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코로나19를 계기로 감염병 대응 인력 크게 확충
- 제1차 감염병실태조사 결과, 2023년말 현재 지자체 감염병 대응 인력 총 4,300명 규모로 ‘19년 대비 75.1% 증가
- 공중보건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중앙·지자체 역량집중
- 감염병예방법 개정, 결핵관리종합계획 수립, 재정 지원 등 제도적 기반 강화의 결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17~2019년과 2020~2022년 기간을 대상으로 2023년에 실시한 제1차 감염병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하여 감염병예방법 제17조(실태조사)에 따라 3년주기로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실시 및 공표가 의무화(‘20년 9월) 된 이후 시행되는 첫 번째 조사이다.
< 제1차 감염병실태조사 개요 > |
|||
(조사목적)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 |
|||
(조사근거) 감염병예방법제17조(실태조사) |
(조사주기) 3년 |
||
(조사기간) ‘23.6.29. ∼ ’24.6.30.(12개월) |
(조사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조사대상) 전국 17개 시도 및 232개 시군구 |
이번 실태조사는 처음으로 실시하는 조사임을 감안하여 코로나19 전후의 법정 감염병 발생 현황과 코로나19 전후의 감염병 대응 조직 및 인력에 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먼저, ‘코로나19 전후*의 법정감염병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17∼2019년(3년)과 2020∼2022년(3년)으로 구분
< 법정감염병 개요 > |
|||||||||||||||
◇ 감염병의 전파 위험, 중증도 및 격리여부 등을 고려하여 제1급~제4급(89종) 감염병으로 지정 운영(감염병예방법 제2조)
|
전수감시 중인 제1~3급 감염병의 전체 코로나19 전후 발생 현황을 각 3년간의 평균으로 비교할 경우, 코로나19 전(2017∼2019년) 평균 186,035건 대비 코로나19 후(2020∼2022년) 99,409건으로 46.6% 감소하였다.
1급 감염병은 2018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1건, 보툴리눔독소증이 2019년과 2020년 각 1건씩 발생한 것 외에는 신고된 사례가 없으며,
2급 감염병은 2020년을 기점으로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CRE) 감염증이 예외적으로 계속 증가하였으며, 특히 노인집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등은 2018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후 2019년부터 급감하였으며, 결핵, 성홍열 등은 코로나19 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A형 간염과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등은 연도별로 증감을 반복했다.
다만, 2023년 이후 감염병위기 단계가 하향되고, 야외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백일해, 성홍열 등의 호흡기 관련 감염병은 다시 증가하고 있어 원활한 대응을 위하여 질병관리청 내 전담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호흡기감염병 대응 TF, ’24.7.18.신설
(단위: 건) |
||||||
감염병명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제2급 합계 |
159,485 |
174,566 |
164,879 |
86,768 |
80,612 |
75,332 |
결핵 |
28,161 |
26,433 |
23,821 |
19,933 |
18,335 |
16,264 |
수두 |
80,092 |
96,467 |
82,868 |
31,430 |
20,929 |
18,547 |
홍역 |
7 |
15 |
194 |
6 |
0 |
0 |
콜레라 |
5 |
2 |
1 |
0 |
0 |
0 |
장티푸스 |
128 |
213 |
94 |
39 |
61 |
38 |
파라티푸스 |
73 |
47 |
55 |
58 |
29 |
31 |
세균성이질 |
112 |
191 |
151 |
29 |
18 |
31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138 |
121 |
146 |
270 |
165 |
211 |
A형간염 |
4,419 |
2,437 |
17,598 |
3,989 |
6,583 |
1,890 |
백일해 |
318 |
980 |
496 |
123 |
21 |
31 |
유행성이하선염 |
16,924 |
19,237 |
15,967 |
9,922 |
9,708 |
6,358 |
풍진(후천성) |
7 |
0 |
8 |
2 |
0 |
0 |
수막구균 감염증 |
17 |
14 |
16 |
5 |
2 |
3 |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
3 |
2 |
0 |
1 |
1 |
1 |
폐렴구균 감염증 |
523 |
670 |
526 |
345 |
269 |
339 |
한센병 |
3 |
6 |
4 |
3 |
5 |
2 |
성홍열 |
22,838 |
15,777 |
7,562 |
2,300 |
678 |
505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VRSA) 감염증 |
0 |
0 |
3 |
9 |
3 |
1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 (CRE) 감염증 |
5,717 |
11,954 |
15,369 |
18,113 |
23,311 |
30,548 |
E형간염 |
- |
- |
- |
191 |
494 |
528 |
엠폭스 |
- |
- |
- |
- |
- |
4 |
* 2017년~2022년 발생 신고건수가 있는 감염병만 포함
3급 감염병은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감염병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보였다.
발생 건수가 많은 주요 감염병 중 C형 간염은 2020년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21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또한 C형간염의 조기발견을 위해 2025년부터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항체 검사 도입이 결정(7월3일)되어, 2030년까지 C형간염 퇴치를 위한 핵심 기반이 마련되었다.
쯔쯔가무시증은 2019년까지 감소하였으나, 2020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은 연도별로 증감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위: 건) |
||||||
감염병명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제3급 합계 |
20,409 |
21,074 |
17,690 |
19,220 |
18,794 |
17,499 |
파상풍 |
34 |
31 |
31 |
30 |
21 |
23 |
B형간염(급성) |
391 |
392 |
389 |
382 |
453 |
332 |
일본뇌염 |
9 |
17 |
34 |
7 |
23 |
11 |
C형간염 |
6,396 |
10,811 |
9,810 |
11,850 |
10,116 |
8,308 |
말라리아 |
515 |
576 |
559 |
385 |
294 |
420 |
레지오넬라증 |
198 |
305 |
501 |
368 |
383 |
415 |
비브리오패혈증 |
46 |
47 |
42 |
70 |
52 |
46 |
발진열 |
18 |
16 |
14 |
1 |
9 |
4 |
쯔쯔가무시증 |
10,528 |
6,668 |
4,005 |
4,479 |
5,915 |
6,235 |
렙토스피라증 |
103 |
118 |
138 |
114 |
144 |
125 |
브루셀라증 |
6 |
5 |
1 |
8 |
4 |
5 |
신증후군출혈열 |
531 |
433 |
399 |
270 |
310 |
302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1,008 |
989 |
1,006 |
816 |
771 |
825 |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및 변종크로이츠 펠트-야콥병(vCJD) |
38 |
54 |
53 |
64 |
68 |
61 |
뎅기열 |
171 |
159 |
273 |
43 |
3 |
103 |
큐열 |
96 |
163 |
162 |
69 |
46 |
56 |
라임병 |
31 |
23 |
23 |
18 |
8 |
22 |
유비저 |
2 |
2 |
8 |
1 |
2 |
2 |
치쿤구니야열 |
5 |
3 |
16 |
1 |
- |
8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272 |
259 |
223 |
243 |
172 |
193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11 |
3 |
3 |
1 |
- |
3 |
* 2017년~2022년 발생 신고건수가 있는 감염병만 포함
(단위 : 개, 명) |
||||||||||
구분 |
2019년 |
2023년 |
2019년 대비 |
|||||||
과 |
팀 |
인원수 |
과 |
팀 |
인원수 |
과 |
팀 |
인원수 |
||
증감 |
% |
|||||||||
전체 |
204 |
349 |
2,434 |
246 |
595 |
4,261 |
42 |
246 |
1,827 |
75.1 |
시도(17개) |
15 |
33 |
169 |
19 |
60 |
387 |
4 |
27 |
218 |
129.0 |
서울 |
1 |
4 |
23 |
2 |
8 |
57 |
1 |
4 |
34 |
147.8 |
경기 |
1 |
4 |
16 |
2 |
7 |
55 |
1 |
3 |
39 |
243.8 |
인천 |
1 |
2 |
12 |
1 |
3 |
27 |
- |
1 |
15 |
125.0 |
강원 |
- |
2 |
9 |
1 |
4 |
20 |
1 |
2 |
11 |
122.2 |
충북 |
- |
1 |
5 |
1 |
3 |
20 |
1 |
2 |
15 |
300.0 |
충남 |
1 |
1 |
5 |
1 |
3 |
17 |
- |
2 |
12 |
240.0 |
대전 |
1 |
1 |
4 |
1 |
3 |
18 |
- |
2 |
14 |
350.0 |
세종 |
1 |
1 |
4 |
1 |
2 |
9 |
- |
1 |
5 |
125.0 |
전북 |
1 |
4 |
7 |
1 |
3 |
16 |
- |
△1 |
9 |
128.6 |
전남 |
1 |
4 |
26 |
1 |
3 |
16 |
- |
△1 |
△10 |
△38.5 |
광주 |
1 |
1 |
7 |
1 |
2 |
15 |
- |
1 |
8 |
114.3 |
대구 |
1 |
1 |
6 |
1 |
2 |
21 |
- |
1 |
15 |
250.0 |
부산 |
1 |
2 |
13 |
1 |
5 |
36 |
- |
3 |
23 |
176.9 |
울산 |
1 |
1 |
6 |
1 |
3 |
13 |
- |
2 |
7 |
116.7 |
경북 |
1 |
2 |
9 |
1 |
3 |
16 |
- |
1 |
7 |
77.8 |
경남 |
1 |
1 |
9 |
1 |
4 |
21 |
- |
3 |
12 |
133.3 |
제주 |
1 |
1 |
8 |
1 |
2 |
10 |
- |
1 |
2 |
25.0 |
시군구(232개) |
189 |
316 |
2,265 |
227 |
535 |
3,874 |
38 |
219 |
1,609 |
71.0 |
(단위: 명)
구분 |
합계 |
사업관리 |
예방 접종 |
소독 |
감염병 총괄 |
감염병 행정지원 |
기타 감염병 대응업무 |
||||
제1급 |
제2급 |
제3급 |
제4급 |
||||||||
결핵 |
결핵 외 |
||||||||||
전체 |
4,322 |
188 |
544 |
219 |
207 |
305 |
741 |
460 |
530 |
330 |
799 |
(%) |
(100) |
(4.3) |
(12.6) |
(5.1) |
(4.8) |
(7.0) |
(17.1) |
(10.6) |
(12.3) |
(7.6) |
(18.5) |
시도 |
380 |
23 |
40 |
24 |
20 |
33 |
50 |
7 |
50 |
44 |
88 |
(%) |
(100) |
(6.0) |
(10.7) |
(6.3) |
(5.2) |
(8.7) |
(13.1) |
(1.7) |
(13.1) |
(11.9) |
(23.3) |
시군구 |
3,942 |
165 |
504 |
195 |
187 |
272 |
691 |
454 |
480 |
285 |
711 |
(%) |
(100) |
(4.2) |
(12.8) |
(5.0) |
(4.7) |
(6.9) |
(17.5) |
(11.5) |
(12.2) |
(7.2) |
(18.0) |
(’20년 3월) 코로나19 시기 인구 10만명이상 시군구 역조사관 의무 배치 근거 신설
(단위: 명)
구분 |
방역관 |
역학조사관 |
||||||||||
2019년 |
오미크론 확산기 |
2023년 |
2019년 |
오미크론 확산기 |
2023년 |
|||||||
소계 |
정식 |
수습 |
한시 |
소계 |
정식 |
수습 |
한시 |
|||||
합계 |
95 |
171 |
142 |
83 |
962 |
82 |
379 |
501 |
524 |
143 |
297 |
84 |
시도 |
16 |
17 |
15 |
34 |
278 |
15 |
106 |
157 |
111 |
31 |
69 |
11 |
시군구 |
79 |
154 |
127 |
49 |
684 |
67 |
273 |
344 |
413 |
112 |
228 |
73 |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8.1.목.조간]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20년을 담은 연구자 활용 안내서 발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최신 뉴스
- (국영문 동시배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폭염 대비 산불 피해지역 이재민 보호 및 물놀이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제4차 우크라이나 복구회의(URC) 참석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환영합니다
- 국민과 함께 경제 회복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 제32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 결과
-
한미일 외교장관회담…"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확고" 재확인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사업 현장 근로자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영주국유림관리소, 온열질환 예방 등 산림사업 참여 근로자 안전점검 -
- 이 대통령, 언론인 오찬 회동 관련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