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봄철 맥류 병 피해, 미리 살펴 제때 방제해야

2023.03.09 농촌진흥청
목록

- 고온, 가뭄으로 ‘잎집눈무늬병’,‘위축병’ 피해 증가…관리법 소개 -

 맥류가 본격적으로 생장을 시작하면서 병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3월 말부터는 잎집눈무늬병과 위축병*이 잘 발생하는 최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맥류의 병 피해를 줄이기 위한 철저한 대비와 제때 방제를 당부했다.

*잎집눈무늬병과 위축병은 맥류의 전 생육기 동안 피해를 주며, 어린 식물일수록 잎과 식물 자체가 고사하는 등의 피해가 심하게 나타남

 잎집눈무늬병(Sharp eyespot)은 토양이나 식물 잔재물 등에서 겨울을 난 병원균이 맥류 줄기 아래쪽에 침입해 갈색 타원형 병징을 형성한다. 어린 식물은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죽기도 하며, 이삭이 팰 시기에는 이삭 고사 또는 쭉정이(백수) 등이 생긴다. 건조하거나 산성, 사질 토양 또는 9도(℃) 온도 조건에서 병원균이 가장 잘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축병(BYDV, Barley Yellow Dwarf Virus)은 바이러스병으로, 매개 진딧물이 8~9도(℃)에서 부화해 식물체를 빨아먹으며 바이러스를 옮긴다. 위축병에 걸리면 보리 잎은 노란색, 밀이나 귀리 잎은 보라색이나 붉은색으로 변하고, 생장이 억제되거나 말라 죽어 수확량이 감소한다. 지난 2021년 무작위 채취조사 결과, 보리 51.0%, 밀 45.5%, 귀리 47.5%에서 위축병이 진단돼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2020년 전남 광주와 해남, 전북 익산 등에서 4월 초순부터 맥류가 누렇게 변해 죽는 증상이 나타나 조사한 결과, 잎집눈무늬병과 위축병에 복합 감염된 것이 밝혀졌다. 피해가 심한 재배지에서는 전체 식물의 20~30%가 감염돼 생산량이 10~20%까지 줄었다.

 잎집눈무늬병 방제약제는 보리에 티플루자마이드, 플룩사피록사드 등이 등록돼 있다. 땅에 접한 줄기의 잎집에서 병징 발생 여부를 살핀 후 발생 초기에 약제를 뿌리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밀, 귀리는 아직 등록 약제가 없다.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쭉정이 이삭 등이 나타나는 재배지에서는 수확 후 식물 잔재물을 말끔히 제거해 다음 해 병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없앤다.

 위축병은 직접적인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특히 중요하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기장테두리진딧물, 보리수염진딧물 등을 방제하면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요소 2% 액*을 10아르(a)당 100리터씩 2~3회 잎에 뿌리면 생육이 떨어지는 증상을 완화해 생산량 감소를 줄일 수 있다.

*요소 2% 액: 물 20L당 요소 400g

 작물별 등록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 누리집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s://ps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최준열 과장은 “봄철 이상기상이 자주 발생하면서 맥류의 병 발생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익숙하지 않은 증상에 당황하지 말고, 재배지를 관찰해 병 발생 초기에 방제하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라며 꾸준한 예방관찰(예찰)을 당부했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고령층 대상, 홍보관에서 소비자를 현혹해 액상차를 고가에 판매하는 불법행위 점검 결과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