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수급불안 진해거담제 4개 품목, 경장영양제 2개 품목 대응방안 논의
- 제12차 의약품 수급불안정 민관협의체 개최(2.7.(수))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월 7일(수) 관련 기관·단체 등과 함께「제12차 수급 불안정 의약품 대응 민관 실무협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 대응 조치를 취해 온 12개 성분·67개 품목의 수급 상황을 확인하고, 수급 불안이 제기되고 있는 진해거담제 4개 품목 및 경장영양제 2개 품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023년부터 수급 불안정 의약품 공급 확대를 위해 6개 성분(12개 품목,붙임참조)에 대해 약가 인상, 3개 품목에 대해 식약처 행정 지원 등이 진행되었으며, 현재 5개 품목은 도매 재고율 30~50% 수준으로 안정화 추이를 전망하였다. 다만, 툴로부테롤 패취류는 공급 불안이 계속되고 있어 증산조건부 약가 인상 협상을 진행 중에 있다.
진해거담제 4개 품목은 호흡기 질환 유행 등으로 전년대비 월평균 청구량은 증가하였으나, 제약사 공급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개 품목 공급 중단이 예정되어 있어 타 제품 생산 확대를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경장영양제 2개 품목은 수입 제품으로 전체 수입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으나 전쟁 상황 등 최근 국제 정세 영향 등으로 공급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남후희 과장은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알리미 등을 통해 제약사로부터 공급 부족·중단 보고된 의약품을 안내할 예정으로 관련 현황을 확인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월 7일(수) 관련 기관·단체 등과 함께「제12차 수급 불안정 의약품 대응 민관 실무협의」를 개최하였다.
복지부와 식약처는 2023년 3월부터 민관협의체를 통해 의약품 수급 불안 해소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소아약 중심으로 우선 대응해 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 대응 조치를 취해 온 12개 성분·67개 품목의 수급 상황을 확인하고, 수급 불안이 제기되고 있는 진해거담제 4개 품목 및 경장영양제 2개 품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주요 논의 사항
① 조치 중 품목 수급 동향 논의(붙임 참조)
2023년부터 수급 불안정 의약품 공급 확대를 위해 보령메이액트세립 등 6개 성분(12개 품목)에 대해 약가 인상, 보스민액 등 3개 품목에 대해 식약처 행정 지원 등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현재 5개 품목은 도매 재고율*이 30~50% 수준으로 안정화 추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 (심평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포털 내 수급불안정의약품 정보 참조) 산출 기준일자 직전 1개월과 직전 2개월의 요양기관 공급량 평균 대비 도매업체 재고보유 추정량을 비율로 표기
다만, 제형 특수성으로 직접 생산업체가 적은 툴로부테롤 패취류는 공급 불안이 계속되고 있어 증산조건부 약가 인상을 위해 건강보험공단이 해당 제약사와 협상 중이며, 공급량 증산에도 불구 현장에서 구매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는 의약품 2개 품목에(슈다페드정, 세토펜현탁액) 대해서는 현재 사재기 현장조사 진행 중인 상황을 공유하였다.
② 진해거담제 4개 품목 수급 동향 분석
디히드로코데인 복합제(진해거담제) 4개 품목*은 호흡기 질환 유행 등으로 전년대비 월평균 청구량은 증가하였으나, 제약사 공급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코대원정(대원제약), 코푸정(유한양행), 코데닝정(종근당), 코데날정(삼아제약)
특히 1개 품목 공급 중단이 예정되어 있어 타 제품 생산 확대를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단위: 천 정)
구분 |
제약사 공급량 |
요양기관 공급량 |
요양기관 사용량 |
수급대비 사용 |
||||||
총 공급량 |
월평균 공급량 |
총 청구량 |
월평균 청구량 |
|||||||
‘22년 |
528,089 |
443,856 |
36,988 |
354,043 |
29,504 |
0.80 |
||||
1분기 |
134,094 |
140,577 |
46,859 |
104,614 |
34,871 |
0.74 |
||||
2분기 |
110,115 |
84,829 |
28,276 |
73,233 |
24,411 |
0.86 |
||||
3분기 |
159,831 |
124,773 |
41,591 |
74,743 |
24,914 |
0.60 |
||||
4분기 |
114,049 |
93,678 |
31,226 |
101,453 |
33,818 |
1.08 |
||||
~‘23년 11월 (~12월) |
358,869 (412,113) |
364,211 (419,867) |
33,110 (34,989) |
345,601 |
31,418 |
0.95 |
||||
1분기 |
81,710 |
78,500 |
26,167 |
89,053 |
29,684 |
1.13 |
||||
2분기 |
105,950 |
102,387 |
34,129 |
103,030 |
34,343 |
1.01 |
||||
3분기 |
82,333 |
83,643 |
27,881 |
79,453 |
26,484 |
0.95 |
||||
4분기* |
88,876 (142,120) |
99,681 (155,337) |
49,840 (51,779) |
74,065 |
37,032 |
0.74 |
* ’23년 4분기 공급량은 10~11월(10월~12월), 사용량은 10~11월 내역, 수급대비사용은 10~11월 사용량/수급량
* 사용량은 ’22년 1월~’23년 11월까지의 요양급여 청구량
③ 경장영양제 2개 품목 수급동향 분석
암환자 등 정상 식사가 어려운 환자들의 영양을 보충하는 경장영양제 급여 의약품 2개 품목*에 대한 부족 신고가 접수되어 수급 동향을 분석하였다. 해당 품목들은 수입 제품으로 전체 수입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으나 최근 국제 정세 영향 등으로 공급이 위축되어 공급 부족에 대비하여 조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 하모닐란액(비브라운코리아, 약가 인상 조치 중), 엔커버액(제이더블유중외제약)
(단위: 천개)
구분 |
제약사 공급량 |
요양기관 공급량 |
요양기관 사용량 |
수급대비 사용 |
||
총 공급량 |
월평균 공급량 |
총 청구량 |
월평균 청구량 |
|||
‘22년 |
28,223 |
28,090 |
2,341 |
28,034 |
2,336 |
1.00 |
1분기 |
7,048 |
6,283 |
2,094 |
6,361 |
2,120 |
1.01 |
2분기 |
7,117 |
6,770 |
2,257 |
6,787 |
2,262 |
1.00 |
3분기 |
6,504 |
7,406 |
2,469 |
7,472 |
2,491 |
1.01 |
4분기 |
7,554 |
7,631 |
2,544 |
7,414 |
2,471 |
0.97 |
~‘23년 11월 (~12월) |
29,502 (32,040) |
33,435 (35,962) |
3,040 (2,997) |
29,631 |
2,694 |
0.89 |
1분기 |
7,424 |
7,492 |
2,497 |
7,603 |
2,534 |
1.01 |
2분기 |
9,032 |
8,125 |
2,708 |
8,054 |
2,685 |
0.99 |
3분기 |
8,624 |
11,830 |
3,943 |
8,740 |
2,913 |
0.74 |
4분기* |
4,422 (6,960) |
5,988 (8,515) |
2,994 (2,838) |
5,234 |
2,617 |
0.87 |
* ’23년 4분기 공급량은 10~11월(10월~12월), 사용량은 10~11월 내역, 수급대비사용은 10~11월 사용량/수급량
* 사용량은 ’22년 1월~’23년 11월까지의 요양급여 청구량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남후희 과장은 “의약품 공급부족은 단기간 해소하기 어려운 과제로 일선 의료기관에서의 처방 협조가 필요 상황”이라고 말하며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알리미 등을 통해 제약사로부터 공급 부족·중단 보고된 의약품을 안내할 예정으로 관련 현황을 확인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2023년 조치 의약품 현황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양산산림항공관리소, 설 연휴 비상근무체제 가동!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