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4년 상반기 및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상반기 수출 1,088.5억 불, 수입 677.8억 불, 무역수지 410.7억 불 흑자 - 6월에도 반도체가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하며 8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 |
’24년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전년대비 28.2% 증가한 1,088.5억 불로 상반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달성*하였으며, 수입은 0.7% 감소한 677.8억불, 무역수지는 410.7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 상반기 역대 수출 순위(억불) : (1위)1,224.6(’22), (2위)1,088.5(’24), (3위)1,030.3(’21)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수요 확대, 판매단가 상승 등으로 크게 증가하여 전체 ICT 수출의 성장을 주도하면서 ’24.1월부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는 등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다.
* ICT 수출 내 반도체 비중(%) : (’23) 53.4 → (’24.1월) 57.5 → (3월) 62.1 → (6월) 63.8
|
품목별로 반도체(49.9%↑), 디스플레이(14.6%↑), 컴퓨터·주변기기(35.6%↑)는 증가, 휴대폰(△2.8%)은 감소하였고,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7.3%↑), 베트남(21.7%↑), 미국(19.2%↑), 유럽연합(8.2%↑) 등은 증가, 일본(△9.3%)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입*(677.8억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증가에도 휴대폰 등의 감소로 전년 상반기(682.5억불)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등
’24년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10.5억불, 수입은 108.7억불, 무역수지는 101.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전반의 수출 호조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는 전방산업(서버·PC 등) 수요 확대, 단가 상승 등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하였고, 전체 ICT 수출은 반도체의 성장 주도로 3개월 연속 3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 역대 6월 ICT 수출 순위(억불) : (1위)210.5(’24), (2위)206.0(’22), (3위)193.0(’21)
** 반도체 역대 실적 순위(억불) : (1위)134.4(’24.6), (2위)132.0(’22.3), (3위)128.4(’21.12)
|
품목별로 반도체(49.4%↑), 디스플레이(22.6%↑), 컴퓨터·주변기기(48.9%↑), 휴대폰(8.0%↑) 등 주요 품목 전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29.2%↑), 베트남(36.8%↑), 미국(27.0%↑), 유럽연합(1.5%↑) 등은 증가하였으나, 일본(△8.6%)은 감소하였다.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08.7억불)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14.5억불) 대비 5.1%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등
정보통신산업(ICT) 상반기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658.3억불, 49.9%↑)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IT기기 시장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9% 증가
※ 상반기 반도체 수출(억불, %) : (’23.상반기) 439.2(△36.8) → (’24.상반기) 658.3(49.9↑)
- 특히, 메모리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및 인공지능 시장 성장에 따른 고사양 메모리(HBM 등) 품목의 수출 확대로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
* D램 고정가 추이(8Gb, $, 분기별 평균가) : (‘23.2Q)1.40 → (3Q)1.31 → (4Q)1.57 → (‘24.1Q)1.80 → (2Q)2.10
※ 상반기 메모리 수출(억불, %) : (’23.상반기) 213.7(△49.7) → (’24.상반기) 403.1(88.7↑)
○ (디스플레이 : 101.0억불, 14.6%↑) TV·PC 등 IT 기기 수요 회복세 및 차량 등의 패널 적용 확대 양상으로 디스플레이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
※ 상반기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 (’23.상반기) 88.1(△30.6) → (’24.상반기) 101.0(14.6↑)
○ (휴대폰 : 55.8억불, △2.8%) 휴대폰 부분품(카메라모듈 등) 수출의 주 수요처인 중국(홍콩 포함)의 수요 부진으로 1분기 감소하였으나, 2분기부터 플러스 전환*하며 상반기 감소폭을 축소
* 분기별 휴대폰 수출 추이(억불, %) : (’23.4Q)39.9(2.7↑) → (’24.1Q)27.9(△13.8) → (2Q)27.9(11.3↑)
※ 상반기 휴대폰 수출(억불, %) : (’23.상반기) 57.4(△21.5) → (’24.상반기) 55.8(△2.8)
○ (컴퓨터·주변기기 : 59.9억불, 35.6%↑)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및 PC 등 기기 수요 증가로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6% 증가
※ 상반기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억불, %) : (’23.상반기) 44.2(△56.3) → (’24.상반기) 59.9(35.6↑)
- 특히, IT 업황의 개선에 따라 보조기억장치인 SSD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며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을 확대
※ 상반기 SSD 수출(억불, %) : (’23.상반기) 25.8(△68.3) → (’24.상반기) 40.6(57.7↑)
○ (통신장비 : 11.9억불, △2.9%) 베트남(2.9억불, 14.2%↑), 미국(2.1억불, 2.7%↑)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1.1억불, △29.0%)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상반기 통신장비 수출(억불, %) : (’23.상반기) 12.3(△11.0) → (’24.상반기) 11.9(△2.9)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474.3억불, 37.3%↑) 對중국 ICT 수출의 77.2%를 차지하는 반도체(366.2억불, 54.3%↑)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전년 동기 대비 37.3% 증가
※ 상반기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3.상반기) 345.5(△36.5) → (’24.상반기) 474.3(37.3↑)
○ (베트남 : 173.2억불, 21.7%↑) 우리 기업의 주요 ICT 생산 거점이 위치한 베트남은 반도체(82.4억불, 40.8%↑), 디스플레이(53.3억불, 5.0%↑) 등 주요 품목 전반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
※ 상반기 베트남 수출(억불, %) : (’23.상반기) 142.3(△23.0) → (’24.상반기) 173.2(21.7↑)
○ (미국 : 125.9억불, 19.2%↑) 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른 서버·데이터센터 수요를 중심으로 반도체(45.7억불, 101.9%↑), 컴퓨터·주변기기(20.0억불, 77.7%↑) 등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ICT 수출 성장을 견인
※ 상반기 미국 수출(억불, %) : (’23.상반기) 105.6(△31.2) → (’24.상반기) 125.9(19.2↑)
○ (유럽연합 : 59.6억불, 8.2%↑) 반도체(14.2억불, 23.1%↑), 휴대폰(7.7억불, 8.9%↑) 등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 기록
※ 상반기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3.상반기) 55.1(△27.0) → (’24.상반기) 59.6(8.2↑)
○ (일본 : 18.5억불, △9.3%) 반도체(5.4억불, △25.5%), 휴대폰(0.5억불, △27.0%) 등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
※ 상반기 일본 수출(억불, %) : (’23.상반기) 20.4(△12.2) → (’24.상반기) 18.5(△9.3)
※ 상반기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기 대비) (중소* · 중견기업 286.2억불, 12.1%↑) 반도체(138.7억불, 18.1%↑), 휴대폰(17.8억불, 19.2%↑), 디스플레이(11.8억불, 9.0%↑), 가전(6.3억불, 15.4%↑) 등 증가 * 중소기업(90.8억불, 8.0%↑)은 반도체(16.8억불, 20.2%↑), 컴퓨터·주변기기(7.6억불, 2.5%↑) 등 증가 |
정보통신산업(ICT) 상반기 수입 현황 |
□ (품목별) 반도체(335.4억불, 8.3%↑), 디스플레이(26.5억불, 29.6%↑)는 증가, 컴퓨터·주변기기(72.9억불, △6.5%), 휴대폰(34.4억불, △6.1%)은 감소
□ (지역별) 대만(112.4억불, 16.5%↑), 베트남(65.3억불, 12.0%↑), 미국(42.6억불, 6.5%↑)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267.1억불, △6.8%), 일본(60.1억불, △1.7%)은 감소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34.4억불, 49.4%↑)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IT기기 시장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 등으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
* 반도체 역대 실적 순위(억불) : (1위)134.4(’24.6월), (2위)132.0(’22.3월), (3위)128.4(’21.12월)
- 특히, 메모리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및 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를 견인
* D램 고정가 추이(8Gb, $, 분기별 평균가) : (‘23.2Q)1.40 → (3Q)1.31 → (4Q)1.57 → (‘24.1Q)1.80 → (2Q)2.10
* 메모리 수출(억불, %) : (’24.4월)58.2(98.7↑) → (5월)68.6(101.0↑) → (6월)88.3(85.2↑)
○ (디스플레이 : 19.5억불, 22.6%↑) TV·PC 등 IT 기기 수요 회복세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액정디스플레이(LCD) 동시 증가하며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은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 (’24.3월)16.2(12.9↑) →(4월)16.4(15.2↑) →(5월)18.5(15.3↑) →(6월)19.5(22.6)
○ (휴대폰 : 8.4억불, 8.0%↑)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등 주요 휴대폰 제조 지역을 중심으로 부분품(6.4억불, 19.1%↑) 수출이 확대되며 전체 휴대폰 수출은 증가
* 휴대폰 수출(억불, %) : (’24.4월)9.3(15.2↑) → (5월)10.2(10.8↑) → (6월)8.4(8.0↑)
○ (컴퓨터·주변기기 : 12.9억불, 48.9%↑)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및 PC 등 기기 수요 증가로 컴퓨터(0.9억불, 11.3%↑) 및 주변기기(12.0억불, 52.8%↑) 동시 증가하며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억불, %) : (’24.3월)10.2(20.2↑) →(4월)9.1(55.4↑) →(5월)11.8(42.5↑) →(6월)12.9(48.9↑)
○ (통신장비 : 2.0억불, △8.6%) 베트남(0.4억불, 1.9%↑)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0.2억불, △8.6%), 미국(0.4억불, △13.5%)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통신장비 수출(억불, %) : (’24.3월)2.2(△7.0) →(4월)1.9(△3.2) →(5월)1.8(△10.7) →(6월)2.0(△8.6)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 · 중견기업 47.5억불, 4.3%↑) 반도체(22.9억불, 5.2%↑), 휴대폰(3.1억불, 25.1%↑), 디스플레이(1.8억불, 0.9%↑), 컴퓨터·주변기기(1.8억불, 5.5%↑) 등 증가 * 중소기업(14.8억불, 1.5%↑)은 반도체(2.7억불, 18.6%↑), 컴퓨터·주변기기(1.4억불, 5.4%↑) 등 증가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87.1억불, 29.2%↑) 반도체(69.2억불, 39.1%↑), 디스플레이(5.6억불, 13.8%↑) 등 주요 품목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8개월 연속 상승*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3.10월)75.5(△3.5) → (11월)80.9(15.5↑) → (‘24.6월)87.1(29.2↑)
○ (베트남 : 34.0억불, 36.8%↑) 반도체(16.6억불, 60.6%↑), 디스플레이(11.5억불, 30.2%↑) 등 주요 품목 증가로 전체 수출은 11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수출(억불, %) : (’23.7월)25.2(△18.7) → (8월)30.5(1.7↑) → (’24.6월)34.0(36.8↑)
○ (미국 : 25.0억불, 27.0%↑) 서버·데이터센터 수요 중심으로 반도체(9.8억불, 90.6%↑), 컴퓨터·주변기기(4.5억불, 103.7%↑) 등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증가*
* 미국 수출(억불, %) : (’23.10월)17.4(△14.7) →(11월)20.6(12.5↑) → (’24.6월)25.0(27.0↑)
○ (유럽연합 : 9.9억불, 1.5%↑) 반도체(2.7억불, 15.7%↑), 컴퓨터·주변기기(1.6억불, 40.3%↑) 등의 증가로 전체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
※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4.3월)10.9(10.3↑) → (4월)9.8(15.4↑) → (5월)10.9(21.3↑) → (6월)9.9(1.5↑)
○ (일본 : 3.3억불, △8.6%) 반도체(1.2억불, △5.5%), 컴퓨터·주변기기(0.4억불, △19.2%)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일본 월별 수출(억불, %) : (‘24.4월)3.0(8.7↑) → (5월)3.0(△19.5) → (6월)3.3(△8.6)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컴퓨터·주변기기(13.4억불, 24.5%↑), 디스플레이(4.1억불, 3.7%↑)는 증가, 반도체(51.4억불, △4.9%), 휴대폰(4.9억불, △8.5%)은 감소
□ (지역별) 대만(16.7억불, 7.9%↑), 베트남(10.2억불, 9.9%↑), 미국(7.8억불, 7.3%↑) 등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5.6억불, △24.6%), 일본(8.3억불, △30.4%)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광산안전 현장점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산불피해 시름 날리는 '착한 여행'…"미안해 말고 관광 오세요!"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안돼"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
6월부터 '주택 임대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실거래가 투명화 기대
-
퇴직자 인생 2막을 위한 희망정책 "중장년 경력 지원제"
최신 뉴스
-
아이가 태어나는 도시, 우리가 꿈꾸는 미래
- 신임 총영사 임용장 전수식 개최
-
걷기의 의미를 생각해 본 하루 '2025 제2회 메모리얼 봄꽃 하이킹'
-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창출…딥테크 연구소기업 500개 육성
- (보도참고)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처리자 대상 강화된 개인정보 보호조치 당부
-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신고'하면 추가징수 면제
- 농촌진흥청, 국산 열풍건초 보급 확대기술 고도화 속도 내
- 방위사업 보안! 소통을 통해 발전합니다
-
5~8월 오존 고농도 시기…환경부, 집중관리 나선다
-
시도경찰청, 보험사기 전담수사팀 운영…조직·상습 수법 집중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