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100년 만에 다시 열리는 대한제국의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덕수궁 돈덕전 재건 후 9월 26일(화) 정식 개관… 개관 기념식(9.25. 오후 3시)

2023.09.25 문화재청
목록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소장 권점수)는 9월 25일(월) 오후 3시 덕수궁 돈덕전 1층 기획전시실에서 돈덕전 개관기념식을 개최하고, 9월 26일(화) 오전 9시부터 정식 개관한다.

돈덕전은 고종 즉위 40주년 칭경예식에 맞추어 서양열강과 대등한 근대국가로서의 면모와 주권 수호 의지를 세계에 보여주고자 1902년~1903년에 걸쳐 황궁에 지은 서양식 영빈관으로, 1921년~1926년 훼철되었다.
* 칭경예식: 1902년 고종의 즉위 40주년을 경축하기 위해 대규모 국제행사로 기획한 예식(전통식과 서양식이 혼합된 예식)으로서, 돈덕전은 이 행사를 위한 서양식 영빈관으로 지어졌다. 대한제국은 이 행사를 통해 황제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냉엄한 국제 사회에서 중립국으로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나, 콜레라의 창궐로 국제행사는 무산되고, 같은 해 11월 국내행사로 축소되어 전통방식의 예식만 경운궁(덕수궁)내에서 거행되었다.

문화재청은 2015년부터 덕수궁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역사문화자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덕수궁 복원정비사업을 추진해왔으며, 돈덕전은 2017년에 발굴조사, 2018년에 설계를 마친 뒤 2019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지난해 12월 준공했다. 전시를 위한 자료조사와 공간설계는 건축공사 중인 지난해 7월부터 시작했으며 전시물 제작․설치 및 인테리어를 올해 오는 9월 24일까지 마무리했다.

새롭게 개관하는 돈덕전은 100년 전 대한제국 외교의 중심공간이었던 역사성을 고려하고, 현대에 맞는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대한제국 외교사 중심의 전시와 기록보관(아카이브) 및 도서 열람, 국내외 문화교류와 예술행사 를 위한 공간으로 꾸몄다.

먼저, ▲ 1층은 고종의 칭경예식 등 당시 대한제국의 모습을 영상에 담은 상설전시실 Ⅰ(대한제국 영상실)과 다양한 기획전시와 국제행사가 가능한 기획전시실로 구성된다. 이어서 ▲ 2층에는 한국 근대 외교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상설전시실 Ⅱ(대한제국의 외교)와 20세기 초 서양의 살롱을 동기(모티브)로 하여 가구와 조명등을 배치하고, 각종 도서와 영상자료 열람과 학술회의, 소규모 공연 등이 가능한 32개의 좌석과 이동형 책장까지 갖춘 아카이브실(대한제국 자료실)이 자리한다.

이외에도 복도 바닥은 발굴과정에서 출토된 타일을 재현하여 장식했고, 천장과 벽에는 100년 전 분위기의 조명등을 달았으며, 층별로 대한제국 시기의 서울 풍경(1층)과 당시의 주요 인물들(2층)을 디지털 액자에 담아 전시하였다.

한국 근대외교가 주제인 상설전시실 Ⅱ는 ▲ 프롤로그, ▲ 근대 외교의 시작 - 만국공법의 세계로, ▲ 격동의 시대, 그리고 외교관들, ▲ 제국에서 민국으로, ▲ 에필로그의 5개 구역으로 구성하였다. 이곳에서는 외교의 중요한 사건뿐만 아니라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 마지막 주영공사 이한응 등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며 대한제국의 주권과 자주 외교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외교관들과 주요 인물들의 삶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화가이자 초대 주미공사관원인 강진희(1851~1919)가 1883년 미국에서 연기를 뿜으며 달리는 두 대의 기차를 그린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화차분별도(火車分別圖)>와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소장 유물로 일장기 위에 태극과 4괘를 먹으로 덧칠해 그려 넣은 <서울 진관사태극기>(보물)도 만날 수 있다.

25일 개최되는 개관 기념식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최응천 문화재청장, 주한 각국 대사,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종교계(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문화예술계 등 국내외 인사 9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개관 경과보고, 격려사 및 기념사, 개관 기념 대붓 공연(퍼포먼스), 돈덕전 내부 관람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는 돈덕전이 앞으로 문화교류와 공공외교의 공간(플랫폼)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alace Relics Headquarters Deoksu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Director Kweon Jeom-su) will hold an opening ceremony for Dondeokjeon Hall in the special exhibition room on the first floor of Deoksugung Palace's Dondeokjeon Hall(Jung-gu, Seoul) at 3 p.m. on September 25, and the official opening will begin at 9 a.m. on September 26. do. This ceremony will be attended by Prime Minister Han Deok-soo (encouraging speech), Head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oi Eung-cheon (commemorative speech) And about 90 people from home and abroad including diplomats (25 ambassadors) from 34 countries*, including U.S. Ambassador to Korea Philip S. Goldberg (congratulatory speech) and representatives from Jeonju Lee Royal Family Association, religious leaders including Jinkwansa Temple of the Jogye Order of Buddhism, and representatives from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will attend.
* 34 countries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Netherlands, New Zealand, Germany, Russia, Lebanon, Malta, United States, Bangladesh, Bolivia, Bhutan, Brazil, Brunei, Serbia, Sweden, Spain, Slovenia, Iceland, Ireland, United Arab Emirates, Algeria, Angola , Honduras, Ukraine, Italy, Georgia, Canada, Kenya, Colombia, Kuwait, Croatia, Panama, France, Philippines, Hungary

Due to the lack of data, highly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on Dondeokjeon's interior was not possible, so it was decorated as a space for exhibitions, archives, and cultural contents, taking into account its historicity as a central space for diplomacy of the Korean Empire 100 years ago. It consists of Permanent Exhibition Room I (Korean Empire Film Room) and Special Exhibition Room on the first floor, and Permanent Exhibition Room II (Diplomacy of the Korean Empire) and Archive Room (Korean Empire Data Room) on the second floor.
The hallway floor was decorated with reproductions of tiles unearthed during excavations, and lights reminiscent of 100 years ago wer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walls. Additionally, the scenery of the Korean Empire (1st floor) and the main figures of the time (2nd floor) are displayed in digital frames. In the frame, a fun and smooth atmosphere is created by adding elements that viewers can find interesting if they look closely.

The archive room is equipped with furniture and lighting with the motif of Western salon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is equipped with books, digital archives, video programs, etc. so that visitors can browse at their leisure. The bookshelf in the archive room was made mobile so that academic conferences, small-scale performances, novel readings, forums, etc. could be held here. In addition, there are plans to ensure that the results of the various communications that take place here will become materials for special exhibitions and museum education, which in turn will lead to material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The theme of Dondeokjeon’s exhibition is ‘to look back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diplomacy that sought to protect its independence, and to propose a new era of exchange that sympathizes with the universal human values of mutual respect and friendship.’ This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purpose of Dondeokjeon, built by the Korean Empire to meet the world, to suit today, and can be seen in detail in “Permanent Exhibition Room Ⅱ (Diplomacy of the Korean Empire)” on the second floor.

This place aims to go beyond an exhibition that simply lists historical materials and facts. This is a production that introduces diplomats and major figures of the time to look at the people who lived in that era, and shows videos of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Russian-Japanes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public. In order to capture these contents, this exhibition wa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ive sections: ▲ Prologue, ▲ Beginning of modern diplomacy. To the world of universal public law, ▲ Turbulent times, and diplomats, ▲ From empire to republic, ▲ Epilogue

Among the eye-catching exhibits are owned by the G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and (treasure) owned by Jingwansa Templ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first of these is a drawing of two trains running with smoke in the United States in 1883 by Kang Jin-hee (1851-1919), a calligraphy artist and first member of the diplomatic mission to the United States. It concisely shows the Korean government's will to accept advanced Western technologies and systems, and the efforts of Korean diplomats in the United States to make this a reality.

was discovered on May 26, 2009, with 19 independent newspapers wrapped like a wrapping cloth between the Buddhist altar and the wall during th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of the Chilsunggak of Jingwansa Temple in Seoul. Taegeukgi is a Taegeukgi with Taegeuk and the four trigrams painted in ink on top of the Japanese flag. It symbolizes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people who realized that they were sovereign, and is also a relic that shows that Buddhist templ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base or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pilogue area, there is a video of Deoksugung Palace's foreign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congratulating the opening of Dondeokjeon and an electronic guest book where visitors can leave reviews using keywords on the wall. In this space, under the title “100 years of dream starting again,” “100 years of memory, 100 years of friendship, humanity becoming one, public diplomacy platform Dondeokjeon, common values of human culture, the core of which are respect, love, and friendship.” , cooperation, and creation” concludes the exhibition.

The Deoksu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of the Palace Relics Headquarter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pes that Dondeokjeon will be actively used as a space (platform) for cultural exchange and public diplomacy. It will be open to the public from September 26, the day after the memorial ceremony, and viewing hours will be 9:00 am to 5:30 pm.


2. 2023년 돈덕전 정면 사진.jpg

< 덕수궁 돈덕전 >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3년 대리점동행기업 선정 절차 개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