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외교부-국방부, 아주 지역 재외공관과 함께 방산수출 전략 고도화

2024.07.25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아주 지역「권역별 방산수출 네트워크 회의」가 외교부 김희상 경제외교조정관과 국방부 성일 자원관리실장의 공동 주재 하에 7.25(목) 개최됐다. 이번 회의에는 아주 지역 재외공관(화상 참석)과 외교·국방·산업통상자원부 및 방위사업청의 유관 부서가 참여하여 현지 정세와 방산수출 지원 전략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회의에서 양 부처는 아주 지역 내 안보 관련 정세와 국별 방산수출 현황 및 우리 방산기업들의 기회요인을 심층 분석하고, 각 국가별 방산협력 및 수출 전략을 논의했다. 또한 재외공관 참석자들은 주재국 정세를 상세히 설명하는 한편, 방산수출 지원을 위한 현지에서의 활동 계획을 논의했다.


  김희상 경제외교조정관은 “방산수출은 상대국과의 외교, 안보, 경제적 관계를 모두 고려해 종합적인 교섭 전략을 수립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면서, 재외공관과 관계부처가 방산수출 전략을 함께 수립하고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조정관은 또한 효율적인 범부처 전략 수립과 이행을 위해 외교부는 국방부·방위사업청 등 유관 부처·기관과 재외공관이 긴밀히 소통할 기회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성일 자원관리실장은 “K-방산에 관심을 보이는 나라들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방산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국방부는 물론 관계부처와 재외공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이러한 기회를 구체적인 성과로 발전시키기 위해 국방부는 범정부 지원체계를 통해 민·관·군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서 방산수출을 확대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외교부와 국방부는 향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방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진단하고,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국가별 맞춤형 방산 수출 전략이 체계적으로 이행되도록 계속 협력하기로 했다.


  회의에 참석한 공관장들은 우리 정부 차원의 노력이 기업들의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반기에도 우리 무기체계를 홍보하고 주재국 정부 인사를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등 방산수출 지원 외교활동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외교부와 국방부는 지역별 방산시장을 진단·분석하고, 국가별 맞춤형 수출 지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작년 7월 「권역별 방산수출 네트워크 회의」를 출범했다. 오늘 아주 지역 회의는 유럽('23.7월), 중동('23.9월) 지역 회의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됐다.


  외교부와 국방부는 앞으로도 재외공관과 외교부·국방부·산업부·방사청 등 방산수출 유관 기관이 방산수출 전략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늘려 나갈 계획이다.


붙임 : 사진.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27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