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환경’ 분야 22개 종목의 산업 동향 및 응시 현황 등 통계 정보 제공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 이하 ‘공단’)은 1일 환경분야 22개 종목의 필기시험 응시 현황과 관련 산업 동향이 수록된 국가기술자격 정보집 2분기 ‘자격Q’를 발간했다.
2024년 2분기 ‘자격Q’는 △ 대기(4개 종목) △ 생물분류(2개 종목) △ 소음진동(3개 종목) △ 수질(4개 종목) △ 자연환경·생태(3개 종목) △ 토양환경(2개 종목) △ 폐기물처리(3개 종목) △ 환경위해(1개 종목) 분야에 대한 종목별 자격 취득 방법, 취득 현황 및 응시 현황 등을 담고 있다.
환경 분야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연평균 필기시험 응시 인원은 37,641명이며, 2019년 34,233명 대비 2023년 40,305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응시 인원이 가장 많은 종목은 대기환경기사(10,043명)이며, 수질환경기사(9,082명), 환경기능사(6,779명)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감률은 생물분류기사(식물)가 34.2%로 가장 많았으며, 온실가스관리기사와 생물분류기사(동물)가 각각 33.8%, 30.4%로 그 뒤를 이었다.
2023년도 환경 분야 22개 종목 필기시험 설문 응답자(39,962명)에 따르면, 응시 인원의 64.8%는 남성이었으며, 연령대는 20대(60.4%), 30대(18.6%), 40대(10.3%) 순으로 많았다. 경제활동 유형으로는 재직자가 40.6%로 가장 많았고 학생과 구직자가 각각 37.0%, 15.5%이었다.
재직자 16,223명이 응답한 결과에 따르면 근무처에서 자격을 우대하고 있다는 응답은 71.8%(11,654명)이다. 67.5%(7,871명)는 채용, 19.4%(2,259명)는 임금(수당 등), 8.3%(968명)는 인사고과에서 자격을 우대한다고 답했다.
이우영 이사장은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 분야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정부, 산업계, 학계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환경에 도움이 되는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을 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자격Q’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환경인적자원개발위원회, 관련 협회·단체, 대학 입학처와 큐넷(www.Q-Ne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 의: 자격품질기획부 정유현(052-714-8687)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 이하 ‘공단’)은 1일 환경분야 22개 종목의 필기시험 응시 현황과 관련 산업 동향이 수록된 국가기술자격 정보집 2분기 ‘자격Q’를 발간했다.
2024년 2분기 ‘자격Q’는 △ 대기(4개 종목) △ 생물분류(2개 종목) △ 소음진동(3개 종목) △ 수질(4개 종목) △ 자연환경·생태(3개 종목) △ 토양환경(2개 종목) △ 폐기물처리(3개 종목) △ 환경위해(1개 종목) 분야에 대한 종목별 자격 취득 방법, 취득 현황 및 응시 현황 등을 담고 있다.
환경 분야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연평균 필기시험 응시 인원은 37,641명이며, 2019년 34,233명 대비 2023년 40,305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응시 인원이 가장 많은 종목은 대기환경기사(10,043명)이며, 수질환경기사(9,082명), 환경기능사(6,779명)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감률은 생물분류기사(식물)가 34.2%로 가장 많았으며, 온실가스관리기사와 생물분류기사(동물)가 각각 33.8%, 30.4%로 그 뒤를 이었다.
2023년도 환경 분야 22개 종목 필기시험 설문 응답자(39,962명)에 따르면, 응시 인원의 64.8%는 남성이었으며, 연령대는 20대(60.4%), 30대(18.6%), 40대(10.3%) 순으로 많았다. 경제활동 유형으로는 재직자가 40.6%로 가장 많았고 학생과 구직자가 각각 37.0%, 15.5%이었다.
재직자 16,223명이 응답한 결과에 따르면 근무처에서 자격을 우대하고 있다는 응답은 71.8%(11,654명)이다. 67.5%(7,871명)는 채용, 19.4%(2,259명)는 임금(수당 등), 8.3%(968명)는 인사고과에서 자격을 우대한다고 답했다.
이우영 이사장은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 분야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정부, 산업계, 학계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환경에 도움이 되는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을 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자격Q’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환경인적자원개발위원회, 관련 협회·단체, 대학 입학처와 큐넷(www.Q-Ne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 의: 자격품질기획부 정유현(052-714-8687)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기후변화 감시·예측을 위해 관계부처 힘 모은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이 대통령, 국회 첫 시정연설…"추경, 경제위기 가뭄 해소 마중물"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직장인 점심비 지원 방안은 구체화된 바 없음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최신 뉴스
- [보도설명] AI기본법 3년 규제시행 유예에 대해 결정된 바 없음(서울경제)
- [설명] SAF 생산투자 세액공제 확대, 혼합의무 비율 등에 대한 의견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한 바 없음
- 새정부 첫 대형 방산수출 계약 확정, 폴란드 K2전차 추가계약 공식 발표
-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시스템, 오류 없이 안정적 운영"
- 기재부 "NXC 지분 매각 관련 구체적인 매각대상자 등 결정된 바 없어"
-
특허청,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근절 위해 민관 협력 확대
-
보드게임 접목 '청년층 전세사기' 예방 교육, 전국적으로 실시
-
이 대통령, 3일 첫 기자회견…"국민 질문에 겸허히 답하겠다"
-
[정책 바로보기]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차질없는 운영···시스템 구축"
-
서산 중왕·왕산과 고창 두어리, '갯벌생태마을' 첫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