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신동진’의 상표(브랜드) 가치를 잇기 위해 유래품종인 ‘전주677호’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래품종이란 원품종 등에서 유래해 주요 특성이 원품종과 같지만, 병해충 저항성 등이 개선된 품종*을 말한다. ‘신동진’ 유래품종으로 개발 중인 ‘전주677호’는 원품종인 ‘신동진’이 교배모본이다. ‘신동진’과의 유전적 유사도**는 95.3%다.
* 식물신품종보호법 제56조 4항 ** 2,566개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분석
‘전주677호’는 ‘신동진’과 이삭 패는 시기, 벼의 모양, 쓰러짐 정도 등 대부분의 특성이 유사하다. 병에 대한 저항성은 ‘신동진’보다 강화됐고 쌀 외관 품질 특성이 향상됐다.
연구진은 병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해 디엔에이(DNA) 분자표지를 이용해 키다리병과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했다. 또한, 육성 과정 중 쌀알이 크면서도 맑고 투명한 쌀을 지속해서 선발한 결과, 품질이 높아져 겉모양은 ‘신동진’보다 좋다.
* 병 저항성 유전자 : 키다리병 qFfR1, 벼흰잎마름병 Xa21
농촌진흥청은 ‘신동진’ 주 재배지인 전북특별자치도 도 농업기술원, 도내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전주677호’ 현장 적응성을 검토했다. 지난 9월 26일 전북도농업기술원에서 열린 현장 평가회에서는 ‘전주677호’ 품질과 병해충 저항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1월에는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 쌀 관련 단체 등 이해관계자를 초청해 밥맛 검정을 할 예정이다.
* ‘신동진’ 브랜드 원료곡으로 중요한 점(n=41): 품종명(83%)>밥맛(12%)>수량성(5%)
현장 평가회에 참여한 남원농협 이성수 상임이사는 “‘전주677호’는 생육 특성이 ‘신동진’과 비슷하지만, 쌀 품질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품종이 개발되면 우리 지역에서도 재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품종명 자체로 상표 가치가 큰* ‘신동진’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벼 유래품종 명칭부여 지침(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기준에 적합한 품종에 대해서만 유래품종 이름을 부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 12월에 있을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 ‘전주677호’를 상정, 올해 ‘신동진1’로 개발하고 내년에는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할 예정이다.
* RPC에서 ‘신동진’ 품종으로 88개 브랜드 판매(신동진 명칭 포함 브랜드수: 37개)
** 원품종 사용 여부, 유전적 유사도 95.0% 이상 등
농촌진흥청 작물육종과 김기영 과장은 “‘전주677호’는 우수한 품질과 재배 안정성을 갖춰 그동안 ‘신동진’이 쌓아온 상표 가치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전주677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기술을 확립하고, 관계기관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등과 협력해 ‘신동진’ 종자 공급이 중단되는 2027년에는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