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부처 간 칸막이 허문 협업으로 가축분뇨 규제 합리화 결실 맺는다

2024.06.04 농림축산식품부
목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와 환경부(장관 한화진)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관리와 신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가축분뇨법)의 하위법령을 올해 7월까지 개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축분뇨는 농식품부에서 이용, 환경부에서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그간 양 부처는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원팀(One-Team)’이라는 인식 아래 가축분뇨 및 퇴·액비 관리대장을 실제 살포한 날에 작성하도록 개선, 가축분뇨 고체연료 성분 기준 명확화, 가축분뇨 관련 영업 기술인력 허가기준 합리화, 액비 살포기준 정비 등의 내용으로 가축분뇨법하위법령 개정에 합의했다.

 

  법령 개정 합의를 위해 축산 관련 단체 및 업계, 지자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부처 합동 실무회의 등을 거쳤다.

 

가축분뇨법 하위법령 개정은 가축분뇨 처리·활용 기술의 발전 및 업계 애로사항을 고려하여 가축분뇨 수집·운반업과 처리업의 기술인력 허가기준 개선* 등 현장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제도가 도입되며, 이달 중에 법제처 심사를 거쳐 다음 달 중으로 국무회의 의결 후 공포된다.

 

  * (수집·운반업) 현행2명 이상 개정1명 이상, (처리업) 현행3명 이상 개정2명 이상

 

  이번 가축분뇨법하위법령 개정이 완료되면 기술인력 고용부담 감소 등에 따른 가축분뇨 처리산업 활성화, 시설원예 등 액비 이용처 확대를 통한 친환경농업 확산 등 다양한 현장의 어려움은 해결하면서, ·축산업의 환경 개선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이번 개정안에 대하여 생산자단체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해결책이라며 환영하고 있다.”라면서, “앞으로도 환경부와 함께 머리를 맞대어 가축분뇨의 다양한 가능성을 발굴하고, 지원 방안을 강구하는 등 신산업화를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부처 간 협업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이행되어야 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어려움을 해소하고, 농식품부와 협업하여 관련 제도를 합리적으로 정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가축분뇨법 하위법령 개정안 주요 내용
2. 가축분뇨법 하위법령 개정안 주요 내용 인포그래픽

 

 

“이 자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부처 간 칸막이 허문 협업으로 가축분뇨 규제 합리화 결실 맺는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