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 차세대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 제작 시동
- 신기술 기반으로 미해독 영역을 최소화한 차세대 한국인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 제작
- 국제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에 한국인 유전체정보도 포함 예정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Pangenome, 이하 판지놈) 제작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03년 완성된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는 ‘인간의 유전정보 사전’으로 인간의 질환 원인 유전인자 발굴과 유전인자들의 기능 등 연구를 위한 핵심 정보이다. 다만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의 한계점*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최첨단 신기술을 활용하여 그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해 왔다.
* 기존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의 한계점: 대부분 1명의 유전체정보만 반영이 되었으며, 약 8% 수준으로 해독하지 못한 미해독 영역(gap)이 존재함. [붙임1] 참고
최근 차세대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 제작 컨소시엄(Human Pangenome Reference Consortium, 이하 HPRC)을 중심으로 판지놈 구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지난 2023년에는 판지놈 지도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
* HPRC : 워싱턴대, 유럽 EBI, 기존 참조표준 유전체 기관인 Genome Reference Consortium 등이 협력하여 현재 국제표준으로 활용 계획에 있는 차세대 인간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 제작을 진행하고 있는 컨소시엄으로, 작년(’23년)에 유전체 지도 초안을 발표 [붙임 2] 참고
이러한 판지놈 구축을 통해 원인 미상의 질환 진단이나 해독하기 어려웠던 약물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인종 특이적인 유전정보 등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HPRC 판지놈에는 동아시아인(중국, 베트남인)만 포함되어 있어, 한국인 유전체 정보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 한국인 연구에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한국인 1,000명 이상의 유전체를 해독하여 한국인 판지놈 지도 구축을 추진한다. 한국인 판지놈 지도는 염기서열 해독 관련 신기술을 적용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미해독 지역이 없는 정교한 염기서열(telomere-to-telomere sequencing) 수준으로 해독할 계획이다.
특히 HPRC와 협력을 통해 국제 인간 참조표준 판지놈에 한국인 판지놈을 포함함으로써, 한국인 대상 유전체 및 정밀의료 연구 역량 강화와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국립보건연구원은 올해 시범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인 판지놈 프로젝트에 참여할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한다. 먼저 국립보건연구원과 한국유전체학회 등 관련 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150명을 모집하고, 2025년도부터는 관련 분야 종사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참여자 모집을 확대하여 1,000명 이상 한국인의 염기서열을 해독할 계획이다.
한국인 판지놈 프로젝트의 첫 자발적 참여자로 동참한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 원장은, “신속한 한국인 판지놈 지도 구축으로 한국인 정밀의료 연구와 치료에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1. 판지놈과 기존 참조표준 유전체 지도와 차이점
2. Human Pangenome Reference Consortium(HPRC)
3. 한국인 판지놈 프로젝트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4년 여름철 기후특성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비쿠폰 2차 지급, 저도 받을 수 있나요?"…문답으로 알려드려요
-
국민 90%에 '소비쿠폰' 10만 원 추가 지급…22일부터 신청 개시
-
취임 100일 이 대통령 "남은 4년 9개월은 '도약과 성장의 시간'"
-
인사처, 공무원 당직 개선…인공지능 활용 등 모색
-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세계 선도 대한민국 만들 것"
-
'회복과 정상화'의 100일 이젠 도약과 성장의 시간!
-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공급…"물가안정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
이 대통령, 세종 첫 국무회의…"집무실·의사당 건립 차질 없이 추진"
-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9월 '심뇌혈관질환 주요 증상과 고위험군을 위한 예방법'
-
국민성장펀드 '150조 원'으로 확대…AI·반도체 등 첨단산업 지원
최신 뉴스
- [참고] 김진애 국가건축정책위원장 취임
- [부처합동] 식약처-중기부, 중소기업 수출 1위 화장품 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글로벌 화장품 수출규제관세 세미나' 개최
- "가명정보 처리를 보다 안전하고 유연하게" 「개인정보 이노베이션 존」 운영기관 공모
- (주)올포레코리아의 방문판매법 위반행위 제재
-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
- 멸종위기종 Ⅰ급 검독수리 번식 둥지, 77년 만에 제주도에서 확인
- 올겨울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역량 높인다
- 환경부-다자개발은행, 인공지능 활용 기후환경 분야 협력 추진
- 주민과 함께 그리는 지방자치의 내일, 제2회 권역별 간담회 경북에서 개최
- 중앙부처에서 지자체까지 재난안전 역량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