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아세안 7개국 대상 한국-국제노동기구 고용·산재보험 초청 연수 실시

2023.11.27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7개국 노사정 대표 25명 참석
- 한국고용정보원(KEIS)과 공동으로 고용·산재보험 발전 경험 전수


근로복지공단(이하 ‘공단’)과 한국고용정보원(이하 ‘정보원’)이 오는 27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코트야드 메리어트 타임스퀘어 호텔에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7개국을 대상으로 한국-국제노동기구(ILO) 협력 산재·고용보험 초청 연수를 실시한다.

이번 초청 연수는 아세안 국가의 산재·고용보험제도 발전을 위해 공단과 정보원, 국제노동기구(ILO)가 공동으로 시행하며 7개국의 노·사·정 대표로 구성된 25명의 연수생과 국제노동기구 사회보장전문가 4명이 참가한다.

‘한국-국제노동기구(ILO) 초청연수’는 한국-국제노동기구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그동안 공단과 정보원은 초청 연수를 통해 한국의 산재·고용보험의 발전 경험과 운영 비결을 공유하여 참가국 노·사·정 관계자의 역량 강화와 아태지역 산재·고용보험의 공동 발전을 도모해왔다.

이번 초청 연수는 국제적 사회보장 현안과 연계된 한국의 최근 제도 혁신 사례 및 도전과제 등을 학습하며 참가국별 산재·고용보험 운영 현황에 대한 상호 이해를 높이고 미래 발전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근로복지공단 박종길 이사장은 “그간 한국-국제노동기구 협력사업의 성과 위에서 최근 노동인구의 다양화 등으로 인한 산재보험 사각지대 문제와 같은 공통 도전과제의 해법이 중요해진 상황 가운데 이번 초청연수가 기획되었다”고 하며, “2024년도에 제도 도입 60주년을 맞게 되는 한국 산재보험의 발전경험과 운영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의 산재보험이 공동으로 발전하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고용정보원 김영중 원장은 “코로나 위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가적 위기에 고용보험은 실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를 완화하고 재취업을 지원하여 국민 삶의 안정에 기여해왔다”고 하며, “이번 초청연수가 한국의 발전된 고용보험 제도와 고용보험 디지털화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한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고용보험 제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문  의:  근로복지연구원 조사연구부  조형규(02-2670-0473)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장관동정] 원희룡 장관,“지역 주요 교통 인프라 구축 등 지원할 것”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