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권재한 농촌진흥청장, 전북특별자치도 벼멸구 피해 상황 점검

2024.09.24 농촌진흥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남원시 대산면 찾아 긴급방제 등 피해 최소화 대책 추진 상황 살펴 

- 멸구류 전용 약제 중 수확 14일 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약제 선택

- 조생종 재배지 등에는 이른 수확할 수 있도록 기술지도 강조

 농촌진흥청 권재한 청장은 9월 24일 오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산면을 찾아 벼멸구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적극적인 방제 추진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지원을 강화해 달라고 주문했다.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9월 22일 기준, 전북 지역 벼멸구 발생 추정 면적은 2,707헥타르(ha)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임실(1,914ha) 순창(554ha), 남원(80ha) 순으로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벼멸구는 6월 중하순부터 7월 중하순 사이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아와 볏대에 서식하며 줄기와 이삭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농촌진흥청은 사전 예방을 위해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정기적으로 벼멸구 발생 조사를 해왔다. 특히 지난 7월 중순과 8월 중순에 전국적으로 공동방제를 추진하고, 농가별로 벼멸구 방제를 당부하는 문자(7.2만 건) 전송 등의 노력을 지속해 왔다. 하지만, 올해는 9월 중순까지 고온이 지속되면서 벼멸구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해 추석 연휴를 전후로 대규모 발생해 피해 면적이 2만 6천 헥타르(9월 22일 기준)까지 빠르게 늘어난 상황이다. 

 농촌진흥청은 벼멸구 피해가 큰 충남, 전·남북, 경남 농업기술원과 긴급대책회의를 개최(9.19.)하고, 발생지에 대한 긴급방제와 출수가 빠른 곳에서는 조기 수확을 유도하는 등 확산 방지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우선 9월 25일까지 벼멸구 발생 재배지 방제를 마무리할 계획이며, 이 시기까지 방제 작업을 완료하지 못한 곳은 농약안전사용기준에(수확 전 14일 전) 따라 방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기술지원 할 계획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멸구류 방제 전용 약제 가운데 수확 14일 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해 볏대 하부까지 흠뻑 적셔지도록 살포해야 효율적 방제가 이뤄진다.”라며 “방제 때 약제를 과잉 살포하지 않도록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를 재차 안내하고, 현장 지도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권 청장은 “최저기온이 15~18도(℃)로 낮아지면 벼멸구 확산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조생종 재배지 및 벼 생육 상태가 빠른 곳은 가능한 수확시기를 앞당겨야 벼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농촌진흥청, 정부업무평가 행정관리역량 부문 4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쾌거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