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방통위,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 발표

2024.06.20 방송통신위원회
목록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배경율)은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태도, 수용성 등을 폭넓게 조사한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부터 시작된 본 조사는 2022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되어 조사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며, 이번 발표 내용은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된 이후 두 번째 조사 결과이다.

이번 설문에는 △지능정보기술*·서비스** 이용 현황, △포털·유튜브 등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인식,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이용자 경험 등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 인공지능비서, 로봇어드바이저, 스마트워치, 메타버스 게임 등

주요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지능정보 서비스 분야별 이용 경험은 소비(51.1%), 금융(47.3%), 미디어(35.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해당 서비스 이용 의향은 금융(82.7%), 소비(81.0%), 의료(80.8%) 분야 순이었으며, 지능정보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의료(92.5%), 금융(89.5%), 소비(86.3%)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능정보 서비스가 우리 일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특히 지능정보 기술을 통한 의료 서비스 혁신에 대한 이용자들의 기대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 포털과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추천 서비스가 자신의 취향에 잘 맞춰져 있으며(포털 68.9%, 유튜브 71.2%),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포털 68.3%, 유튜브 68.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절반 가량의 응답자들은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가 가치편향을 유발하거나(포털 49.4%, 유튜브 51%),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포털 46.5%, 45.5%)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알고리즘의 공정성과 투명성,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향후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 발전의 주요 과제로 대두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 제공자가 준수해야 할 윤리적 책무로 ‘알고리즘의 콘텐츠 선별 기준 공개’(62.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는 전년 대비 9.0%p 상승한 수치로 추천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에 대한 이용자들의 알권리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 경험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설문대상의 12.3%가 이용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2023년 11월 조사 당시, 오픈에이아이(Open AI)의 챗 지피티(Chat GPT)(2022년 11월) 등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된 지 약 1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임을 감안할 때, 인공지능 이용 경험이 단기간에 상당히 확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이용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텍스트 생성(81.0%) 이용 비율이 압도적이었으며, 음성·음악 생성(10.5%), 도메인 이미지 생성(4.8%). 이미지 생성(3.6%)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약 41분이었다.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 동기로는, ‘정보 검색에 효율적이다’(88.1%)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대화 나눌 상대가 필요해서’(71.8%), ‘일상적 업무 지원’(7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방대한 지식 학습과 자연어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이용자와의 친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이 주요 이용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2.3%),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 같아서’(57.3%), ‘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6.0%) 순으로 조사되었다. 복잡한 서비스 이용 방법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통위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지능정보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우려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이용자 보호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금년 하반기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주요 조사 결과와 학계 및 업계 등에서 활용 가능한 상세 조사 데이터는 방송통신위원회(www.kcc.go.kr), 통계청(www.kostat.go.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정책 아카이브(user-archive.kisdi.re.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관심 있는 국민들은 누구나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다.

붙임 2023년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주요 결과 인포그래픽

“이 자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참고] 식약처, 생물학적동등성시험 권고사항 공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