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60세 이상 노년층 안전사고 해마다 증가
오전8시~12시 사이 어르신 사고 발생 위험↑
-60세 이상 노년층 안전사고,최근3년 간77만9천 여건…10건중6건은 낙상/추락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일어나…오전8시~12시 사이 사고 발생 위험↑
-100세 이상 안전사고도2021년370건에서2023년472건으로27.5%증가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어버이날을 앞두고‘최근3년(‘21년~‘23년)간60세 이상 노년층 안전사고’분석결과를 내놨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3년간 질병을 제외한 노년층 안전사고는 총77만9,490건으로,해마다 연평균25만9,830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23만8,732건, 2022년25만9,704건, 2023년28만1,054건으로 노년층 인구 수가 증가하는 만큼 안전사고 또한 매년8%가량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3년간(2021~2023)노년층 안전사고 발생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합계 |
2021 |
2022 |
2023 |
발생건수 |
779,490 |
238,732 |
259,704 |
281,054 |
연령대별로는60대 비율이 가장 높았고, 70대, 80대 순으로 나타났다.이는 상대적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이어가는 젊은 노년층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연령대별 노년층 안전사고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60~64세 |
65~69세 |
70대 |
80대 |
90대 |
100세 이상 |
2021 |
53,718 |
40,979 |
71,757 |
60,085 |
11,823 |
370 |
2022 |
54,909 |
44,836 |
76,218 |
69,480 |
13,811 |
450 |
2023 |
57,034 |
49,395 |
81,555 |
76,878 |
15,720 |
472 |
합계 |
165,661 |
135,210 |
229,530 |
206,443 |
41,354 |
1,292 |
100세 이상 어르신의 안전사고는2021년370건이었으나2023년472건으로2년 만에27.5%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별로는낙상 및 추락사고가333,321건으로 전체의43%를 차지했으며,교통사고164,585건(21.1%)이 뒤를 이었다.교통사고 유형별로는 보행자 사고가39,842건(24.2%),운전자 사고가39,676건(24.1%)으로,노년층의 경우 보행 중 또는 운전중 모두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물질에 의한 기도막힘 사고도 연평균1,349건으로,최근3년 간 하루 평균4명 꼴로 기도막힘으로 인해 구급이송된 것으로 분석됐다.
<사고종별(원인별)노년층 안전사고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교통사고 |
낙상/추락 |
둔상 |
열상 |
익수 |
이물질에의한기도막힘 |
상해 |
화상 |
동물/곤충 |
기타 |
2021 |
52,194 |
27,901 |
3,937 |
7,653 |
390 |
1,239 |
5,609 |
1,398 |
5,858 |
132,553 |
2022 |
54,805 |
145,264 |
4,108 |
8,205 |
427 |
1,271 |
5,756 |
1,690 |
6,769 |
31,409 |
2023 |
57,586 |
160,156 |
4,783 |
8,687 |
474 |
1,536 |
6,226 |
1,735 |
6,438 |
33,433 |
합계 |
164,585 |
333,321 |
12,828 |
24,545 |
1,291 |
4,046 |
17,591 |
4,823 |
19,065 |
197,395 |
시간대별로 살펴보면오전8시에서 낮12시 사이가220,562건(28.3%)으로 오전활동 시간에발생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낮12시에서 오후4시사이 발생건수가198,064건(25.4%)으로 뒤를 이었다.
<발생 시간대별 노년층 안전사고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00~02시 |
02~04시 |
04~06시 |
06~08시 |
08~10시 |
10~12시 |
12~14시 |
14~16시 |
16~18시 |
18~20시 |
20~22시 |
22~24시 |
2021 |
5,664 |
3,904 |
6,042 |
15,712 |
34,017 |
33,495 |
29,948 |
31,038 |
28,168 |
23,493 |
16,815 |
10,436 |
2022 |
6,669 |
4,581 |
6,636 |
17,355 |
37,703 |
36,631 |
32,501 |
33,621 |
30,225 |
24,690 |
17,743 |
11,349 |
2023 |
7,499 |
5,352 |
7,601 |
19,405 |
40,008 |
38,708 |
35,154 |
35,802 |
32,748 |
26,739 |
19,430 |
12,608 |
합계 |
19,832 |
13,837 |
20,279 |
52,472 |
111,728 |
108,834 |
97,603 |
100,461 |
91,141 |
74,922 |
53,988 |
34,393 |
유병욱 소방청 구급과장은“발생장소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일어나는 사고인만큼 일상 속 안전사고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소방의 구조·구급서비스로 어르신들의 안전을 보호해드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담당 부서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 |
유병욱 |
(044-205-7630) |
119구급과 |
담당자 |
소방장 |
황문경 |
(044-205-7633) |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연말정산 때 놓친 공제? 5월에 한 번 더 살펴보세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이 대통령, 국회 첫 시정연설…"추경, 경제위기 가뭄 해소 마중물"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직장인 점심비 지원 방안은 구체화된 바 없음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최신 뉴스
- [보도설명] AI기본법 3년 규제시행 유예에 대해 결정된 바 없음(서울경제)
- [설명] SAF 생산투자 세액공제 확대, 혼합의무 비율 등에 대한 의견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한 바 없음
- 새정부 첫 대형 방산수출 계약 확정, 폴란드 K2전차 추가계약 공식 발표
-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시스템, 오류 없이 안정적 운영"
- 기재부 "NXC 지분 매각 관련 구체적인 매각대상자 등 결정된 바 없어"
-
특허청,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근절 위해 민관 협력 확대
-
보드게임 접목 '청년층 전세사기' 예방 교육, 전국적으로 실시
-
이 대통령, 3일 첫 기자회견…"국민 질문에 겸허히 답하겠다"
-
[정책 바로보기]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차질없는 운영···시스템 구축"
-
서산 중왕·왕산과 고창 두어리, '갯벌생태마을' 첫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