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가창오리, 청둥오리 등 오리류가 62% 차지, 큰기러기 및 쇠기러기 증가하고 청둥오리 및 흰뺨검둥오리 감소 추세 확인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의 물새류가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5년부터 전국 200곳의 습지를 대상으로 겨울철 조류 동시조사(센서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10년(2015~2024년)간 동시조사를 분석한 결과, 오리류가 연평균 81만 마리(6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러기류(23만 마리, 17.7%), △갈매기류(12만 마리, 9.6%) 순으로 나타났다.
* 1999년 주요 철새도래지 69곳을 시작으로 2015년부터 200곳으로 확대
우리나라에 도래한 겨울철 조류는 주로 넓은 농경지와 호수, 저수지, 강에 서식하며, 하천이 많은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의 △금강호, △동림저수지, △철원평야, △만경강, △임진강 등에서 겨울을 보냈다.
10년 평균으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가창오리(37만 3,946마리)였으며, △청둥오리(17만 2,058마리), △쇠기러기(13만 4,261마리), △흰뺨검둥오리(9만 3,890마리), △큰기러기(9만 1,978마리) 순으로 조사됐다. 가창오리의 개체수는 10년간 큰 변화는 없었으나, 큰기러기와 쇠기러기는 각각 47% 및 78%가 증가*하고,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는 각각 7%와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큰기러기 74,337→109,213마리(47% 증가), 쇠기러기 88,165→157,072마리(78% 증가)
** 청둥오리 177,868→147,079마리(7% 감소), 흰뺨검둥오리 93,075→90,851마리(2% 감소)
같은 기간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의 개체수는 적게는 42.8%(큰고니)에서 많게는 646%(흑두루미) 등 꾸준히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에서 번식지와 월동지의 서식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먹이 주기 등 보전을 위해 노력한 국제협력의 결과로 추정된다.
* 두루미 916→2,048(124%), 재두루미 2,798→9,341(234%), 흑두루미 891→6,645(646%), 큰고니 6,485→9,259(42.8%), 노랑부리저어새 170→571(236%)
연구진은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주요 겨울철 물새류의 개체수 변화가 기후변화 등에 영향을 받은 번식지의 서식 환경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국가와의 공동 연구 및 협력을 통해 구체적인 변화 양상 및 원인을 분석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장기적인 물새류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은 물새류 월동지로서 우리나라의 습지 환경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지속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물새류와 서식지를 보전하는 데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최근 10년간 겨울철새와 오리과 조류 마릿수.
2. 최근 10년간 주요 우점종 현황(상위 5종).
3. 주요 겨울철새의 최근 10년간 마릿수 변화.
4. 최근 10년간 오리과 조류 개체수 상위 20개 지역.
5. 겨울철 조류 동시조사(Winter Waterbird Census) 개요.
6. 상위 5종 겨울철새 특징 설명.
7. 질의응답.
8. 전문용어 설명. 끝.
“이 자료는 환경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생태복원이 필요한 하천, 진단결과와 복원방향 수록한 자료집 배포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5월엔 바다로 가자!…숙박·레저·관광 등 할인 혜택 제공
-
'평생교육이용권' 11만 5000명 지원…연간 35만 원, 24일부터 접수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기재부 "한미 '2+2 통상 협의' 의제 조율 중"
-
문체부, 산불 피해지역 '여행+동행' 캠페인…"관광이 회복 돕는 것"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최신 뉴스
-
대구 북구 산불 23시간 만에 진화 완료…산불영향구역 260㏊
- 산림청, 대구 북구에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 설치하여 체계적 대응
- '25년 「중앙 연안 사고예방협의회」 개최, '여름철 연안 안전관리 대책' 논의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11차 인구 비상대책회의 개최
-
개인지방소득세·종합소득세 신고·납부의 달
- 해양수산부, 어한기 대비 물가안정 대책 추진
-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본격 시동
- 부산항 스마트공동물류센터 착공
- 대형산불 피해지 산사태취약지역 점검 - 영주국유림관리소, 2차 피해 예방관리를 위한 산사태취약지역 집중 점검 -
-
2025 교실혁명 선도교사 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