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2024.05.30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역대 최대규모의 3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열려

- 온실가스 저감효과 기준의 글로벌 청정수소 인정 동향, 혼소발전 탄소저감 효과 등 공유


청정수소 관련 각국의 정책 방향 공유, 공급망 구축 및 기술 협력 등을 위한 3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530() 서울에서 개최었다. 금번 포럼에 모인 국제기구 및 해외정부 인사, 국내외 전문가들은 수소 생산방식이 아닌 온실가스 저감효과 기준으로 청정수소를 인정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동향, 혼소발전 탄소저감 효과 등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포럼의 연사로 참여한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기관인 S&P Global은 전 세계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2030년까지 총 4천만 톤 이상의 청정수소가 생산될 계획이라고 언급하며, 청정수소로서 그린수소와 블루수소의 생산 촉진을 위한 국의 정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뒤이어,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글로벌 수소 관련 기업 CEO 협의체(Hydrogen Council)은 청정수소 주요 수요·수입국이 될 한국의 경우 청정수소 교역을 통해 해외의 풍부한 자원(재생에너지, 천연가스 ) 활용한 경제성 있는 청정수소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청정수소의 글로벌 교역 촉진을 위한 각국의 청정수소 기준 정보 공, 글로벌 밸류체인 협력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2030년까지 총 45~90TWh 규모의 청정수소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한편, 그린수소의 이용가능물량, 경제성 등 감안하여 블루수소 등 저탄소수소를 수입·활용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다.

일본 JERA는 일본 헤키난 지역에서 진행 중인 석탄화력발전소의 암모니아 혼소발전(20%)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함께 미세먼지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도 혼소발전 이전 대비 저감되었다는 실증 결과를 소개하였다.

최남호 2차관은 환영사에서 한국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23.12), 세계 최초의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24.5) 등을 통해 청정수소 생태계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청정수소 교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별 청정수소 기준에 대한 조화방안 마련, 상호 보완적인 공급망 구축 등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추진해 나가자고 강조하였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유럽연합(EU) 통상규범 업계 영향 점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