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사과’ 수확량 갉아먹는 ‘병해충’ 장마 뒤 방제 철저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비 그친 뒤 탄저병 확산 우려 커, 방제 철저히

- 복숭아순나방·노린재류 7~8월 가장 왕성하게 발생… 주변 작물·잡초 동시 방제

 장마가 지속되면서 사과 주산지마다 병해충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사과 품질 유지와 안정적인 수확을 위해 장마 뒤 철저한 병해충 관리를 당부했다.

 사과 탄저병은 환경조건이 맞으면 어린 열매에서도 발생하지만 주로 조·중생종 수확 시기와 성숙기인 7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고 저장 중에도 많이 발생한다. 탄저병에 걸린 사과 열매에는 갈색 둥근 반점이 형성돼 1주일 뒤에는 지름이 20~30mm로 커진다. 병든 부위를 잘라보면 열매 중앙 쪽을 향해 원뿔(V자) 모양으로 깊숙이 부패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습도가 높으면 갈색 둥근 반점에 엷은 붉은색(담홍색) 병원균 포자(곰팡이) 덩이가 쌓이고, 이것이 날려 2차 탄저병이 발생하게 된다.

 6월 이후 계속된 장맛비로 7월 하순 이후부터 사과 탄저병 발생 가능성이 매우 커 농가에서는 병 발생 전 약제를 충분히 뿌려 예방해야 한다. 또한, 탄저병이 발생한 열매는 발견 즉시 소각한다. 탄저병 방제 약제는 약 효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른 제제와 함께 쓰지 않는다. 집중호우 이후 무덥고 습한 환경이 지속되면 과수원의 해충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특히 사과는 복숭아순나방과 노린재류 피해를 보기 쉽다. 이들 해충은 상품성과 수확량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예방 관찰과 방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복숭아순나방은 한 해 4~5회 발생하는데, 3세대는 7월 하순~8월 상순, 4세대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복숭아순나방은 사과나무 새순뿐 아니라 꽃받침이나 꼭지(과경) 부분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열매 안으로 뚫고 들어가 과육을 먹고, 일부는 과실 측면을 핥듯이 해를 끼쳐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피해 상황은 배설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노린재류는 한 해 두 번 발생하는데, 2세대 어른벌레(성충)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때는 7~8월이다. 열매 피해가 가장 크므로, 피해가 우려되는 사과 과수원은 이 시기에 중점 방제해야 한다. 갈색날개노린재와 썩덩나무노린재 피해는 열매 윗부분이나 옆면에 어른벌레가 찌른 침 흔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과 껍질(과피)과 과육이 갈색으로 변하고, 특히 과육이 코르크처럼 푸석푸석하게 변해 상품성이 떨어진다. 농가에서는 성 유인물질 덫(성페로몬 트랩)*에 포획된 해충을 5일마다 관찰해 50마리 이상이면 반드시 작물보호지침서나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pris.rda.go.kr) 등록 약제로 방제한다.* 해충의 성페로몬을 추출해 개체를 유인해 포획하는 장치로, 주로 해충 예찰에 많이 쓰임

 나방류와 노린재류는 이동 범위가 넓어 주변 과수원이나 해충이 기생할 수 있는 잡초 등도 동시에 방제해야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 이동혁 센터장은 “장마 후 덥고 습한 환경이 이어져 병해충이 많이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지속해서 발생 동향을 살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FTA종합지원센터」를 「FTA·통상 종합지원센터」로 개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