특히, 대표적 대중성 어종인 살오징어는 연중 낮은 수준의 자원량이 지속되고, 고유가로 인해 조업척수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10월∼12월 주어기에 동해 북측수역의 고수온 영향(2∼4℃)으로 오징어 남하회유가 지연되고, 회유경로도 외해로 이동한 것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경우도 1984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 생산량(2.2만 톤)을 기록하였다.

 

참조기는 주요어획시기에 전년 및 최근 5년 평균 대비 절반 수준의 낮은 자원밀도가 지속된 것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다.

 

청어는 ’21년 20㎝ 미만 포획금지체장 신설로 어린 청어를 어획하던 업종의 어획강도가 대폭 낮아지면서 경북 연안을 중심으로 자원밀도가 상승하여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꽃게는 최근 5년간 초기자원량과 유생밀도의 증가, 봄어기와 가을어기 중반까지 높은 연안수온(1.0℃↑)의 유지로 연안으로 들어오는 개체수가 상승하여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해양수산부는 연근해 어업생산량을 회복하기 위해 현재 어업관리체계를 시장 친화적인 산출량 중심 관리체계로 혁신할 예정이다. 총허용어획량(TAC) 전면 도입을 추진하되, 어획량 관리·감독 및 수산자원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조업활동에 불편을 끼치는 어구어법 관리 등 투입 규제는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수산자원량 대비 과도한 어선세력 조정 및 남획을 방지하기 위한 어선 감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바다숲, 산란·서식장을 조성하는 등 어장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서식 환경과 바다생태계를 회복시킬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어구의 과다사용과 폐어구로 인한 수산자원 피해를 줄이기 위해 생산·판매업 신고제, 어구보증금제 등 어구 전 주기(생산-판매-사용-수거)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어구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해면양식업 >

 

2022년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총 226.8만 톤으로 전년(240.1만 톤) 및 최근 5년 생산량(233.7만 톤)에 비해 각각 5.6%, 3.0% 감소하였다.

 

해조류와 패류 생산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부가가치가 높은 어류 생산량이 증가하여 생산액은 3조 3,843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주요 양식품목 생산량은 김 55.0만 톤, 굴 30.1만 톤, 넙치(광어) 4.6만 톤, 전복 2.2만 톤, 조피볼락(우럭) 1.6만 톤 등으로 나타났다.

 

2022년 상반기 굴 생산량은 전년 대비 5.7%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여 하반기에는 3.5% 증가하였다. 1년 이상 다년간 사육하는 전복과 조피볼락의 경우 2021년 여름철 고수온 피해*의 여파로 2022년 사육 물량이 줄어 생산량이 각각 4.8%, 7.3% 감소하였다.

 

* 고수온 피해액(억원): ('19) 9.7 → ('20) 2.4 → ('21) 292.3 → ('22) 9.6

 

넙치의 경우 성장이 양호하여 생산량이 전년 및 최근 5년 평균 대비 각각 9.8%, 10.6% 증가하였고, 김은 최근 5년 평균 수준을 유지하였다.

 

다시마는 2022년 초 이상조류(영양염류 부족)와 강풍 등 어업재해 피해가 발생하여 생산량이 전년 및 최근 5년 평균 대비 각각 18.2%, 10.6% 감소하였으며, 2022년 양식업 생산량 감소분 대부분(93.3%)은 다시마 생산량 감소로 인한 것이다.

 

2023년 양식업 생산량은 예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여름철과 2023년 초 고수온, 저수온 등으로 인한 어업피해가 크지 않았고, 2022년 간 양식수산물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종자 입식량이 증가해 사육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원양 어업 >

 

2022년도 원양어업 생산량은 40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44.5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6.1만 톤)에 비해 각각 10.3%, 13.3% 감소하였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20.2만 톤, 오징어류 4.8만 톤, 황다랑어 5.2만 톤, 눈다랑어 2.1만 톤, 명태 2.2만 톤, 민대구 0.4만 톤, 이빨고기 0.4만 톤 등이다.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가다랑어의 경우, 태평양 기후변동(라니냐)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태평양 기후변동이 가다랑어의 어군밀도를 상승시켜 어획량은 전년 대비 증가(6.8%) 하였으나,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는 태평양 표층수온의 상승으로 서식수심이 깊어져 어획량이 전년 대비 감소(황다랑어 △14.6%, 눈다랑어 △10.3%)하는 등 상반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꽁치와 대구는 조업개시 연기(5월→7월), 어장 자원량 감소, 기상악화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어획량이 감소(꽁치 △28.2%, 대구 △53.2%)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원양어업은 신규 어선투입*, 포클랜드 수역 어황 호조 등 조업상황 개선으로 주요 어종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원양어업 주요 협력국가인 투발루 등 태평양 도서국과의 ODA 추진, 원양어선 안전펀드를 통한 지속적인 노후화 어선 대체건조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원양어업 및 안정적인 원양생산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 신규 허가어선(선망 1척), 건조 완료 예정인 트롤 2척(안전펀드) 조업시 어획량 증가 예상

 

 

< 내수면 어업 >

 

2022년 내수면 생산량은 총 4.88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4.27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3.67만 톤)에 비해 각각 14.3%, 32.8% 증가하였다.

 

내수면 품종 중 왕우렁이 1.0만 톤(전년 대비 0.2만 톤, 27.9%), 송어류 0.3만 톤(전년 대비 0.1만 톤, 22.6%) 등이 증가하였다. 특히 뱀장어는 자연산 실뱀장어 어획 증가에 따른 양식 입식량 증가로 생산량이 전년 대비 15.0%, 최근 5년 평균 대비 55.7% 증가하였다.

 

해양수산부 이경규 수산정책실장은 “지난해는 연근해 어업경영 여건 악화와 해양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어업생산량이 감소된 것으로 분석된다.”라며, “앞으로 국민에게 양질의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어업인의 경영여건을 개선하고, 수산자원 회복 및 어장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어업체계를 구축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동해어업관리단, 조난어선 긴급 구조 예인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