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으로 감염병 연구 및 보건의료사업에 기여(2.8.목)

2024.02.08 질병관리청
목록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으로 감염병 연구 및 보건의료사업에 기여


-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389기관에 3,352주(177종) 분양


- 진단기술 연구 목적으로 가장 많이 분양(67%) 되었으며, 기관 유형별로 산업체 등 민간영리기관이 가장 많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은 ’23년 분양자원 수요 동향 및 분양 현황을 발표하였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국가 생명 자원의 하나인 병원체자원*을 수집, 관리 및 분양하고, 감염병 관련 분야 연구개발 및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병원체자원 : 보건의료의 연구 또는 산업을 위하여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가치가 있는 자원으로써,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충 등의 병원체 및 관련 정보 등(병원체자원법 제2조)


  ’23년도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분양·제공한 자원은 389기관에 3,352주(177종)*이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109개 기관에 706주(바이러스 및 핵산형태) 분양되었다. (붙임 1, 4, 5 참고)

  * 세균 1,835주(138종), 진균 70주(20종), 바이러스 726주(19종), 파생물질 721건



  자원 활용 목적을 보면 진단기술 연구가 67.1% 가장 많았고 백신 및 치료제 연구가 17.5%였으며, (붙임 2 참고)


  전체 기관 중 산업체 등 민간영리기관(59.6%)이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는 대학 및 비영리기관(24.3%), 국공립연구기관(16.1%)이다. (붙임 3 참고)


  분양자원은 코로나19 바이러스(706주)가 가장 많았고 대장균(328주), 살모넬라 엔테리카(168주), 녹농균(144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37주) 등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XBB.1.5(47주), BQ.1.1(39주), XBB.1(36주), BN.1(35주), XBB.1.16(34주)가 가장 많이 분양되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분양 가능 보유 자원: 바이러스 68주, 파생물질 2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병원체자원은행이 앞으로도 병원성미생물 자원의 확보와 함께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K-바이오 및 제약 의료 산업 연구·개발 촉진 및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은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병원체자원을 조회하고 분양 신청**할 수 있다.

  * 온라인 분양 신청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ccp.kdca.go.kr) 또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http://is.kdca.go.kr) 병원체자원정보시스템

  ** 분양신청서에는 신청자정보, 사용목적, 병원체위험군 및 생물안전 정보 입력



<붙임>  1. 병원체자원 분양현황

          2. 자원 활용 목적별 분양현황

          3. 기관별 분양현황

          4. 2023년 병원체자원 분양 목적별 분양자원 목록

          5. 코로나19(SARS-CoV-2) 자원의 유전형별 분양현황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예술인 2만 3천 명에게 예술활동준비금 지원한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