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농촌진흥청, 한국형 낙농기술 수출 활로 개척한다

2024.09.30 농촌진흥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 우즈베키스탄서 국제 학술회의 개최

- 국내 낙농 수출기업 4개소 참여, 농기자재 현지에 적극 소개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협력, 구매 상담회도 추진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이 낙농 기술과 유전자원, 사료, 동물약품 등 국내 후방산업을 결합한 ‘한국형 낙농기술’ 수출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국내 낙농 산업 수출기업들의 신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 학술회의를 9월 27일 우즈베키스탄 축산연구소에서 개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대표적인 목축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낙농 기술이 미흡해 젖소의 하루 산유량이 한국의 1/4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낙농 분야 수출기업 4개사와 중앙아시아 5개국* 축산관계관, 현지 농업인과 구매상(바이어) 등 100여 명이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농촌진흥청은 △국제협력 사업을 통해 보급한 한국형 낙농 기술과 성과 △ 우량 유전자원(정액·수정란)을 활용한 번식·육종 기술 △젖소 생애 전주기 질병 관리 기술 △스마트 낙농 기술 및 수출 사업 계획 등을 발표했다. 아울러 젖소 우유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국형 낙농기술과 연계해 국내기업이 보유한 수출 유망 기자재를 현지인들에게 소개해 이목을 끌었다. 이날 소개된 주요 기자재들은 △유전자원(정액·수정란) △젖소 케토시스(대사성질병) 예방용 사료첨가제 △발정주기 조절 호르몬제 △송아지 설사 예방 백신 등이다. 

 농촌진흥청은 이와 함께 2023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무역관과 협력, 참가 기업과 현지 구매상(바이어) 간 수출 상담회도 주선했다. 한편, 전날인 9월 26일에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에 있는 선도농장에 한국형 젖소 수정란 20개를 이식하는 시연회도 진행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성사된 수정란 수출이다. 지난해 이식한 수정란은 올해 7월 송아지로 출생, 한국형 젖소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농촌진흥청은 지속적인 수정란 수출로 한국형 젖소의 현지 인지도를 높이고, 협력 선도농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수출농업지원과 위태석 과장은 “농촌진흥청의 국제협력 네트워크와 세계적 농업기술 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새로운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수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립농업과학원-국립종자원, 종자 보존·관리 협력 확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