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내기술로 안전한 착륙관제를 책임지다

2024.07.19 방위사업청
목록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지난 6월 말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항공관제레이더(PAR, Precision Approach Radar)의 마지막 기지에 대한 공군 수락검사*를 완료하고, 성공적으로 전력화를 마무리하였습니다. 이로써 우리 군의 항공기 운항 관리와 통제 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비행 안전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지수락검사 : 실제 설치 후 작전 운용성능, 군 운용 적합성 등을 확인하는 검사


  이번에 전력화된 항공관제레이더(PAR)는 공군이 국외구매하여 30년 이상 운용하고 있는 항공관제레이더(PAR)를 대체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방위사업청과 LIG넥스원이 약 200억 원을 공동 투자해 2017년에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2022년 최초양산 전력화에 이어, 2024년 후속양산 전력화로 공군 비행단의 노후화된 기존 장비를 모두 신형 장비로 교체 완료하였습니다.


  항공관제레이더(PAR)는 공항 관제* 구역 내 운항 항공기에 대한 착륙관제 및 야간·악기상 시 안전한 착륙을 지원하는 필수 비행안전 장비로,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 대해 약 40Km부터 착륙 시까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밀하게 착륙을 유도하는 장비입니다.

* 관제 : 비행장 안전을 위해 항공기 이·착륙 등 항공기 운항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


  특히 국내 개발 항공관제레이더(PAR)는 기존 국외구매 장비의 하나의 송신관을 이용한 PESA*(수동위상배열) 방식을, 수백 개의 반도체 송·수신기 모듈을 이용한 AESA**(능동위상배열) 방식으로 개선하여 운용성 및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Pass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 단일 고출력 송신기 사용

**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 다수의 저출력 반도체 송·수신 모듈 사용

  또한, 전체 부품단위로 고장을 진단하고 원격으로 감시함으로써 정비분야의 자동화 및 효율성도 크게 높여, 365일 24시간 무중단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신형 항공관제레이더(PAR) 전력화를 통해 항공기의 착륙관제 임무수행 능력을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방위사업청 감시전자사업부장(고위공무원 윤창문)은 “공군 비행단에 대한 항공관제레이더(PAR)의 성공적인 전력화로 항공관제분야의 국내 기술력 확보와 우수성을 입증하였으며, 방위산업 역량 강화와 방산수출을 위해 앞으로도 관련 분야의 국내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끝>

“이 자료는 방위사업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음식점업 외국인력(E-9) 도입 시범사업 전국으로 확대, 중식·일식 등 외국식도 허용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