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 발간(6.20.목)

2024.06.20 질병관리청
목록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 발간


- ‘23년 말 기준,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 등재된 병원체자원은 7,944주(1,051종)

  * 신규 수집 자원 1,558주(391종), 신규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 등재 자원 730주(314종)


- ‘23년 국내 보건의료연구 및 산업기관에 분양 활용된 자원 3,352주(177종)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행장 이기은)은「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Annual Report of National Culture Collection for Pathogens)」를 발간했다고 발표하였다.

  ※ 법적근거:「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8조에 의거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설치·운영


  2023년 한 해 동안 신규 병원체자원 1,558주(391종)을 수집하였고, 730주(314종)를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등재하였으며, 보건의료 연구자 등에 3,352주(177종)를 분양하였다.


  병원체자원은 진단 기술 연구 활용으로 가장 많이 분양되었고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속)과 살모넬라균(Salmonella 속), 진균은 칸디다균(Candida 속),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Betacoronavirus 속)가 주로 분양되었다.

  2023년 연보에는 지난 한 해 확보한 병원체자원 및 분양 현황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분야별 병원체자원 전문은행과 관련된 정보, 시행계획 수립, 병원체자원 정보시스템 개선 등에 대한 소식을 담고 있다. 


  또한, 보유 병원체자원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널자원 및 대체균주 개발, 분양 자원 활용성과 등이 수록되어 있다(붙임 참고).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고부가가치 유용자원을 확보하여 보건의료 및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 등의 연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단제·백신․치료제 등 관련 연구․개발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는 책자 및 전자파일로 국내 관련 기관에 6월 말 배포 예정이며,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ccp.nih.go.kr) ☞ 연구성과 ☞ 연보


<붙임>  2023년 병원체자원 등재 및 분양 현황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한중 교역 1위 장쑤성과 투자·신산업 협력 확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