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Ⅰ. 고용부문 (잠정결과)
1. 종사자(’24.7월 말)
□ (총괄) ’24.7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20,131천명으로 전년동월(19,997천명)대비 134천명(+0.7%)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대비 62천명(+0.4%)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43천명(+2.2%) 증가, 기타종사자는 30천명(+2.4%)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은 16,756천명으로 114천명(+0.7%) 증가, 300인 이상은 3,375천명으로 20천명(+0.6%) 증가
ㅇ (산업별)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91천명, +3.9%),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4천명, +1.9%),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9천명, +1.6%) 순
-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33천명, -2.7%), 건설업(-22천명, -1.5%),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5천명, -0.9%) 순
-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9천명 증가
2. 입·이직자(’24.7월 중)
□ (총괄) ’24.7월 중 입직자는 1,01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천명(-0.6%) 감소, 이직자는 1,006천명으로 전년동월과 유사한 수준
ㅇ (입·이직률) ’24.7월 입직률은 5.4%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이직률은 5.3%로 전년동월과 유사한 수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86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천명(-1.1%) 감소, 이직자는 862천명으로 9천명(-1.1%) 감소
-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는 150천명으로 3천명(+2.3%) 증가, 이직자는 143천명으로 9천명(+7.1%) 증가
□ (입·이직 사유별) 입직 중 채용은 88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천명(-1.8%) 감소, 기타 입직은 122천명으로 10천명(+9.1%) 증가
ㅇ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30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천명(-5.4%) 감소, 비자발적 이직은 561천명으로 8천명(+1.5%) 증가, 기타 이직은 138천명으로 10천명(+7.4%) 증가
ㅇ (채용) 채용(889천명) 중 상용직은 352천명으로 9천명(+2.8%) 증가, 임시일용직은 537천명으로 26천명(-4.6%) 감소
- 증가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9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28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5천명) 순
ㅇ (자발적 이직) 자발적 이직(306천명) 중 상용직은 258천명으로 15천명(-5.5%) 감소, 임시일용직은 49천명으로 2천명(-4.9%)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정보통신업(+2천명) 등,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6천명), 제조업(-4천명) 순
ㅇ (비자발적 이직) 비자발적 이직(561천명) 중 상용직은 81천명으로 14천명(+20.6%) 증가, 임시일용직은 480천명으로 6천명(-1.2%) 감소
-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4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교육서비스업(-7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천명) 순
3. 시도별 고용부문
□ 종사자(’24.7월 말)
ㅇ ’24.7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84천명), 경남(+21천명) 등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
ㅇ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5%), 경남(+1.9%), 경기(+1.7%) 순,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서울(-0.8%), 제주(-0.5%) 순
□ 입·이직자(’24.7월 중)
ㅇ (입·이직자) ’24.7월 중 입·이직자는 경기(입직 256천명, 이직 247천명), 서울(입직 204천명, 이직 220천명), 경북(입직 56천명, 이직 57천명) 순으로 많음
- 입직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9천명), 서울(+7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13천명), 인천(-5천명) 등에서 감소
- 이직자는 서울(+14천명), 전북(+6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15천명), 대전(-7천명) 등에서 감소
Ⅱ. 근로실태부문
1. 임금(’24.6월 기준)
□ (총괄) ’24.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124천원)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108천원으로 3.7%(+145천원)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758천원으로 0.6%(+11천원) 증가
-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545천원으로 3.5%(+121천원) 증가, 초과급여는 247천원으로 5.2%(+12천원) 증가, 특별급여는 316천원으로 3.7%(+11천원)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529천원으로 3.3%(+113천원) 증가, 300인 이상은 5,488천원으로 3.4%(+180천원) 증가
ㅇ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8,672천원), 금융 및 보험업(6,528천원) 순,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087천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732천원) 순
2. 근로시간(’24.6월 기준)
□ (총괄) ’24.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7.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1.8시간(-7.4%) 감소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4.9시간으로 12.4시간(-7.4%)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83.7시간으로 5.8시간(-6.5%) 감소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6.4시간으로 12.0시간(-7.6%)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52.4시간으로 11.5시간(-7.0%) 감소
ㅇ (산업별)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광업(163.7시간), 제조업(162.7시간) 순, 짧은 산업은 건설업(120.9시간), 교육서비스업(125.8시간) 순
Ⅲ. 시군구별 고용부문(부가조사, 잠정결과)
1. 시군구별 종사자(’24.4월 말)
□ ’24.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서울 강남구(744천명), 경기 화성시(515천명) 순으로 많고, 경북 울릉군(3.5천명), 영양군(4천명) 순으로 적음
ㅇ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증감률은 강원 고성군(+8.1%), 경기 과천시(+7.6%) 순으로 높고, 충북 보은군(-2.4%), 서울 성동구(-1.8%) 순으로 낮음
2. 시군구별 입·이직률(’24.4월 중)
□ ’24.4월 중 입·이직률은 전남 여수시(입직률 9.0%, 이직률 13.6%), 영광군(입직률 9.2%, 이직률 11.6%) 순으로 높고, 전남 신안군(입직률 1.5%, 이직률 1.5%), 경북 의성군(입직률 2.4%, 이직률 1.0%) 순으로 낮음
ㅇ 전년동월대비 입·이직률은 전북 임실군(입직률 +1.7%p, 이직률 +4.9%p), 장수군(입직률 +3.9%p, 이직률 +2.4%p) 순으로 상승하였고, 전남 담양군(입직률 –2.9%p, 이직률 –4.7%p), 장성군(입직률 –3.3%p, 이직률 –4.1%p) 순으로 하락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우남민(044-202-7324)
1. 종사자(’24.7월 말)
□ (총괄) ’24.7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20,131천명으로 전년동월(19,997천명)대비 134천명(+0.7%)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대비 62천명(+0.4%)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43천명(+2.2%) 증가, 기타종사자는 30천명(+2.4%)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은 16,756천명으로 114천명(+0.7%) 증가, 300인 이상은 3,375천명으로 20천명(+0.6%) 증가
ㅇ (산업별)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91천명, +3.9%),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4천명, +1.9%),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9천명, +1.6%) 순
-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33천명, -2.7%), 건설업(-22천명, -1.5%),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5천명, -0.9%) 순
-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9천명 증가
2. 입·이직자(’24.7월 중)
□ (총괄) ’24.7월 중 입직자는 1,01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천명(-0.6%) 감소, 이직자는 1,006천명으로 전년동월과 유사한 수준
ㅇ (입·이직률) ’24.7월 입직률은 5.4%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이직률은 5.3%로 전년동월과 유사한 수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86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천명(-1.1%) 감소, 이직자는 862천명으로 9천명(-1.1%) 감소
-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는 150천명으로 3천명(+2.3%) 증가, 이직자는 143천명으로 9천명(+7.1%) 증가
□ (입·이직 사유별) 입직 중 채용은 88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천명(-1.8%) 감소, 기타 입직은 122천명으로 10천명(+9.1%) 증가
ㅇ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30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천명(-5.4%) 감소, 비자발적 이직은 561천명으로 8천명(+1.5%) 증가, 기타 이직은 138천명으로 10천명(+7.4%) 증가
ㅇ (채용) 채용(889천명) 중 상용직은 352천명으로 9천명(+2.8%) 증가, 임시일용직은 537천명으로 26천명(-4.6%) 감소
- 증가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9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28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5천명) 순
ㅇ (자발적 이직) 자발적 이직(306천명) 중 상용직은 258천명으로 15천명(-5.5%) 감소, 임시일용직은 49천명으로 2천명(-4.9%)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정보통신업(+2천명) 등,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6천명), 제조업(-4천명) 순
ㅇ (비자발적 이직) 비자발적 이직(561천명) 중 상용직은 81천명으로 14천명(+20.6%) 증가, 임시일용직은 480천명으로 6천명(-1.2%) 감소
-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4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교육서비스업(-7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천명) 순
3. 시도별 고용부문
□ 종사자(’24.7월 말)
ㅇ ’24.7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84천명), 경남(+21천명) 등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
ㅇ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5%), 경남(+1.9%), 경기(+1.7%) 순,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서울(-0.8%), 제주(-0.5%) 순
□ 입·이직자(’24.7월 중)
ㅇ (입·이직자) ’24.7월 중 입·이직자는 경기(입직 256천명, 이직 247천명), 서울(입직 204천명, 이직 220천명), 경북(입직 56천명, 이직 57천명) 순으로 많음
- 입직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9천명), 서울(+7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13천명), 인천(-5천명) 등에서 감소
- 이직자는 서울(+14천명), 전북(+6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15천명), 대전(-7천명) 등에서 감소
Ⅱ. 근로실태부문
1. 임금(’24.6월 기준)
□ (총괄) ’24.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124천원)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108천원으로 3.7%(+145천원)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758천원으로 0.6%(+11천원) 증가
-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545천원으로 3.5%(+121천원) 증가, 초과급여는 247천원으로 5.2%(+12천원) 증가, 특별급여는 316천원으로 3.7%(+11천원)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529천원으로 3.3%(+113천원) 증가, 300인 이상은 5,488천원으로 3.4%(+180천원) 증가
ㅇ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8,672천원), 금융 및 보험업(6,528천원) 순,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087천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732천원) 순
2. 근로시간(’24.6월 기준)
□ (총괄) ’24.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7.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1.8시간(-7.4%) 감소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4.9시간으로 12.4시간(-7.4%)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83.7시간으로 5.8시간(-6.5%) 감소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6.4시간으로 12.0시간(-7.6%)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52.4시간으로 11.5시간(-7.0%) 감소
ㅇ (산업별)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광업(163.7시간), 제조업(162.7시간) 순, 짧은 산업은 건설업(120.9시간), 교육서비스업(125.8시간) 순
Ⅲ. 시군구별 고용부문(부가조사, 잠정결과)
1. 시군구별 종사자(’24.4월 말)
□ ’24.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서울 강남구(744천명), 경기 화성시(515천명) 순으로 많고, 경북 울릉군(3.5천명), 영양군(4천명) 순으로 적음
ㅇ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증감률은 강원 고성군(+8.1%), 경기 과천시(+7.6%) 순으로 높고, 충북 보은군(-2.4%), 서울 성동구(-1.8%) 순으로 낮음
2. 시군구별 입·이직률(’24.4월 중)
□ ’24.4월 중 입·이직률은 전남 여수시(입직률 9.0%, 이직률 13.6%), 영광군(입직률 9.2%, 이직률 11.6%) 순으로 높고, 전남 신안군(입직률 1.5%, 이직률 1.5%), 경북 의성군(입직률 2.4%, 이직률 1.0%) 순으로 낮음
ㅇ 전년동월대비 입·이직률은 전북 임실군(입직률 +1.7%p, 이직률 +4.9%p), 장수군(입직률 +3.9%p, 이직률 +2.4%p) 순으로 상승하였고, 전남 담양군(입직률 –2.9%p, 이직률 –4.7%p), 장성군(입직률 –3.3%p, 이직률 –4.1%p) 순으로 하락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우남민(044-202-7324)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조달청 용역분야(2024.09.02.~09.06) 입찰동향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해수부, 부산 청사 자리 확정…연내 일괄 이전 마무리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소비쿠폰' 문자에 URL 링크있다면 100% 사기…"118번 신고를"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
1년 이상 성실상환 채무자 '개인회생 기록' 즉시 삭제 추진
-
대통령실, 대미 통상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국익 관철이 중요"
최신 뉴스
- 제30회 중앙소방 교육혁신 경연대회 연구개발분야 우수논문 시상
- [7.15.화.석간] 여름철 해외여행 홍역 감염 주의! 예방수칙 준수와 예방접종으로 안전하게
-
김 총리, 농민단체와 경청 차담회…"다양한 단체의 목소리 듣겠다"
- 기후변화대사, 영국 기후특별대표 면담(7.14.)
-
이 대통령, 오송참사 현장 방문…"관리 부실 인명사고 엄격 처벌"
- 한미일캐나다 4개국, 북태평양 공해상 불법어로 근절 위한 국제공조에 나서
- 농촌진흥청, 폭염 이은 잦은 비에 벼 안정 생산 총력… 현장 점검 나서
- 농촌진흥청,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5명 수상…연구 저력 입증
- 2025 「세계신안보포럼」 준비를 위한 라운드테이블 개최
- [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농민단체 면담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