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여름 호우·강풍 대비, 농작물·농업시설물 미리 관리하세요!

2024.06.24 농촌진흥청
목록

- 배수로 정비 필수…경사진 재배지, 토양 유실 예방 조치 

- 비닐 온실·축사, 전기 시설 점검 및 빗물 새는 곳은 즉시 보수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6월 하순부터 7월 중하순까지 집중호우, 강풍 등 여름철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사전 관리를 당부했다.

            <2023년과 평년(1991~2020) 장마철 시작·종료일 및 기간>

구 분

2023

평년(1991~2020)

시작

종료

기간()

시작

종료

기간()

중 부

6.26.

7.26.

31

6.25.

7.26.

31.5

남 부

6.25.

7.26.

32

6.23.

7.24.

31.4

제 주

6.25.

7.25.

31

6.19.

7.20.

32.4


                  < 2023년과 평년(19912020)의 장마철 기간 평균 강수량과 강수일수 >

구 분

2023

평년(1991~2020)

평균 강수량()

강수일수()

평균 강수량()

강수일수()

중 부

594.1

20.6

378.3

17.7

남 부

712.6

23.3

341.1

17.0

제 주

426.4

21.5

348.7

17.5

전 국

662.9

22.2

356.7

17.3


                                                                                                  [출처기상청]

 

 △벼= 논 배수로가 수초, 쌓인 흙(퇴적토), 폐비닐 등으로 막혀있는지 살피고,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정비한다. 이른 모내기로 새끼치기(분얼)가 끝난 벼는 논물을 빼 뿌리 활력을 촉진한다. 뿌리 활력이 증대된 벼는 강풍으로 쓰러지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7월 중·하순 무렵 이삭거름을 줄 때는 질소비료 양을 20∼30%가량 줄이고, 칼륨질 비료를 20∼30%가량 더 주면 병해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노지 밭작물= 밭고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깊게 파서 물길을 확보한다. 비바람에 쓰러질 우려가 있는 작물은 개별 지주를 보강하거나 줄 지주를 추가 설치한다. 세균성 병원균과 해충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비가 오기 전에 작물별로 알맞게 약제 방제한다. 

 △과수원= 과수원 바닥에 목초, 녹비 등을 심어 초생재배를 하는 곳은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풀을 베고 물길을 낸다.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수원은 폭우에 바닥 흙이 쓸려 내려갈 수 있으므로 짚, 비닐, 풀 등을 덮어 조치한다. 탄저병 등 병해 예방을 위해 전문 약제로 방제작업을 한다. 다만 작물의 생육 상태가 좋지 않거나 과도하게 약제를 주면 생육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인삼= 비가 오기 전 배수로를 정비한다. 두둑 길이가 너무 길면 장마 동안 배수 불량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둑 길이는 15∼20칸(27∼36m)으로 늘리고, 두둑 높이(30cm 이상)도 올린다. 해가림 시설은 빗물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므로 팽팽하게 당겨주고 경사 각도(24°)를 확인한다. 

 △시설 온실·축사= 빗물이 시설 온실과 축사 안으로 흘러들어오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정비한다. 필요할 경우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 양수기 등 수방 자재를 확보한다. 전기 시설이 설치된 곳은 내외부 전선 피복 상태를 점검하고, 사용하지 않는 전기 기구의 플러그는 뽑아둔다. 전기 기계·기구의 접지 시설을 확인해 감전 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현재 전국 75개 시군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장 단위 기상 정보와 작물별 재해 예측 정보를 휴대전화 알림 문자 등으로 제공하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 누리집 주소 https://agmet.kr ** 2025년까지 전국 155개 시군으로 조기경보 서비스 확대 예정

 또한 도 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여름철 기상재해 대비농작물 및 농업시설물의 안전 관리 요령 안내문을 배부했다. 안전 관리 요령은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채의석 과장은 “올 7월에는 장마전선(정체전선)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예상됨에 따라 농작물과 농업시설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적인 사전 관리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오규성(吳圭晟) 변호사 공정위 비상임위원 위촉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