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벌쏘임 사고 증가…올해 심정지8명
소방청,벌초·성묘 시 벌 쏘임 주의 당부
-1월~7월,벌 쏘임 사고 최근3년 같은 기간 평균 대비40%증가
-벌 쏘임 환자 발생장소‘집’에서 가장 많아... ‘바다/강/산/논밭’뒤이어
-향수·향이 진한 화장품 사용 피하고,흰색 계열 옷·모자 착용 해야
지난19일 오후1시20분쯤 전남 해남군에서50대A씨가 벌에 쏘여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졌다.구급대 도착 당시 심정지였던A씨는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1시간 여 만에 숨졌다.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길어지는 폭염에 말벌 개체군이 급격하게 늘어 활동이 왕성해짐에 따라 벌 쏘임 사고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청의 구조활동 통계자료에 따르면최근3년간(2021년~2023년)벌 쏘임 사고는 해마다 더위가 시작되는7월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 연간 평균6,213건의 벌 쏘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3년간 벌 쏘임 사고 발생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1년 |
4,872 |
8 |
23 |
15 |
69 |
117 |
230 |
890 |
1,281 |
1,716 |
419 |
87 |
17 |
`22년 |
6,953 |
9 |
17 |
25 |
55 |
147 |
454 |
1,778 |
2,467 |
1,456 |
417 |
111 |
17 |
`23년 |
6,815 |
11 |
13 |
46 |
92 |
160 |
473 |
1,427 |
1,740 |
2,119 |
611 |
104 |
19 |
평균 |
6,213 |
9 |
18 |
29 |
72 |
141 |
386 |
1,365 |
1,829 |
1,764 |
482 |
101 |
18 |
% |
100% |
0.2% |
0.3% |
0.5% |
1.2% |
2.3% |
6.2% |
22.0% |
29.4% |
28.4% |
7.8% |
1.6% |
0.3% |
(출처:소방청 구조활동 통계자료) |
올해1월부터7월까지발생한 벌 쏘임 사고는2,815건으로예년에 비해4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말벌의 왕성한 활동 시기인 여름철에는50%가까이 증가했다.
< 2024년1~7월 벌 쏘임 사고 발생 현황> |
||||||||
(단위:건) |
||||||||
구분 |
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3년 평균 (`21~`23) |
2,011 |
9 |
18 |
29 |
72 |
141 |
386 |
1,365 |
`24년 |
2,815 |
4 |
7 |
29 |
98 |
94 |
572 |
2,011 |
증가량 |
804 |
-5 |
-11 |
- |
26 |
-47 |
186 |
646 |
증가율 |
40% |
-55.6% |
-61.1% |
- |
36.1% |
-33.3% |
48.2% |
47.3% |
(출처:소방청 구조활동 통계자료) |
벌 쏘임 사고로 인한심정지 환자는2020년7명, 2021년11명, 2022년11명, 2023년11명이었으며,올해는8월18일 기준8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특히,올해7월까지의 벌 쏘임 이송 환자2,815명의 사고발생 장소를 분석해 보면37.3%인1,049명이‘집’에서 발생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바다/강/산/논밭’이24.8%(697명)로 뒤를 이었다.오는9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성묘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2024년1~7월 월별·장소별 벌 쏘임 사고 현황> |
|||||||||
(단위:명) |
|||||||||
구분 |
합계 |
비율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합계 |
2,815 |
100% |
4 |
7 |
29 |
98 |
94 |
572 |
2,011 |
집 |
1,049 |
37.3% |
3 |
5 |
10 |
32 |
34 |
214 |
751 |
집단거주시설 |
40 |
1.4% |
- |
- |
- |
1 |
2 |
5 |
32 |
도로 |
173 |
6.1% |
- |
- |
1 |
6 |
9 |
36 |
121 |
도로외교통지역 |
195 |
6.9% |
- |
- |
3 |
11 |
6 |
33 |
142 |
오락/문화시설 |
124 |
4.4% |
- |
1 |
1 |
6 |
2 |
30 |
84 |
학교/교육시설 |
63 |
2.2% |
- |
- |
- |
1 |
4 |
13 |
45 |
운동시설 |
33 |
1.2% |
- |
- |
3 |
2 |
1 |
7 |
20 |
상업시설 |
143 |
5.1% |
- |
- |
1 |
6 |
3 |
34 |
99 |
의료관련시설 |
72 |
2.6% |
- |
- |
2 |
6 |
5 |
15 |
44 |
공장/산업/건설시설 |
67 |
2.4% |
- |
- |
1 |
1 |
2 |
14 |
49 |
일차산업장 |
39 |
1.4% |
- |
- |
- |
3 |
2 |
12 |
22 |
바다/강/산/논밭 |
697 |
24.8% |
- |
1 |
4 |
21 |
19 |
135 |
517 |
기타 |
120 |
4.3% |
1 |
- |
3 |
2 |
5 |
24 |
85 |
(출처:소방청 구급활동 통계자료) |
벌은 어두운 계통의 옷,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에 더 큰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에야외활동 시에는 흰색 계열의 옷과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고,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벌집과 접촉했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20m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한다.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하게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20m라는 수치는 절대적인 값이 아니므로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함
그러나 벌독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경우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구토와 설사,호흡곤란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지체없이119에 신고 후 병원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예년에 비해 벌 쏘임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야외활동 시 벌들의 위협으로부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벌에 쏘였을 때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과민성 쇼크’가 발생하면1시간 이내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신속히119에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담당 부서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 |
김재운 |
(044-205-7610) |
구조과 |
담당자 |
소방위 |
김경세 |
(044-205-7618) |
|
담당 부서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 |
유병욱 |
(044-205-7630) |
119구급과 |
담당자 |
소방위 |
김고은 |
(044-205-7634) |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개인정보위·과기정통부데이터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 공동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