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4년 상반기 및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4년 상반기 및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상반기 수출 1,088.5억 불, 수입 677.8억 불, 무역수지 410.7억 불 흑자

- 6월에도 반도체가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하며 8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


24년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전년대비 28.2% 증가한 1,088.5억 불로 상반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달성*하였으며, 수입은 0.7% 감소한 677.8억불, 무역수지는 410.7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 상반기 역대 수출 순위(억불) : (1)1,224.6(’22), (2)1,088.5(’24), (3)1,030.3(’21)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수요 확대, 판매단가 상승 등으로 크게 증가하여 전체 ICT 수출의 성장을 주도하면서 ’24.1월부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는 등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다.

* ICT 수출 내 반도체 비중(%) : (’23) 53.4 (’24.1) 57.5 (3) 62.1 (6) 63.8



<상반기 ICT 수출액 추이(억불)>

<최근 월별 ICT 수출 증감 추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db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8pixel, 세로 28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db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9pixel



품목별로 반도체(49.9%), 디스플레이(14.6%), 컴퓨터·주변기기(35.6%)는 증가, 휴대폰(2.8%)은 감소하였고,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7.3%), 베트남(21.7%), 미국(19.2%), 유럽연합(8.2%) 등은 증가, 일본(9.3%)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입*(677.8억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증가에도 휴대폰 등의 감소로 전년 상반기(682.5억불)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등

24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10.5억불, 수입은 108.7억불, 무역수지는 101.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전반의 수출 호조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는 전방산업(서버·PC ) 수요 확대, 단가 상승 등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하였고, 전체 ICT 수출은 반도체의 성장 주도로 3개월 연속 3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 역대 6ICT 수출 순위(억불) : (1)210.5(’24), (2)206.0(’22), (3)193.0(’21)

** 반도체 역대 실적 순위(억불) : (1)134.4(’24.6), (2)132.0(’22.3), (3)128.4(’21.12)



< 최근 월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추이(억불, %, 전년동월 대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1408b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8pixel, 세로 286pixel



품목별로 반도체(49.4%), 디스플레이(22.6%), 컴퓨터·주변기기(48.9%), 휴대폰(8.0%) 등 주요 품목 전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29.2%), 베트남(36.8%), 미국(27.0%), 유럽연합(1.5%) 등은 증가하였으나, 일본(8.6%)은 감소하였다.

6정보통신산업(ICT) 수입*(108.7억불)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14.5억불) 대비 5.1%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등


정보통신산업(ICT) 상반기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658.3억불, 49.9%)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IT기기 시장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전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9% 증가

상반기 반도체 수출(억불, %) : (’23.상반기) 439.2(36.8) (’24.상반기) 658.3(49.9)

- 특히, 메모리고정 거래가격 상승* 인공지능 시장 성장에 따른 고사양 메모리(HBM ) 품목수출 확대전체 수출 증가세견인

* D램 고정가 추이(8Gb, $, 분기별 평균가) : (‘23.2Q)1.40 (3Q)1.31 (4Q)1.57 (‘24.1Q)1.80 (2Q)2.10

상반기 메모리 수출(억불, %) : (’23.상반기) 213.7(49.7) (’24.상반기) 403.1(88.7)

(디스플레이 : 101.0억불, 14.6%) TV·PC IT 기기 수요 회복세 및 차량 등의 패널 적용 확대 양상으로 디스플레이 수출두 자릿수 증가

상반기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 (’23.상반기) 88.1(30.6) (’24.상반기) 101.0(14.6)

(휴대폰 : 55.8억불, 2.8%) 휴대폰 부분품(카메라모듈 등) 수출의 주 수요처중국(홍콩 포함)수요 부진으로 1분기 감소하였으나, 2분기부터 플러스 전환*하며 상반기 감소폭을 축소

* 분기별 휴대폰 수출 추이(억불, %) : (’23.4Q)39.9(2.7) (’24.1Q)27.9(13.8) (2Q)27.9(11.3)

상반기 휴대폰 수출(억불, %) : (’23.상반기) 57.4(21.5) (’24.상반기) 55.8(2.8)

(컴퓨터·주변기기 : 59.9억불, 35.6%)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PC 기기 수요 증가로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6% 증가

상반기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억불, %) : (’23.상반기) 44.2(56.3) (’24.상반기) 59.9(35.6)

- 특히, IT 업황의 개선에 따라 보조기억장치인 SSD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며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을 확대

상반기 SSD 수출(억불, %) : (’23.상반기) 25.8(68.3) (’24.상반기) 40.6(57.7)

(통신장비 : 11.9억불, 2.9%) 베트남(2.9억불, 14.2%), 미국(2.1억불, 2.7%) 일부 지역증가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1.1억불, 29.0%)감소전체 수출감소

상반기 통신장비 수출(억불, %) : (’23.상반기) 12.3(11.0) (’24.상반기) 11.9(2.9)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474.3억불, 37.3%) 중국 ICT 수출77.2%를 차지하는 반도체(366.2억불, 54.3%)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전년 동기 대비 37.3% 증가

상반기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3.상반기) 345.5(36.5) (’24.상반기) 474.3(37.3)

(베트남 : 173.2억불, 21.7%) 우리 기업의 주요 ICT 생산 거점이 위치한 베트남은 반도체(82.4억불, 40.8%), 디스플레이(53.3억불, 5.0%) 주요 품목 전반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

상반기 베트남 수출(억불, %) : (’23.상반기) 142.3(23.0) (’24.상반기) 173.2(21.7)

(미국 : 125.9억불, 19.2%) 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른 서버·데이터센터 수요를 중심으로 반도체(45.7억불, 101.9%), 컴퓨터·주변기기(20.0억불, 77.7%) 등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ICT 수출 성장을 견인

상반기 미국 수출(억불, %) : (’23.상반기) 105.6(31.2) (’24.상반기) 125.9(19.2)

(유럽연합 : 59.6억불, 8.2%) 반도체(14.2억불, 23.1%), 휴대폰(7.7억불, 8.9%) 등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 기록

상반기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3.상반기) 55.1(27.0) (’24.상반기) 59.6(8.2)

(일본 : 18.5억불, 9.3%) 반도체(5.4억불, 25.5%), 휴대폰(0.5억불, 27.0%) 등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

상반기 일본 수출(억불, %) : (’23.상반기) 20.4(12.2) (’24.상반기) 18.5(9.3)


상반기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기 대비)

(중소* · 중견기업 286.2억불, 12.1%) 반도체(138.7억불, 18.1%), 휴대폰(17.8억불, 19.2%), 디스플레이(11.8억불, 9.0%), 가전(6.3억불, 15.4%) 증가

* 중소기업(90.8억불, 8.0%)반도체(16.8억불, 20.2%), 컴퓨터·주변기기(7.6억불, 2.5%) 증가



정보통신산업(ICT) 상반기 수입 현황


(품목별) 반도체(335.4억불, 8.3%), 디스플레이(26.5억불, 29.6%)증가, 컴퓨터·주변기기(72.9억불, 6.5%), 휴대폰(34.4억불, 6.1%)감소

(지역별) 대만(112.4억불, 16.5%), 베트남(65.3억불, 12.0%), 미국(42.6억불, 6.5%)증가, 중국(홍콩 포함, 267.1억불, 6.8%), 일본(60.1억불, 1.7%)감소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134.4억불, 49.4%)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IT기기 시장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 등으로 전체 반도체 수출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

* 반도체 역대 실적 순위(억불) : (1)134.4(’24.6), (2)132.0(’22.3), (3)128.4(’21.12)

- 특히, 메모리고정 거래가격 상승* HBM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를 견인

* D램 고정가 추이(8Gb, $, 분기별 평균가) : (‘23.2Q)1.40 (3Q)1.31 (4Q)1.57 (‘24.1Q)1.80 (2Q)2.10

* 메모리 수출(억불, %) : (’24.4)58.2(98.7) (5)68.6(101.0) (6)88.3(85.2)

(디스플레이 : 19.5억불, 22.6%) TV·PC IT 기기 수요 회복세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액정디스플레이(LCD) 동시 증가하며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 (’24.3)16.2(12.9) (4)16.4(15.2) (5)18.5(15.3) (6)19.5(22.6)

(휴대폰 : 8.4억불, 8.0%)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주요 휴대폰 제조 지역중심으로 부분품(6.4억불, 19.1%) 수출확대되며 전체 휴대폰 수출증가

* 휴대폰 수출(억불, %) : (’24.4)9.3(15.2) (5)10.2(10.8) (6)8.4(8.0)

(컴퓨터·주변기기 : 12.9억불, 48.9%)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PC 등 기기 수요 증가컴퓨터(0.9억불, 11.3%) 주변기기(12.0억불, 52.8%) 동시 증가하며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6개월 연속 증가*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억불, %) : (’24.3)10.2(20.2) (4)9.1(55.4) (5)11.8(42.5) (6)12.9(48.9)

(통신장비 : 2.0억불, 8.6%) 베트남(0.4억불, 1.9%) 일부 지역증가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0.2억불, 8.6%), 미국(0.4억불, 13.5%) 등의 감소전체 수출감소*

* 통신장비 수출(억불, %) : (’24.3)2.2(7.0) (4)1.9(3.2) (5)1.8(10.7) (6)2.0(8.6)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 · 중견기업 47.5억불, 4.3%) 반도체(22.9억불, 5.2%), 휴대폰(3.1억불, 25.1%), 디스플레이(1.8억불, 0.9%), 컴퓨터·주변기기(1.8억불, 5.5%) 증가

* 중소기업(14.8억불, 1.5%)반도체(2.7억불, 18.6%), 컴퓨터·주변기기(1.4억불, 5.4%) 증가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87.1억불, 29.2%) 반도체(69.2억불, 39.1%), 디스플레이(5.6억불, 13.8%) 주요 품목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8개월 연속 상승*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3.10)75.5(3.5) (11)80.9(15.5) (‘24.6)87.1(29.2)

(베트남 : 34.0억불, 36.8%) 반도체(16.6억불, 60.6%), 디스플레이(11.5억불, 30.2%) 주요 품목 증가전체 수출11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수출(억불, %) : (’23.7)25.2(18.7) (8)30.5(1.7) (’24.6)34.0(36.8)

(미국 : 25.0억불, 27.0%) 서버·데이터센터 수요 중심으로 반도체(9.8억불, 90.6%), 컴퓨터·주변기기(4.5억불, 103.7%) 등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증가*

* 미국 수출(억불, %) : (’23.10)17.4(14.7) (11)20.6(12.5) (’24.6)25.0(27.0)

(유럽연합 : 9.9억불, 1.5%) 반도체(2.7억불, 15.7%), 컴퓨터·주변기기(1.6억불, 40.3%) 등의 증가전체 수출4개월 연속 증가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4.3)10.9(10.3) (4)9.8(15.4) (5)10.9(21.3) (6)9.9(1.5)

(일본 : 3.3억불, 8.6%) 반도체(1.2억불, 5.5%), 컴퓨터·주변기기(0.4억불, 19.2%)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감소

일본 월별 수출(억불, %) : (‘24.4)3.0(8.7) (5)3.0(19.5) (6)3.3(8.6)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입 현황


(품목별) 컴퓨터·주변기기(13.4억불, 24.5%), 디스플레이(4.1억불, 3.7%)증가, 반도체(51.4억불, 4.9%), 휴대폰(4.9억불, 8.5%)감소

(지역별) 대만(16.7억불, 7.9%), 베트남(10.2억불, 9.9%), 미국(7.8억불, 7.3%) 등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5.6억불, 24.6%), 일본(8.3억불, 30.4%)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광산안전 현장점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